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환자가 마시는 술 한잔은 ‘무모한 도전’
음주는 간 손상을 야기하고 혈당조절을 더욱 어렵게 해
바야흐로 술 약속이 많아지는 연말이다. 불경기라고 해도 송년회는 넘쳐나고, 송년회 자리에 빠지지 않는 것이 또한 술이다. 술은 적당히 마시면 기분을 즐겁게 하고 인간관계 형성과 유지에 촉매 역할을 한다. 강한 욕구불만이나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현대인에게는 한편으로 압박에서 벗어나는 일종의 해방구 역할도 한다. 그러나 당뇨환자에게 술은 치명적인 유혹이요, 달콤한 독약일 뿐이다. 기실 과도한 음주는 건강한 사람에게도 해로우니 당뇨환자에게 해롭다는 것이 하등 특별할 것 없는 논리일 지도 모르겠다.
허나 당뇨환자에게 술이 절대로 금물인 까닭은 따로 있다. 술은 열량은 있지만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같은 영양소가 거의 없어 술만 마시면 영양소의 섭취가 부족해진다. 당뇨병 환자가 식사나 안주 없이 과음하여 탄수화물의 섭취부족으로 약물치료를 받는 경우 심한 저혈당이 올 수 있다. 또한, 알코올 자체의 독성이 간과 뇌를 심하게 손상시키고 당뇨뿐만 아니라 관상동맥질환을 초래하게 된다.
간은 포도당을 글리코겐의 형태로 저장하거나 필요할 때 포도당을 만들어내는 일을 하며 우리 몸의 혈당조절을 관장한다. 혈당이 저하되면 간세포에서는 저장된 당원을 분해하거나 포도당이 아닌 다른 물질을 이용하여 새로운 포도당을 만들어 혈액 속으로 방출함으로써 혈당이 저하되는 것을 막는다. 헌데 알코올은 간이 당을 생성하는 것을 막기 때문에 술을 지속적으로 많이 마시면 간이 손상되어 혈당조절이 어려워진다. 요컨대 알코올은 저혈당증을 일으킨다. 신명한의원 김양진 원장은 “알코올성 저혈당이 당 조절이 여의치 않은 당뇨 환자에게 훨씬 위협이 된다는 것은 어렵지 않게 알 수 있는 일”이라며 당뇨 환자의 과음을 경계했다. 김 원장은 “또한 알코올은 중추신경억제 작용이 있어 저혈당의 증상을 느끼지 못하여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다.”고 부언했다.
알코올이 1g당 7칼로리를 낸다는 면에도 주목하자. 한두 잔의 음주만으로도 최소 100~200칼로리를 섭취할 수 있다. 혈당조절이 잘 되는 당뇨 환자라면 소량의 음주로 인해 혈당이 큰 폭으로 상승하진 않지만, 술에 함유된 첨가물(일반적으로 소주에는 올리고당이 함유돼 있다)에 의해 혈당이 상승할 수 있다. 과체중이거나 비만인 당뇨 환자의 경우 더욱 주의가 요구된다.
당뇨환자는 무조건 금주하는 것이 최선이다. ‘맥주는 해가 되지만, 소주는 괜찮다’는 말도 옳지 않다. 소주는 같은 양의 맥주와 비교했을 때 4배의 열량을 내기 때문에 오히려 더 해롭다. 김양진 원장은 “연말이라 술자리가 많겠으나, 지속적으로 술을 마시면 저혈당 및 간이 손상되는 것을 비롯해 여러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당뇨환자에게 술은 백해무익하다는 점을 명심”할 것을 당부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