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회문화/사회 , 경제

전남개발공사 조사권 발동 검토

화이트보스 2008. 12. 9. 20:52

도의회, 원칙없는 이사회·무분별한 예산 투자 지적
‘추천 이사제’ 도입 등 상시경영감독체계 구축해야
道 “개발욕구 앞서 다소 운영 미숙·자체 감사 강화”
     입력시간 : 2008. 12.09. 00:00


<속보>전남도의회가 방만한 경영으로 질타를 받아온 전남개발공사에 대해 조사권 발동 검토를 시사하며 경영체계 수술에 대한 압박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8일 열린 제237회 전남도의회 2차 정례회에서 전남개발공사의 원칙없는 이사회 운영 등 방만한 경영에 대해 도의원들의 질의가 쏟아졌다.
이날 도정질의에 나선 도의회 김창남(장흥·민주) 의원은 “전남도가 지난 2006년 전남개발공사에 현물 출자한 영암군 소재 영산강 휴게소(감정평가액 62억1천만원)에 대한 관리감독이 허술하다”며 “특히 전남개발공사측은 올해 7월 안전상 큰 문제가 없는 영산강휴게소 부속 건물의 철거 승인안을 이사회에서 처리하고 오피스텔 건립을 계획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내년 3월 준공예정인 남악업무빌딩의 임대 및 분양률이 ‘0%’인 상태에서 또 다시 건물 임대사업을 내부 방침으로 세운 것이어서 ‘마구잡이식 사업확장이다’는 지적이다.
김 의원은 “이처럼 전남개발공사의 방만한 경영으로 도의회 차원의 조사권 발동을 요구하자는 의견이 분분하다”며 “정관을 개정해서라도 ‘이사 추천제’를 도입하는 등 상시경영감독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원칙없는 이사회 운영방식과 무분별한 사업투자, 조례규정 위반 등에 대해서도 추궁이 이어졌다.
이기병(나주1·민주) 의원은 “전남개발공사는 정관을 개정하면서 이사회 의결도 거치지 않았다”며 “더욱이 조례상 사채총액은 공사 순자산액의 4배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규정돼 있으나 정관에는 10배까지 허용하고 있다”고 질타했다.
이 의원은 또 “직원의 직종도 정관과 직제규정 및 이사규정과 다소 틀린 부분이 많고 계약직 정원도 정원에서 배제하는 등 인력 운용도 허술하다”며 “이는 결국 공사 직원이 증가된 것이고 향후 노동법 발생 소지가 있다”고 강조했다.
더욱이 전남개발공사는 J프로젝트에 12억원 출자를 비롯, 무안기업도시 77억원, F1대회 90억원, 올 5월 금융채무보증 510억원 승인 등 예산 집행에 제도적 장치 없이 무분별하게 투자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대해 박준영 전남도지사는 “낙후된 전남의 개발욕구가 앞서 운영에 미숙한 측면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라며 “경영 투명성 제고를 위해 자체 감사 강화와 도의회의 이사추천 등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김영민 기자 kym711@namdonews.com        김영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