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회문화/사회 , 경제

대출 연장커녕 ‘불량 리스트’ 협박”

화이트보스 2008. 11. 11. 08:21

대출 연장커녕 ‘불량 리스트’ 협박”

서울신문 | 기사입력 2008.11.11 02:27



[서울신문]대기업과 함께 한국 경제를 이끌고 있는 중소기업들이 미국발 불황의 파고를 견뎌내지 못하고 맥없이 쓰러지고 있다. 현장에서 만난 중소기업 사장과 직원들은 경기침체, 고환율, 원자재 가격 상승이 겹친 상황에서 은행이 신규대출은 물론 만기연장을 제때 해주지 않고 있으며, 기업을 내놓아도 팔리지 않는다고 아우성을 치고 있었다. 반면 정부와 은행은 중소기업을 최대한 돕고 있다는 말만 되풀이했다. 정부와 은행이 때는 '군불'이 경제 현장을 데우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탓이다.

앉아서 망하는 것만 기다리는 판
2005년 시중은행 두 곳에서 설비확충을 위해 5억원을 대출받은 대전시의 K업체는 최근 '불량업체 리스트'에 올라간다는 은행의 협박을 받고 있다. 업체 관계자는 "최근 적자가 나서 이자를 제때 갚지 못하자 은행들이 금방 안면을 바꾸더라."면서 "추가 대출은 꿈도 못 꾸고 대출 연장도 안돼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파산을 면하기 위해 회사를 매각하고 싶어도 사려는 사람이 없다. 대구의 한 플라스틱 제조업체는 부동산과 기계가 4억원을 호가하고 부채는 2억 5000만원에 그치지만 팔리지가 않는다. 사업주 K씨는 "팔린다고 해도 양도세가 7000만원에 달해 앉아서 망하는 것만 기다리는 처지"라고 말했다. 다른 중소기업 관계자는 "IMF 때는 자식에게 기업체를 증여라도 했지만 요즘은 대물림을 안 시키겠다는 사장들이 많다."고 전했다.

환율 널뛰기 피해 이제 가시화
우려했던 환차손 피해가 현실화하고 있는 것도 중소기업들을 더욱 어렵게 한다. 특히 목재·철강 등 원자재 수입업체들은 직격탄을 맞은 지 오래다.

1998년 10월 설립된 전북 군산의 Y목재업체는 월매출 10억원 정도를 올리는 작은 업체였지만 꾸준히 순이익을 내는 튼실한 회사였다. 하지만 지난달 28일 최종 부도처리됐다. 그런가 하면 지난달 20일 삼정제강이 환차손과 키코(KIKO) 피해로 부도난 데 이어 22일에는 삼보철강도 도산했다. 업계 관계자는 "은행 거래를 위해 신용장으로 미리 계약하고 4~6개월 뒤 결제하는 과정에서 환차손으로 수백억원의 피해를 고스란히 떠안아 망한 것"이라면서 "더 이상 피해를 견디지 못해 문을 닫는 회사가 속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내년 초까지 널뛰기 환율이 계속될 경우 다른 원가상승분을 가격에 제때 반영하지 못하는 중소기업은 더 큰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다.

은행은 중소기업을 위해 최선을 다한다는데
삼성경제연구소 전효찬 수석연구원은 "중소기업은 불만을 가질 수 있겠지만 은행으로선 경영 환경이 악화되면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중소기업 대출을 줄일 수밖에 없다."면서 "일방적으로 은행에 희생을 강요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시중은행들도 중소기업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국민은행의 경우 중소기업 대출 잔액이 지난해 12월 50조 4841억원에서 61조 296억원으로 늘었다고 밝혔다. 우리은행 역시 "올해 만기 도래분에 대해서는 전액 연장해 주기로 했고, 내년 6월까지 만기 도래분도 연장해 주는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중소기업에 종사하는 김모(44)씨는 "은행 본점의 정책은 만기연장을 해주는 것일지 모르지만 지점 실무자들은 개인실적 등을 우려해 상환에만 열을 올리고 있다."면서 "돈이 필요 없을 때는 갖은 감언이설로 돈을 쓰게 하고, 정작 돈이 필요하면 대출금을 거둬들이는 은행이 요즘처럼 얄미운 적이 없다."고 말했다.

이경주기자 kdlrudw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