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초를 활용한 세탁법
식초로 늘어진 울 스웨터를 줄일수도 있는데요,,
우선 식초 2컵에 물 4컵을 섞어 냄비에 붓고 난후 늘어난 스웨터를 넣어주에요~~시간은 한25분정도 삶으면
예전처럼 옷 크기가 돌아옵니다. 주의할점은 식초에 삶은 옷은 모양이 변형되기 쉽기때문에 둥근 채반에
제 모양대로 펼쳐서 그늘에 널어주세요~~^^
그리고 식초는 껌을 떼어낼때도 유용한데요,,
천이나 카펫, 패브릭 소파 등에 껌이 묻었다 싶으면 식초를 이용해 제거해보세요~
일단 껌에 식초를 뿌린 뒤 10~15분쯤 놓아둡니다,,그러면 껌이 부드러워지고 끈적끈적한 기가 사라져서
손으로 쉽게 뚝뚝 떼어낼 수 있어요~ 단, 식초를 뿌리기 전에 떼려고 문지르면 얼룩이 번지니 이점 유의하시구요~^^
식초를 활용한 세탁법이 있나요?? vipzzang님 2008-10-15 16:58
스크랩 10 | 신고 카페로 스크랩
블로그로 스크랩
메일로 스크랩
식초를 이용한 세탁법이에요~참고하세요~~^^
첫번째, 강력한 주름 없애기
식초는 주름을 새로 잡거나 없애는 데도 매우 효과적인데요,,. 바짓단이나 치맛단을 내었을 때 물과 1 : 1로 섞은 식촛물을 충분히 뿌린 뒤 다림질을 하면 이전 주름은 완벽하게 펴지고 깔끔하게 새 주름이 잡힙니다. 주름치마에 주름을 다릴 때나 양복바지 주름을 잡을 때도 식초를 뿌리면 주름이 잘 풀리지 않구요,,~
두번째, 흰 양말 표백
흰 양말을 삶을 때 식초를 1컵 부으면 식초가 산소계 표백제 작용을 하여 처음처럼 하얗게 됩니다,, 속옷이나 수건 등을 빨 때도 식초를 넣고 빨면 같은 효과를 볼 수 있죠,~
세번째, 변색 방지
색깔이 선명한 옷이 색이 변할까 걱정이시라면 세탁할 때 식초물을 1시간 정도 담가 둬보세요~ 식초 덕분에 단단하게 착색되어 절대 물이 빠지지 않는답니다~ 그리고 식초는 한 대야에 1컵 정도 분량이면 적당하죠.
여기에 제가 세제상식 한가지 더 알려드리겠습니다.
제가 여기 저기에 답글을 올리는 내용 중 약산성세제가 있습니다.
식초=>산성입니다... 맞죠? 식초라면 ph산도가 3정도 입니다.
빙초산이라면 ph산도가 거의 1~2보시면 됩니다.
윗 분들의 답글 내용 중 정말 중요한 사실인데요... 옷 줄어듬방지 염색 탈 방지 등등 너무도 좋은 글 입니다.
만약 약산성세제가 시중에 판매가 된다면 어떨까요?
섬유를 보호하고 인체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세제일거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약산성에서 세정력이 있을까요?....
만약 약산성에서 세정력이 나올 수 있다면 왜 대기업에서 만들지 않을까요?
약산성에서는 세정력이 거의 없습니다.
만약 빙초산과 같은 강산성에서는 가능할 수 있겠지만... 문제가 있겠죠? 산화...섬유 조직이 망가지며 레이온과같은 섬유는 오무라들거라 생각됩니다.(상상력 발휘)
다시 약산성세제에 관해 말씀드릴께요...
약산성에서는 세정력이 없습니다. 하지만 세정력을 높이기 위해 들어가는 강염기성원료인 가성소다, 가성가리, 가성카리...
많이 들어본 화학약품입니다. 이와 같은 원료를 일명 빌더(builder)....세정촉진제라고 합니다. 이거이 들어가야 세정력이 나온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는 강한 독성을 가지고 있으며 환경에 유해하고 사람피부에 닿으면 유해하며, 섬유조직과 색상, 탄력성 등을 떨어뜨린다고 보시면 됩니다.
(예: 새로 살때 옷하고 세탁을 여러번 한뒤 옷하고 상상해보세요... 절대 처음같지는 않습니다. 색이 처음 그 색이 아니고 섬유에 힘이 없어 축 늘어져 보이고....)
위의 예)가 빌더의 영향때문입니다.
약산성세제!!! 정말 만들어 진다면... 빌더를 넣지 않고 세정력, 침투력, 유화력이 생길 수 있다면 이는 세제개발에 10년 이상은 앞서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제가 좋은 정보드릴게요... 국내기술로 개발된 인체친환경 ph5.5약산성 무첨가세제가 개발�습니다.
무첨가란 말이 빌더(builder) 세정촉진제를 일체 넣지 않았다는 중요한 내용입니다.
세제만 알아도 섬유를 보호하고, 환경을 보호하고, 나를 포함한 가족의 피부를 지켜나갈 수 있는 방법
'식초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싱크대엔 식초 섞은 물, 생선 구운 뒤 촛불 켜두면 효과 (0) | 2008.12.23 |
---|---|
오래된 옷도 되살리는 식초 세탁법 (0) | 2008.11.02 |
식초 건강법 다시 붐 (0) | 2008.11.01 |
식 초 콩의 비밀 (0) | 2008.10.29 |
식초’ 먹는 법 따로 있다 (0) | 2008.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