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위기설 보다 ‘3월 이후’ 가 더 문제
헤럴드경제 | 기사입력 2009.02.19 11:19
외자 이탈→신용경색→경기침체'9월 위기설'흡사
동유럽 디폴트등 돌발 변수…금융시장 안정이 관건
위기설이 또 한국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다. '3월 위기설'은 지난해 국내 외환시장을 강타했던 '9월 위기설'처럼 현실성이 없다는 분석이 지배적이지만, 시장은 위기설에 또 휘청거리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위기설이 도는 3월은 위험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오히려 예측 불가능한 변수가 터질 수 있는 3월 이후를 더 경계해야 한다는 게 정부의 생각이다.
▶'3월 위기설', '9월 위기설'과 닮은꼴=최근 주식ㆍ환율ㆍ채권 등 3대 금융시장을 강타한 3월 위기설은 묘하게 지난해 금융시장을 교란시켰던 9월 위기설과 닮아 있다.
3월 위기설은 국내에 유입된 2000억~1조달러 규모의 엔캐리 자금이 3월께 본국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크다는 데 주목하고 있다. 일본은 3월 결산 기업이 많은 만큼 국내에 투자된 일본계 자금이 3월에 집중적으로 유출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9월 위기설도 84억달러의 외국인 투자 채권이 만기가 도래하면서 자금경색이 심화된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자금의 주체만 다를 뿐, '외국계 자금 이탈→신용경색→경기 침체 심화'라는 맥락은 같은 셈이다.
정부는 9월 위기설이 불발로 끝난 만큼 3월 위기설도 별문제 없이 지나갈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한국은행에 따르면 2~3월 내 만기가 도래하는 채권은 104억달러 수준으로, 1월 말 현재 외환 보유액이 2017억달러임을 감안하면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이다. 그래서일까. 정부는 작년과 달리 위기설에 대한 발언을 가급적 삼가고 있다.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은 위기설에 대해 "금융시장 안정과 정상화가 가장 시급한 과제"라면서 "중요한 과제에 대해 (정부가) 일치된 의견을 밝히고 시장과 소통한다면 신뢰의 회복이 가능할 것"이라는 원칙적 발언만 했다.
▶3월보다 3월 이후가 더 문제=정부는 지난해와 같이 위기설이 도는 3월은 오히려 위험을 비켜나가겠지만, 금융위기가 현재진행형인 만큼 3월 이후 일어날 수 있는 돌발변수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다.
재정부 관계자는 "2~3월 중 만기가 도래하는 단기 채권은 77억달러로, 사실 외환 보유액이나 통화스와프 체결 규모를 감안하면 위기설이란 말이 무색할 정도"라며 "위기설보다 3월 이후 국제 금융시장 동향이 더 걱정된다"고 말했다.
실제로 9월 위기설 당시에도 외국인 만기채권자금은 위기설이 예상한 만큼 해외로 유출되지 않았다. 하지만 같은 달 17일 리먼브러더스가 파산 신청을 한 후 외국인이 4조7100억원어치의 주식을 팔아 주식시장이 폭락하고 환율이 달러당 1500원을 웃도는 등 금융시장이 패닉 상태에 빠졌다. 즉 위기설을 무사히 넘어 안도하고 있는 사이 해외 돌발변수가 일어나 결국 위기설의 시나리오대로 경기 침체가 심화된 것이다.
정부 관계자는 "미국 자동차 '빅 3' 및 씨티은행, 뱅크오브아메리카 등 상업은행의 파산과 동유럽 국가 디폴트 등 해외발 변수에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신소연 기자/carrier@heraldm.com
동유럽 디폴트등 돌발 변수…금융시장 안정이 관건
위기설이 또 한국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다. '3월 위기설'은 지난해 국내 외환시장을 강타했던 '9월 위기설'처럼 현실성이 없다는 분석이 지배적이지만, 시장은 위기설에 또 휘청거리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위기설이 도는 3월은 위험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오히려 예측 불가능한 변수가 터질 수 있는 3월 이후를 더 경계해야 한다는 게 정부의 생각이다.
3월 위기설은 국내에 유입된 2000억~1조달러 규모의 엔캐리 자금이 3월께 본국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크다는 데 주목하고 있다. 일본은 3월 결산 기업이 많은 만큼 국내에 투자된 일본계 자금이 3월에 집중적으로 유출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9월 위기설도 84억달러의 외국인 투자 채권이 만기가 도래하면서 자금경색이 심화된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자금의 주체만 다를 뿐, '외국계 자금 이탈→신용경색→경기 침체 심화'라는 맥락은 같은 셈이다.
정부는 9월 위기설이 불발로 끝난 만큼 3월 위기설도 별문제 없이 지나갈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한국은행에 따르면 2~3월 내 만기가 도래하는 채권은 104억달러 수준으로, 1월 말 현재 외환 보유액이 2017억달러임을 감안하면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이다. 그래서일까. 정부는 작년과 달리 위기설에 대한 발언을 가급적 삼가고 있다.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은 위기설에 대해 "금융시장 안정과 정상화가 가장 시급한 과제"라면서 "중요한 과제에 대해 (정부가) 일치된 의견을 밝히고 시장과 소통한다면 신뢰의 회복이 가능할 것"이라는 원칙적 발언만 했다.
▶3월보다 3월 이후가 더 문제=정부는 지난해와 같이 위기설이 도는 3월은 오히려 위험을 비켜나가겠지만, 금융위기가 현재진행형인 만큼 3월 이후 일어날 수 있는 돌발변수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다.
재정부 관계자는 "2~3월 중 만기가 도래하는 단기 채권은 77억달러로, 사실 외환 보유액이나 통화스와프 체결 규모를 감안하면 위기설이란 말이 무색할 정도"라며 "위기설보다 3월 이후 국제 금융시장 동향이 더 걱정된다"고 말했다.
실제로 9월 위기설 당시에도 외국인 만기채권자금은 위기설이 예상한 만큼 해외로 유출되지 않았다. 하지만 같은 달 17일 리먼브러더스가 파산 신청을 한 후 외국인이 4조7100억원어치의 주식을 팔아 주식시장이 폭락하고 환율이 달러당 1500원을 웃도는 등 금융시장이 패닉 상태에 빠졌다. 즉 위기설을 무사히 넘어 안도하고 있는 사이 해외 돌발변수가 일어나 결국 위기설의 시나리오대로 경기 침체가 심화된 것이다.
정부 관계자는 "미국 자동차 '빅 3' 및 씨티은행, 뱅크오브아메리카 등 상업은행의 파산과 동유럽 국가 디폴트 등 해외발 변수에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신소연 기자/carrier@heraldm.com
'경제,사회문화 > 사회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김수환 추기경이 `암흑시절 민주화의 중심`이었다고? (0) | 2009.02.19 |
---|---|
北, '키리졸브' 앞두고 대결태세 재강조> (0) | 2009.02.19 |
'독' 안에 넣은 1등 조선의 비밀 (0) | 2009.02.18 |
면 위로 떠오른 한·일해저터널 30년 논의 마무리되나 (0) | 2009.02.18 |
중국 불법 한약재 범람은 보건복지가족부 때문? (0) | 2009.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