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발전이 대안이다/자주 국방

북, 로켓 관측 ‘짐배’ 급파 … 태평양 가던 중 고장

화이트보스 2009. 4. 7. 14:40

북, 로켓 관측 ‘짐배’ 급파 … 태평양 가던 중 고장 [중앙일보]

정보당국이 파악한 ‘로켓 쏘고 속터진 평양9
“로켓 솟아오른 게 신기하다” 푸념
첨단 레이더 없어 “어디로 갔나” 허둥
발사장 지키려 띄웠던 미그-21 추락

 
정보 핵심 관계자는 6일 “북한이 로켓은 쏘아 올렸지만 평양 당국은 다소 혼란스러운 분위기”라고 귀띔했다. 궤도 진입에 실패한 때문만은 아니라고 한다. 지난 2월 “위성발사를 준비 중”이라고 공언한 뒤 발사강행·궤도추적 등의 과정에서 ‘불길한 조짐’이 꼬리를 물어 북측 인사들이 불안해했다는 얘기다. 일이 꼬이자 열악한 기술과 장비에도 예고했던 날짜에 맞춰 로켓이 솟아 오른 게 신기하다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는 것이다. 동북아 정세에 확실한 위협이란 평가가 나오는 로켓 발사 이면엔 이렇듯 뒷얘기가 많다고 정보 관계자들이 전했다.

◆“상선 보내 관측하자”=발사준비 과정에서 북한은 로켓 관측을 위한 궁여지책을 냈다. 추진체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해역에 “민간 짐배(상선)를 보내자”는 결정이 이뤄진 게 우리 대북정보 감시망에 포착된 것이다. 해당 수역에 대한 동향 파악과 관측을 위해 전문가들을 파견해야 하지만 일본열도 인근 공해상에 북한 군함을 직접 보내기 어렵다는 점 때문이었다. 1차 발사체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 무수단 동쪽 650㎞ 지점 동해상과 3600㎞ 지점 태평양에 선박을 보내는 계획이 세워졌다. 비교적 가까운 곳인 동해에는 상선이 예정대로 배치됐다. 하지만 태평양으로 향하던 배는 도중에 고장이 나버려 ‘임무수행’에 실패했다. 노후한 기관이 문제였다. 낭패를 본 북한 관계자들이 당혹해하며 책임 떠넘기기에 급급해하는 첩보를 접한 우리 정보관계자들은 실소를 금치 못했다.

◆로켓 행방 파악에 허둥지둥=북한은 위성궤도 진입에 성공했다고 주장하지만 정작 발사체가 어디로 갔는지를 알지 못했다. 수천 ㎞ 밖 궤적을 쫓을 첨단 레이더가 없기 때문이다. 한국 해군의 최첨단 이지스함 세종대왕함의 SPY-1D 레이더는 울릉도 근해에 대기하며 무수단을 떠난 로켓을 1000㎞까지 추적했다. 나머지는 미·일의 첨단 레이더 시스템이 맡았다. 그렇지만 북한은 3200㎞를 날아간 것으로 추정되는 2단계 추진체의 궤적을 파악하지 못했다. 3단계 추진체와 거기에 실린 위성 추정물체(payload)의 추적은 더욱 어려웠다. 발사 후 3시간58분 만에 공식 발표를 내놓은 건 한·미·일의 궤도추적 내용을 언론보도를 통해 확인하는 데 시간이 걸렸기 때문이란 게 관계 당국의 분석이다.

◆호위임무 전투기는 잇따라 추락=무수단 기지의 로켓 발사 움직임이 노출된 후 북한은 공군기와 전투함을 배치해 경계를 강화했다. 일본의 요격 검토가 나온 뒤에는 긴장감이 부쩍 감돌았다. 황의돈 국방부 정보본부장은 5일 국회 국방위에서 “발사와 관련해 북한은 전투기와 폭격기를 띄웠다”고 보고했다. 그렇지만 이 과정에서 주력기인 미그-21기 한 대가 정비불량으로 추락했다. 지난달 한·미합동 키 리졸브 군사연습 기간 중 맞대응 훈련을 벌이던 중 떨어진 것이다. 발사 징후가 처음 포착된 2월에도 다른 북한 전투기 한 대가 훈련 중 추락하는 등 사고가 끊이지 않았다.

이영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