군자는 의(義)에서 기뻐하고 소인은 이(利)에서 기뻐한다" 군자는 의(義)에서 기뻐하고 소인은 이(利)에서 기뻐한다" 강위석의 <생각을 따라 말을 따라>- 1. 소인과 군자 공자는 사람을 군자와 소인 두 부류로 나눴다. 정치에 종사할 군자의 덕을 고무하고 양성하기 위함이었다. 그러나 이 분류가 그 사회의 생산을 담당하는 소인의 경제 활동과.. 경제,사회문화/사회 , 경제 2014.01.16
부하의 사소한 허물은 용서하라 CEO의 바른 리더십 1 부하의 사소한 허물은 용서하라 CEO의 바른 리더십 1 MANAGEMENT|민경조의 논어 경영학 중국 춘추전국시대 사상가인 공자가 쓴 〈논어〉는 유가의 성전으로 꼽힌다. <논어>는 중국 주(周)왕조 동주(東周)시대 중에서도 기원전 479년 이후 춘추시대 말기에 나온 공자(孔子)의 어록이다. 공자가 태어난 .. 경제,사회문화/사회 , 경제 2009.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