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강물, 그냥 떠먹을 수 있는 그날을 위해…” |
올해부터 향후 5년 동안 ‘경쟁력 있는 지역 창조’와 ‘국민 경제 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총력전을 펼친다. “낙동강의 자연을 보전하면서 홍수도 예방하고 수량을 늘리기 위해 낙동강 물길사업은 조속히 추진되어야 한다. 아울러 훼손된 하천 생태계 복원사업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경기 활성화에도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국토해양부는 “(4대강 살리기 프로젝트는) 그동안 지자체로부터 적극적인 추진 건의가 있었다”며 “향후 사업 시행은 국토해양부 주관으로 관련부처는 물론 해당 지자체가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해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남도가 2008년 9월 자체 작성한 ‘영산강 프로젝트’ 사업 추진 계획에 따르면, 정부 차원에서 국토해양부와 농림수산식품부, 환경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최소한 4개 부처가 참여토록 설계돼 있다. 하도 준설과 천변저류지 설치 등은 국토해양부에, 배수 갑문과 통선문 확장은 농수산식품부, 하수종말처리시설 등은 환경부, 영산강변도로에 대해선 국토해양부와 문화체육관광부에 각각 예산 배정을 요청했다. 전남도 홍석태 건설방재국장은 “2009년 정부 예산안에 영산강 프로젝트 추진을 위해 도가 요청한 만큼 충분히 반영되지는 않았지만, 큰 틀에서 영산강 뱃길 복원사업이 궤도에 오르게 됐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4대강 살리기 프로젝트의 주요 사업을 보면, 정부는 노후한 제방을 보강하고 토사가 퇴적된 구간을 정비함으로써 하천 생태계를 복원하는 사업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홍수 저류 공간을 확보하고 물 공급 확대를 위해 중소 규모의 댐과 홍수조절지를 설치하는 한편 하천변 저류지와 저수지 재개발 사업 등도 추진할 계획이다. 이밖에 하천 상·하류를 연결하는 자전거길 설치와 수면 활용은 물론 가뭄 대비 비상용수 공급을 위한 친환경 보(洑) 설치 등도 예정하고 있다. 4대강 살리기 사업에 투입되는 사업비는 약 14조 원으로 추산된다. 하천에 투입되는 비용은 8조 원 정도. 나머지는 농업용 저수지 재개발, 중소 규모 댐·홍수조절지 건설 등에 투자할 예정이다. 주무부처인 국토해양부는 2009년 상반기까지 마스터플랜을 수립해 사업물량 및 사업비를 최종 확정할 방침이다.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15일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제3차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4대강 정비사업과 관련, “지방의 환경, 문화, 관광 등 여러 가지 다목적으로 4대강이 개발되는 사업은 시·도 지사와 지역 주민들의 절대적 요청에 의해 예산이 반영된 것”이라고 소개한 뒤 “정부도 특단의 조치를 해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 여러 행정 절차를 축소해 바로 착수될 수 있도록 했으면 좋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대통령은 “지역의 중소기업도 참여하는 동시다발적인 방안이 마련됐으면 한다”며 “지역 건설사들이 4대강 사업에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국토해양부에서 제도를 검토했으면 좋겠다”고 지시했다. 4대강 살리기 프로젝트는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 충주(한강), 대구·부산·안동(낙동강), 연기(금강), 나주·함평(영산강) 등 7개 지방도시를 대상으로 선도사업을 연차적으로 착수해 2011년 말까지 4대강 살리기 프로젝트를 완료할 계획이다. 다만 댐과 저수지 등은 완공 시점을 2012년으로 잡고 있다. 선도사업 지구에는 8300억 원이 집중 투입될 예정이며, 대구의 2011년 세계육상선수권대회, 연기군의 행정중심복합도시, 나주의 혁신도시 등과 연계해 사업 효과를 극대화할 방침이다. 글·구자홍 기자 |
'경제,사회문화 > 사회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겸손할지어다, 성공하려면 (0) | 2009.01.17 |
---|---|
李대통령 "지역색.정치논리 일절 배제 (0) | 2009.01.16 |
北김정일, 3남 정운 후계자 지명 (0) | 2009.01.15 |
힐러리, 북에 새제재 경고… FTA 재협상 시사 (0) | 2009.01.14 |
김정일도 못막는 북한 시장(市場) (0) | 2009.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