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회문화/사회 , 경제

가락시장 찾은 대통령 붙들고 눈물쏟은 박부자 할머니

화이트보스 2008. 12. 5. 10:34

갑자기 만나니 힘들고 반가운 마음에…"
눈물가락시장 찾은 대통령 붙들고 눈물 쏟은 박부자 할머니
李대통령 "어려우면 연락줘요" 20년 쓰던 목도리 매 줘
정시행 기자 polygo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 4일 새벽 서울 가락동 농수산물 시장에서 이명박 대통령을 만나 눈물을 흘렸던 박부자 할머니가 장남의 월셋집인 서울 송파구 거여동 다세대주택 반지하방에서 이대통령으로부터 받은 목도리를 만지며 본지 기자와 이야기하고 있다. 박 할머니는“컴컴한 데서 대통령을 만나니 힘들었던 일도 생각나고, 반갑기도 해서 나도 모르게 눈물이 막 나왔다”고 말했다. /최순호 기자 choish@chosun.com
서울 가락 농수산물 시장에서 시래기를 파는 박부자(73) 할머니는 4일 이명박 대통령을 보자마자 눈물을 쏟아냈다.

박 할머니가 자신의 팔에 매달리며 울음을 그치지 않자 이 대통령은 당황한 표정이었다. 이 대통령이 "하루 수입이 얼마나 되느냐"고 묻자, 할머니는"2만원 정도. 많이 팔면 3만원"이라 했다.

이 대통령이 "내가 선물 하나 줄게요. 20년 쓰던 목도리인데 아까워도 줘야겠다"라며 자신이 두르고 있던 모직 목도리를 할머니 목에 매 준 뒤, "하다 하다 어려워지면 언제든 연락을 줘요. 대통령한테 연락하는 방법을 알려줄 테니까"라며 할머니를 껴안았다. 이 대통령이 "시래기 한 묶음에 얼마냐"고 묻자 할머니는 "5000원"이라 했다. 이 대통령이 "4개만 달라"며 2만원을 건네자 할머니는 "받지 않겠다"고 버티다 결국 졌다.

이 대통령도 이후 상인들과 식사를 하며 "박부자 할머니가 '대통령이 잘 되길 바라는 기도를 하겠다'고 하는데 눈물이 난다. 그 사람을 위해서 내가 기도해야 하는데 그 사람이 기도하니…"라며 눈시울을 붉혔다.

박 할머니는 이날 장남의 월셋집인 송파구 거여동 다세대주택 반지하방에서 본지 기자를 만나 "갑자기 깜깜한 데서 대통령을 만나니 힘들었던 일도 생각나고, 반갑기도 해서 나도 모르게 눈물이 막 나왔다"고 말했다. 대통령의 목도리는 접혀서 어린 손자들의 옷가지 위에 얹혀 있었다.
"얼마 전부터 시장을 깨끗이 한다고 시래기를 못 줍게 돼서… (자율단속반에) 시래기 다듬는 칼이랑 손수레를 몇 번이나 뺏겼거든. 또 요즘 김장철인데도 사람들이 도통 뭘 사지를 않아."

할머니는 약 2년째 일요일을 빼고 매일 자정께 가락시장에 나가 낮 12시까지 무청 등을 떼어다 파는 일을 하고 있다. 무청 한 단을 팔면 500원쯤 남는다. 평소 삼전동의 큰딸 집에서 버스비를 아끼기 위해 1시간씩 걸어서 왕복한다. 큰딸이 1년째 암 투병 중이어서 형편이 매우 어렵고, 다른 네 명의 자녀도 벌이가 없거나 허드렛일을 해서 생계를 꾸린다고 한다. 할머니는 "아직 건강하니까 내 용돈이나 버는 것"이라지만 월 50만원쯤의 수입을 쪼개서 자녀들 살림에 보태고 있다.

박 할머니는 15년 전 남편이 암으로 사망한 후 전남 완도에서 자녀들을 따라 상경, 농산물을 떼어다 파는 노점 등을 해왔다. 이들은 서울에서 자리잡기가 힘들었고, 요즘처럼 경제가 어려워지면 일거리가 확 줄어 남들보다 몇 배 더 휘청거린다고 아들 김도행(39)씨는 말했다.

박 할머니는 "내가 못 배워서 말은 할 줄 모르고, 대통령에게 '우리도 이렇게 힘든데 대통령은 얼마나 더 힘들겠냐'고 했다"며 "경제가 좋아져서 어려운 사람들이 살기 편해지도록 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날 새벽 5시반, 겨울비가 내리는 시장에 들른 이 대통령은 배추 가게에서 배춧속을 뜯어 먹어 보고는 "집에 가서 먹게, 이거 좀 누가 차에 실어줘"라고 했다. 500포기를 구입한 이 대통령은 "배추값이 떨어졌다. 값이 올랐을 때는 소비자들이 힘들고, 이번엔 농민들이 힘들고…"라고 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야외 난로 옆에서 농민들과 커피를 함께 마시며 대화를 나눴다. 경남 산청에서 딸기농사를 짓는다는 농민이 "가락시장에 냉동보관 시설이 없어 바닥에 놓고 팔 때 망가진다"고 하자, 이 대통령은 "싱싱한 것을 가지고 와서 여기서 버리면 안 된다"면서 "(가락시장을) 재건축하게 되면 그렇게 하라"고 수행한 장태평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에게 지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