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곡물가격이 안정되는 추세지만 지난해 곡물가격의 급상승은 세계 곳곳에서, 특히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일부 국가에서 식량폭동사태를 초래했다.
농촌진흥청에서 33년간 잠업(蠶業)기술을 개발했고 퇴임 후 세계식량기구(FAO)의 자문관으로 르완다와 튀니지에서 양잠기술 지도에 나서기도 했던 농업전문가 이완주 씨는 ’라이스 워’(북스캔 펴냄)에서 생각보다 세계 식량위기가 심각한데도 우리는 남의 일 마냥 뒷짐만 지고 있다며 우려한다.
지난해 세계를 휩쓸었던 곡물가격 폭등 속에 러시아와 인도, 우크라이나, 브라질 등 주요 곡물 수출국들이 곡물 수출을 중지하거나 제한했고 세계 30여국에서는 식량 부족 때문에 시위나 폭동이 발생했다.
저자는 그러나 쌀을 제외한 식량자급률이 고작 5%에 불과하며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30개 회원국 중 곡물자급률이 26위에 그치는 ’곡물빈국’으로 매년 1천500만t의 곡물을 수입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너무 ’남의 불 구경 하듯’ 손을 놓고 있다고 지적한다.
농촌진흥청에서 33년간 잠업(蠶業)기술을 개발했고 퇴임 후 세계식량기구(FAO)의 자문관으로 르완다와 튀니지에서 양잠기술 지도에 나서기도 했던 농업전문가 이완주 씨는 ’라이스 워’(북스캔 펴냄)에서 생각보다 세계 식량위기가 심각한데도 우리는 남의 일 마냥 뒷짐만 지고 있다며 우려한다.
지난해 세계를 휩쓸었던 곡물가격 폭등 속에 러시아와 인도, 우크라이나, 브라질 등 주요 곡물 수출국들이 곡물 수출을 중지하거나 제한했고 세계 30여국에서는 식량 부족 때문에 시위나 폭동이 발생했다.
저자는 그러나 쌀을 제외한 식량자급률이 고작 5%에 불과하며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30개 회원국 중 곡물자급률이 26위에 그치는 ’곡물빈국’으로 매년 1천500만t의 곡물을 수입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너무 ’남의 불 구경 하듯’ 손을 놓고 있다고 지적한다.
저자가 지적하는 농업의 문제는 첫째 농경지 부족이다. 한 사람이 먹고사는 데는 농경지 1.1~1.2㏊가 있어야 하지만 우리 국민 1인당 농경지는 0.036㏊로 30분의 1에 불과하고 그나마 매년 1만~2만㏊의 농경지가 사라지고 있다.
최악의 상황에 돈으로 곡물을 산다고 해도 한계가 있다. 우리가 주식으로 하는 쌀은 중-단립종으로 쌀을 주식으로 하는 세계 인구 대부분이 먹는 품종과는 다른 종류다. 중-단립종은 국제 쌀 거래량의 5% 미만에 그치고 있어 돈을 주고 살래도 살 수 없는 상황에 놓일 수도 있는 상황이다.
저자는 이런 답답한 농업의 현실을 타개할 수 있는 시사점을 1970년 통일벼 개발에서 찾는다.
1960년대 곡물 수입으로 무역적자가 심각해지자 정부가 식량 증산을 통해 무역적자를 없애기로 결정한다.
그 과정에서 태어난 통일벼는 수천 년 동안 우리가 기르던 자포니카 형 벼와는 다른 인디카 형이라는 열대 벼였다. 열대 벼를 온대 기후에서 길러야 하는 과정에서 모 기르기와 모내기, 비료주기, 병해충 관리, 물관리 등 농사기술에서 엄청난 발전을 이뤘고 우리나라에 과학 영농이 자리 잡는 계기가 됐다.
일단은 우리가 가진 농토를 지키는 것이 가장 손쉽고 안전한 방법이다. 여기에 해외식량기지 확보도 하나의 대안이다. 하지만, 일회성으로 그쳐서는 안 되며 전문가 육성이 기반이 돼야 한다고 저자는 주장이다.
농업강국 네덜란드에서도 배울 점이 있다. 전라남도와 경상도를 합친 면적 밖에 안 되는 작은 나라지만 세계 최고 수준의 화훼산업에 고다 치즈처럼 세계적인 품질로 인정받는 낙농제품도 많은 네덜란드 농업의 힘은 세계에서 세 개밖에 없는 토양박물관을 갖고 있고 농업연구기관을 우대하는 풍토에서 비롯됐다.
저자는 “통일벼를 만들어 ’괴타리’(허리띠의 충청도 사투리)를 풀고 쌀밥을 배불리 먹을 수 있도록 해줬던 그때처럼 지금 때맞춰 그런 사람이나 해결책이 나타날 수는 없을까”라며 “이것이 이 책을 쓰면서 던진 나의 ’화두’”라고 말했다.
'경제,사회문화 > 사회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산참사 사망 3명 용산철거민 아니다" (0) | 2009.01.22 |
---|---|
初等學校부터 漢字敎育 가르쳐야 (0) | 2009.01.19 |
콩나물은 컴퓨터가 기른다 (0) | 2009.01.18 |
[스크랩] 60억분의 1의 사나이 `최배달` 그는 누구인가! (0) | 2009.01.18 |
미국은 한국 스웨덴으로부터 배워야 (0) | 2009.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