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시열 3

국왕 장례 예법 둘러싼 사대부 싸움, 王權만 추락하다이덕일의 事思史: 조

국왕 장례 예법 둘러싼 사대부 싸움, 王權만 추락하다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이덕일 | 제118호 | 20090613 입력 집권 서인들은 겉으로는 효종을 국왕으로 여겼으나 속으로는 차자(次子)로 낮춰 보았다. 이렇게 겉과 속이 다른 정당이 집권하면 불필요한 정쟁이 빈발한다. 겉과 속이 다르니 논..

임금도 사대부’ 예학의 틀에 갇혀버린 효종 장례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

임금도 사대부’ 예학의 틀에 갇혀버린 효종 장례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제117호 | 20090607 입력 인조반정 이후 국왕은 천명이 아니라 사대부가 선택할 수 있는 상대적 존재로 전락했다. 서인은 소현세자를 제거하고 효종을 추대했지만 둘째 아들로 낮춰 보았다. 국왕을 사대부 계급의 상..

설욕보다 기득권’ 사대부들 安民 내세워 양병론을 꺾다이덕일의 事思史:

설욕보다 기득권’ 사대부들 安民 내세워 양병론을 꺾다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 제116호 | 20090530 입력 인조반정은 조선을 사대부의 나라로 만들었다. 국왕은 사대부 가운데 제1 사대부에 불과할 뿐 초월적 존재가 아니었다. 국왕이 아니라 사대부가 나라의 구석구석을 지배했다. 효종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