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5년 양(陽) 10월 8일. 새벽 5시경 경복궁 광화문에서 한발의 총성이 울렸다. 작전명 ‘여우사냥’ 조선공사 미우라와 일본인 자객들에 의해 자행된 명성황후 암살작전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였다. 일본인 자객들은 왕비의 거처인건청궁(乾淸宮)에 난입, 명성황후의 암살에 성공하고 유해(遺骸)를 불태웠다. 110년전의 그날 명성황후의 목숨을 끊은 자객의 칼은 일본 신사의 귀중품으로 기증되어 지금까지 남아 있었다.
일본인 자객 토오가쯔아키(藤勝顯), 신사에 칼 기증
<사진 1> 쿠시다 신사 정문 (사진 조선왕조실록 환수위 )
<사진 2> 쿠시다 신사 내부. 신전(神殿)의 모습
(사진 조선왕조실록 환수위 )
쿠시다 신사는 후쿠오카 시내에 위치해 있다. 명성황후를 시해한 칼이 이곳에 보관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고 찾은 일행에 대해, 신사 관계자는 대단히 난처해 했다.
“ 이 칼을 공개하는 것은 대단히 이례적인 일입니다”
쿠시다 신사의 책임자 아베 켄노스케(阿部憲之介) 궁사는 상기된 얼굴로 일행을 맞았다. 자주색 보자기에 싼 칼을 취재진에게 풀러 놓았을 때. 가슴 한쪽에서 피가 울컥 쏠리는 느낌이었다. 전체 길이 120㎝. 칼날 90㎝. 칼이 뿜어 내는 살기는 방안을 서늘하게 흥분시키고 있었다.
“아 이것이 조선의 심장을 찌른 칼이구나 ”
나무로 만든 칼집에는 ‘일순전광자노호(一瞬電光刺老狐)’- 늙은 여우를 단칼에 찔렀다 라고 적혀있었다. 칼주인이 시해 당일 작전명 ‘여우사냥’의 성공을 기념하기 위해 새긴 것이라고 한다.
궁사는 잠시동안의 정적을 깨며 이 칼에 대해 다음과 같이 짤막한 설명을 덧붙였다
“ 이 칼은 히젠도라고 불립니다. 16세기 에도시대 다다요시(忠吉)란 장인에 의해 만들어진 명검입니다. 제작당시 전투용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살상용, 다시 말해 사람을 베기 위한 의도로 만들어 졌습니다. 우리는 명치 41년(1908) 토오 가쯔아키란 분이 신사에 기증했다고만 알고 있습니다. ”
<사진 3> 칼을 빼고 있는 궁사의 모습 (사진제공 조선왕조실록환수위 )
<사진 4> 칼집에 새겨 놓은 글씨 ‘늙은 여우를 단칼에 찌르다 ’
( 사진제공 조선왕조실록환수위 )
쿠시다 신사측 <명성황후를 이 칼로 베었다>고 기록
< 사진 5> 기증관련 서류. 좌측상단에 왕비를 이 칼로 베었다란 기록,
하단에는 기증자의 이름도 보인다
그러나 기증 당시의 정황을 기록한 문서에는 모든 것이 다 적혀 있었다. 토오가 이 칼을 기증할 당시 궁사가 중요한 내용을 기록해 놓았다는 서류에는 “ 왕비를 이 칼로 베었다” 고 적혀 있었다. 그 대목을 우리가 소리내어 읽자 궁사는 별다른 반응 없이 머리만 끄덕였다. 이 사진이 공개되면 혹시라도 몰고 올 정치적 파장을 우려했기 때문일 것이다.
“ 토오가 정말 명성황후를 절명시켰는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다만 왕비의 침실에 난입한 사람중 하나란 것은 맞습니다. 사건 당시 왕비는 궁녀와 같은 복장을 하고 있었기에 그가 살해한 사람이 궁녀일 수도 있고 ....”
궁사는 그 이상 다른 말을 하지 않았다. 긴 설명을 늘어 놓을 수록 난처해질 거라고 생각 했을 것이다. 그런 심경을 반영하듯 그의 얼굴은 대취한 술꾼 처럼 붉게 달아 올라 있었고, 손은 미세하게 떨리고 있었다. 칼에서 뿜어져 나오는 살기는 방안에 있는 모든 사람을 긴장시키고 있었다.
“ 이곳은 신사입니다. 이 지방 사람들이 신성하게 생각하는 곳이지요. 히젠도는 16세기부터 수많은 사람의 생명을 거둔 칼이고 또한 유명한 칼이니까 이곳에 기증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
궁사는 말을 마치고서 이내 칼을 거두었다. 우리는 서로에게 안부외의 특별한 말을 하지 않았다.
“ 한일관계의 많은 업보를 담고 있는 칼이군요. 잘 간수해 주시기 바랍니다. 취재를 허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돌아서 나오는 발걸음이 무거웠다. 궁사도 마찬가지 였을 것이다.
<사진 6> 히젠도 : 한 눈에 명검임을 알 수 있다. 사진속의 칼에 방안의 병풍이 반사되고 있다. ( 사진제공 조선왕조실록환수위 )
토오가쯔아키(藤勝顯)는 누구인가?
토오 가쯔아끼(藤勝顯)는 명성황후 시해 사건 당시 왕비의 침전에 난입한 세사람 중에 하나이다. 일본의 저명한 문필가 쯔노다 후사꼬의 [명성황후- 최후의 새벽]에는 사건 당시 살해 용의자들의 수기와 증언들을 적어 놓았다. 그중에 실린 데라사키의 편지에는 “ 나카무라 다테오, 토오 가쯔아끼, 나(데라사키) 세사람은 국왕의 제지를 무시하고 왕비의 방으로 들어갔다. ”고 적어 놓았다. 그리고 또 하나의 주장에 의하면 “나카무라 다테오가 곤녕합(坤寧閤)에 숨어 있던 명성황후를 발견하여 넘어 뜨리고 처음 칼을 대었고, 곧 이어 달려온 토오 가쯔아끼가 두 번째로 칼을 대어 절명시켰다”고 기재되었다. 정리하자면 토오 가쯔아끼는 왕비의 침실로 최조 난입한 3사람 중 하나였고, 명성황후를 향해 이 칼을 휘둘러 절명시켰던 가장 유력한 사람인 것이다. 뒷날 토오는 가쯔아끼는 그날의 범행을 참회하고 칼을 신사에 맡기며 당부했다고 한다.
“ 다시는 이 칼이 세상에 나오는 일이 없어야 할 것입니다. ”
< 사진 7> 명성황후를 절명시킨 칼끝 . 매우 예리하게 연마 되어 있다.
(사진제공 조선왕조실록환수위 )
후기 : 조선왕조실록 환수위 (공동의장 정념, 철안 스님)는 조선왕조실록 오대산 사고본의 반환을 위해 2006년 3월 불교계, 정치권, 시민단체 등이 함께 만든 단체입니다. 환수위는 도쿄대와 3차례에 걸친 협상 끝에 실록반환운동에 성공했습니다. 나아가 실록의 유출과정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일본 궁내청이 ‘명성황후국장도감’등의 왕실의궤를 약탈해간 사실을 확인, 의궤의 반환운동도 전개해 나가고 있습니다.
이번 후쿠오카 방문은 환수위 간사인 혜문스님과 MBC 2580팀이 함께 ‘명성황후 시해사건’ 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칼의 행방을 찾게 되어 취재 할 수 있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오는 8월 13일 일요일 오후 10시 35분 MBC 시사매거진 2580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명성황후 되찾기 http://cafe.daum.net/doorgatemoon
명성황후 시해한 일본 낭인의 칼
영동고속도로 여주나들목을 빠져나와 시내쪽으로 조금 들어가다보면 오른쪽에 명성황후 생가가 있다. 생가 한쪽에 공원과 함께 조성된 이곳 기념관에는 파란의 역사를 살다간 명성황후의 일대기를 몇 점의 사료들과 함께 멀티미디어 장비를 이용하여 보여주고 있다
그 중에서도 유독 눈길을 끄는 전시물이 있으니, 그것이 바로 조선의 국모 명성황후를 시해한 일본 낭인의 칼이다. 비록 모조품이긴 하지만 그 칼의 칼집에는 '一瞬電光刺老狐(일순전광자노호;단숨에 전광과 같이 늙은 여우를 베었다)'라는 글귀가 선명하게 새겨져 있다
그 글귀를 읽으면서 시퍼렇게 날이 선 칼날을 보는 순간 눈썹이 파리하게 떨리는 건 기자만의 느낌일까? 김진명의 역사소설 <황태자비 납치사건>과 드라마와 오페라로 재구성된 그때의 그 사건을 가슴 속에 그려보며 눈물을 삼킨다
왜? 황후의 머리에 정갈하게 꽃혀 있던 그녀의 비녀와 그녀를 시해했던 날선 칼만이 우리 눈 앞에 있는가, 그때의 역사 또한 그녀의 시신과 함께 처참하게 능욕당하고 난자당하고 불태워졌던 것이다
자료에 의하면, 문제의 이 칼은 그날의 새벽 48명의 일본 낭인중의 하나로 일본 황후를 절명시킨 토우 카츠아키의 칼이라고 한다. 그 낭인은 그 사건으로 재판에 회부되어 증거 불충분으로 무죄평결을 받은 뒤 '민비를 베었을 때의 얼굴이 잊혀지지 않는다'며 번민을 하다가 이 칼을 쿠시다(櫛田 신사에 기탁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울분의 역사 속에서, 우리의 두 딸들을 무참히 깔아뭉개고 무죄평결을 받아 자기 나라로 유유히 돌아간 두 병사와, 아시아를 환란에 빠트린 전범들의 위패가 안치된 야스쿠니 신사에 일본 총리가 참배하는 뉴스의 장면 장면들이 오버랩되는 것은 왜일까?
우리 모두가 자랑스럽게 대한민국을 얘기하는 있는 지금 이 순간에도 이러한 굴욕의 역사가 재연되고 반복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자문해본다.
안동희
'민족사의 재발견 > 민족사의 재발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본지 단독 입수] "독도는 일본영토 해당 안돼" 日, 1951년 법령공포 했었 (0) | 2009.01.25 |
---|---|
[스크랩] 명성황후 시해 그리고 슬픈 장례식의 기록 (0) | 2009.01.25 |
'독도, 日부속도서에서 제외' 1951년 일본 법령 2건 발견 (0) | 2009.01.07 |
일본 "구 법령 독도 제외 영토 범위 아니다" (0) | 2009.01.07 |
윤봉길 의사 암장지 일본 노다산을 가다 (0) | 2008.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