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기사
- 북, 로켓 관측 ‘짐배’ 급파 … 태평양 가던 …
- 일본 “떨어진 북 로켓 끝까지 찾겠다”
- 미사일 ‘사고’ 친 북한 … 미국에 큰 틀의 협…
- 이 대통령 “한·미 정보 공유 잘 돼 … 통미봉…
- 중·러 “대북 제재 반대” … 안보리 난항
- 340㎞ → 1300㎞ → 2000㎞ → 320…
- 김정일, 로켓 발사 전 과정 종합지휘소에서 지켜…
- 북한이 밝힌 ‘470㎒’ 주파수는 초급 위성용
- 북한만 성공했다는 ‘위성’ … 김정일 3기 축포…
- 위성·미사일·로켓 … 용어의 정치학
- 세종대왕함, 1000km까진 독자 추적 … 그 …
- 이 대통령 “PSI 전면 참여 적극 검토”
- 포든 MIT 교수 “북한 로켓 관련자 목 성치 …
- 빅터 차 “3년 전처럼 … 북, 미사일 이어 핵…
- [안보 전문가 좌담] “북한, 파키스탄처럼 핵
◆“상선 보내 관측하자”=발사준비 과정에서 북한은 로켓 관측을 위한 궁여지책을 냈다. 추진체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해역에 “민간 짐배(상선)를 보내자”는 결정이 이뤄진 게 우리 대북정보 감시망에 포착된 것이다. 해당 수역에 대한 동향 파악과 관측을 위해 전문가들을 파견해야 하지만 일본열도 인근 공해상에 북한 군함을 직접 보내기 어렵다는 점 때문이었다. 1차 발사체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 무수단 동쪽 650㎞ 지점 동해상과 3600㎞ 지점 태평양에 선박을 보내는 계획이 세워졌다. 비교적 가까운 곳인 동해에는 상선이 예정대로 배치됐다. 하지만 태평양으로 향하던 배는 도중에 고장이 나버려 ‘임무수행’에 실패했다. 노후한 기관이 문제였다. 낭패를 본 북한 관계자들이 당혹해하며 책임 떠넘기기에 급급해하는 첩보를 접한 우리 정보관계자들은 실소를 금치 못했다.
◆로켓 행방 파악에 허둥지둥=북한은 위성궤도 진입에 성공했다고 주장하지만 정작 발사체가 어디로 갔는지를 알지 못했다. 수천 ㎞ 밖 궤적을 쫓을 첨단 레이더가 없기 때문이다. 한국 해군의 최첨단 이지스함 세종대왕함의 SPY-1D 레이더는 울릉도 근해에 대기하며 무수단을 떠난 로켓을 1000㎞까지 추적했다. 나머지는 미·일의 첨단 레이더 시스템이 맡았다. 그렇지만 북한은 3200㎞를 날아간 것으로 추정되는 2단계 추진체의 궤적을 파악하지 못했다. 3단계 추진체와 거기에 실린 위성 추정물체(payload)의 추적은 더욱 어려웠다. 발사 후 3시간58분 만에 공식 발표를 내놓은 건 한·미·일의 궤도추적 내용을 언론보도를 통해 확인하는 데 시간이 걸렸기 때문이란 게 관계 당국의 분석이다.
◆호위임무 전투기는 잇따라 추락=무수단 기지의 로켓 발사 움직임이 노출된 후 북한은 공군기와 전투함을 배치해 경계를 강화했다. 일본의 요격 검토가 나온 뒤에는 긴장감이 부쩍 감돌았다. 황의돈 국방부 정보본부장은 5일 국회 국방위에서 “발사와 관련해 북한은 전투기와 폭격기를 띄웠다”고 보고했다. 그렇지만 이 과정에서 주력기인 미그-21기 한 대가 정비불량으로 추락했다. 지난달 한·미합동 키 리졸브 군사연습 기간 중 맞대응 훈련을 벌이던 중 떨어진 것이다. 발사 징후가 처음 포착된 2월에도 다른 북한 전투기 한 대가 훈련 중 추락하는 등 사고가 끊이지 않았다.
이영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