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조의 ‘의리 외교’와 청으로 끌려간 여인들 인조의 ‘의리 외교’와 청으로 끌려간 여인들 기사입력 2014-07-16 03:00:00 기사수정 2014-07-16 10:11:48 기사보내기 기사보내기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싸이월드 네이버 구글 폰트 뉴스듣기 ‘양다리 외교’ 광해군 몰아내고 현실 무시한 인조의 親明反淸 국토 쑥대밭 만들다 외교 국방 .. 민족사의 재발견/민족사의 재발견 2014.07.16
(104·끝) 조선을 알았던 청, 청을 몰랐던 조선 [병자호란 다시 읽기] (104·끝) 조선을 알았던 청, 청을 몰랐던 조선 서울신문 | 기사입력 2008.12.31 03:43 50대 남성, 울산지역 인기기사 [서울신문]조선이 병자호란을 맞아 일방적으로 몰리고 항복할 수밖에 없었던 까닭은 무엇일까? 우선 생각할 수 있는 것은 당시 청군이 조선이 상대하기에는 너무 버거.. 아픈역사에서 배운다/1636년 병자호란 2009.01.01
(54) 후금,조선에 배(船)를 요구하다 [병자호란 다시 읽기] (54) 후금,조선에 배(船)를 요구하다 서울신문 | 기사입력 2008.01.16 03:12 [서울신문] 정묘호란이 끝난 뒤부터 병자호란이 일어날 때까지 조선과 후금의 관계는 아슬아슬했다. 조선은 후금과 평화로운 관계를 유지하려고 노력했지만 여의치 않았다. 바로 명과 가도라는 바깥 변수 때.. 카테고리 없음 2009.01.01
(41) 정묘호란의 후유증 [병자호란 다시 읽기] (41) 정묘호란의 후유증 서울신문 | 기사입력 2007.10.17 03:00 [서울신문] 인조는 1627년 4월12일, 서울로 돌아와 경덕궁(慶德宮)으로 들어갔다.1624년 이괄의 난을 맞아 서울을 버렸다가 되찾았던 경험을 3년 만에 되풀이했던 것이다. 이번에도 어렵사리 정권은 지킬 수 있었지만 그 후유.. 아픈역사에서 배운다/1636년 병자호란 2009.01.01
(40) 정묘호란과 모문룡 [병자호란 다시 읽기] (40) 정묘호란과 모문룡 서울신문 | 기사입력 2007.10.10 04:10 [서울신문] 1627년 4월21일, 용골산성의 영웅 정봉수로부터 긴급 보고가 올라왔다.'평안도 구성부터 곽산까지 후금 군사들이 가득 차 있고 용골산성은 고립되어 있다. 성안에는 7000명 가까운 군사가 있지만 양식이 다 떨어져 .. 아픈역사에서 배운다/1636년 병자호란 2009.01.01
[병자호란 다시 읽기] (39) 정묘호란 이모저모 [병자호란 다시 읽기] (39) 정묘호란 이모저모 서울신문 | 기사입력 2007.10.03 04:01 [서울신문] '인조실록'과 장유(張維)의 '계곡만필(谿谷漫筆)'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온다.'정묘호란 당시 강화도의 분위기는 흉흉했다. 불과 100리 밖까지 적의 대병이 압박해 왔기 때문이다. 그래서 조정 신료들은 대개 화.. 아픈역사에서 배운다/1636년 병자호란 2009.01.01
(38)정묘호란 일어나다 Ⅲ [병자호란 다시 읽기] (38)정묘호란 일어나다 Ⅲ 서울신문 | 기사입력 2007.09.22 01:00 [서울신문] 조선 사신이 '재조지은을 배신할 수 없다.'며 침략을 힐문했을 때 아민은 즉각 반박했다. 반박의 핵심은 '조선이 명의 은혜만 기억할 뿐 자신들이 베푼 은혜에는 눈을 감고 있다.'는 것이었다. 아민은 과거 울.. 아픈역사에서 배운다/1636년 병자호란 2009.01.01
(37)정묘호란 일어나다Ⅱ [병자호란 다시 읽기] (37)정묘호란 일어나다Ⅱ 서울신문 | 기사입력 2007.09.19 03:30 [서울신문] 1627년 후금이 갑자기 정묘호란을 도발했던 배경은 무엇일까? 그것은 복합적이었다. 조선과 후금, 명과 후금, 그리고 조선과 명(-모문룡 문제를 포함) 사이의 문제점들이 서로 얽혀 있었다. 특히 누르하치가 죽.. 아픈역사에서 배운다/1636년 병자호란 2009.01.01
(36) 정묘호란 일어나다Ⅰ [병자호란 다시 읽기] (36) 정묘호란 일어나다Ⅰ 서울신문 | 기사입력 2007.09.12 02:42 [서울신문] 홍타이지는 1627년 1월8일 대패륵(大貝勒) 아민(阿敏)에게 조선을 정벌하라고 명령했다. 홍타이지는 "조선이 오랫동안 후금에 죄를 지었기 때문"이라고 이유를 설명한 뒤 모문룡도 제압하라고 지시했다. 모문룡.. 아픈역사에서 배운다/1636년 병자호란 2009.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