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해부대, 소말리아 해역서 北상선 구조(종합)
연합뉴스 | 입력 2009.05.04 17:10 | 수정 2009.05.04 21:00 |
`SOS' 구조요청에 헬기급파..50분간 해적퇴치.北상선보호
北상선 "감사하다" "잘지켜달라" 거듭 사의
(서울=연합뉴스) 이상헌 기자 = 소말리아 해역에서 우리 선박 호송 작전을 펼치고 있는 청해부대의 문무대왕함이 4일 오전 해적의 공격 위기에 처한 북한 상선을 구조하는 개가를 올렸다.
합참은 이날 문무대왕함이 아덴항 남방 37㎞ 해상에서 북한선적 6천399t급 화물선 `다박솔(DABAK SOL)'호가 해적선으로부터 쫓기고 있다는 긴박한 구조신호를 포착하고 링스헬기를 긴급 출격시켜 50분만에 해적선을 퇴치했다고 밝혔다.
합참에 따르면 한국시각으로 이날 오전 11시40분께 5차 호송임무를 마치고 아덴항 인근 국제권고통항로 상에서 감시.정찰활동을 하던 문무대왕함에 북한 다박솔호의 "해적으로부터 쫓기고 있다"는 긴급 호출 신호가 포착됐다.
당시 다박솔호는 아덴항 남방 37㎞, 문무대왕함으로부터 96㎞ 거리에 있었다.
문무대왕함은 신호를 포착한 지 10분 뒤인 11시50분께 링스헬기를 출동시켰고 30분만인 12시20분께 다박솔호 상공에 도착했다. 해적선이 다박솔호를 불과 3㎞ 거리까지 추격하고 있던 위험한 상황이었다.
링스헬기는 위협 기동을 하는 동시에 탑승하고 있던 저격수들이 해적선을 향해 사격자세를 취하자 해적들이 혼비백산 달아나기 시작했다.
결국 링스헬기가 현장에 도착한 지 10분만인 낮 12시30분께 해적선은 항로를 완전히 변경해 달아나기 시작했고 헬기는 해적선이 북한 선적으로부터 완전히 멀어질 때까지 위협기동을 멈추지 않았다.
링스헬기는 오후 1시30분 문무대왕함에 복귀하기 전까지 110분간의 작전 비행을 통해 북한 상선을 해적으로부터 완벽하게 지켜냈다.
당시 해적 모선에는 상선에 접근할 수 있는 자선은 물론 사다리까지 비치돼 있어 조금만 시간을 지체했어도 북한 상선이 해적의 손아귀에 넘어가는 일촉즉발의 상황이었다.
다박솔호는 철강을 싣고 이집트에서 홍해를 지나 인도로 향하던 길이었다.
해적선이 멀리 도주하고 나서도 문무대왕함은 쫓기느라 항로를 이탈했던 다박솔호와 3차례에 걸친 교신으로 항로를 제대로 찾도록 안내하면서 보호하는 등 끝까지 임무를 다했다. 북한 상선도 통신망으로 "감사하다"는 뜻을 표시해왔다.
북한 상선은 특히 "감사합니다"라는 말을 몇차례 거듭했으며 "우리를 더 보호하겠습니까" "좀 잘 지켜주십시오"라고 한국군에 의지하기도 했다.
유엔해양법에 따르면 피랍위기에 처한 선박은 국적을 불문하고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지원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날 우리 군의 작전은 한국이 북한상선을 해적으로부터 보호해준 첫 사례로 기록됐다.
링스헬기는 해적선이 북한선박으로부터 완전히 멀어질 때까지 계속해서 위협비행을 했으며 해적선이 멀리 도망가자 항로를 변경해 현장을 이탈했다.
이때 북한 선박에서 선원 3명이 우리 헬기를 향해 고맙다는 뜻으로 손을 흔들기도 했다. 링스헬기는 오후 1시30분께 문무대왕함으로 복귀했다.
헬기가 복귀하는 과정에서 북한 선박은 낮 12시30분부터 1분45초가량 문무대왕함과 교신, 모두 4차례나 “감사합니다”를 연발하며 구조해준 것에 대해 고마움을 표시했다.
다음은 해적선이 물러가기 시작한 12시30분부터 1분45초간 문무대왕함과 북한 선박이 주고받은 교신내용.
▲청해부대(문무대왕함) = 여기는 대한민국 해군입니다. 현재 거리 5마일로 점점 멀어지고 있습니다. 귀 선에서 안심이 되시면 귀 선에서 희망하는 침로를 변침하셔도 되겠습니다.
▲북한선박 = 네 감사합니다. 우리 70도로 변침하겠습니다. 항로기간 중 계속 좀 유지합시다.
▲청해부대 = 현재 11번에서 귀선 안전할 때까지 계속 대기하고 있습니다. 귀 선에서 필요한 사항이 있으면 대한민국 해군을 찾아주시면 되겠습니다.
▲북한선박 = 네 알겠습니다.
▲청해부대 = 다박솔은 120도, 120도 침로로 IRTC(국제권고통항로)로 안전하게 진입하시기 바랍니다. 대한민국 해군에서 귀 선의 안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북한선박 = 네 감사합니다. 이쪽으로 120도인데, 120도로 그냥 올라갑니까?
▲청해부대 = 네 120도로 권고합니다. 대한민국 해군입니다.
▲북한선박 = 아 우리 침로는 지금 82도란 말입니다.
▲청해부대 = 대한민국 해군입니다. 귀 선의 안전을 위해서 130도를 권고합니다.
▲북한선박 = 네 알았습니다. 130도로 몇 마일 출발하면 되겠습니까?
▲청해부대 = 네 한 시간만 더 항해하면 되겠습니다.
▲북한선박 = 네 감사합니다. 그냥 우리 더 보호하겠습니까?
▲청해부대 = 네 여기는 대한민국 해군입니다. 귀 선의 안전을 보호하도록 하겠습니다. 130도 권고합니다.
▲북한선박 = 네 알았습니다. 120도
▲청해부대 = 130도입니다.
▲북한선박 = 130도 한 시간 동안 항해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좀 잘 지켜주십시오.
threek@yna.co.kr
honeybee@yna.co.kr
(끝)
< 긴급속보 SMS 신청 >
北상선 "감사하다" "잘지켜달라" 거듭 사의
(서울=연합뉴스) 이상헌 기자 = 소말리아 해역에서 우리 선박 호송 작전을 펼치고 있는 청해부대의 문무대왕함이 4일 오전 해적의 공격 위기에 처한 북한 상선을 구조하는 개가를 올렸다.
합참은 이날 문무대왕함이 아덴항 남방 37㎞ 해상에서 북한선적 6천399t급 화물선 `다박솔(DABAK SOL)'호가 해적선으로부터 쫓기고 있다는 긴박한 구조신호를 포착하고 링스헬기를 긴급 출격시켜 50분만에 해적선을 퇴치했다고 밝혔다.
당시 다박솔호는 아덴항 남방 37㎞, 문무대왕함으로부터 96㎞ 거리에 있었다.
문무대왕함은 신호를 포착한 지 10분 뒤인 11시50분께 링스헬기를 출동시켰고 30분만인 12시20분께 다박솔호 상공에 도착했다. 해적선이 다박솔호를 불과 3㎞ 거리까지 추격하고 있던 위험한 상황이었다.
링스헬기는 위협 기동을 하는 동시에 탑승하고 있던 저격수들이 해적선을 향해 사격자세를 취하자 해적들이 혼비백산 달아나기 시작했다.
결국 링스헬기가 현장에 도착한 지 10분만인 낮 12시30분께 해적선은 항로를 완전히 변경해 달아나기 시작했고 헬기는 해적선이 북한 선적으로부터 완전히 멀어질 때까지 위협기동을 멈추지 않았다.
링스헬기는 오후 1시30분 문무대왕함에 복귀하기 전까지 110분간의 작전 비행을 통해 북한 상선을 해적으로부터 완벽하게 지켜냈다.
당시 해적 모선에는 상선에 접근할 수 있는 자선은 물론 사다리까지 비치돼 있어 조금만 시간을 지체했어도 북한 상선이 해적의 손아귀에 넘어가는 일촉즉발의 상황이었다.
다박솔호는 철강을 싣고 이집트에서 홍해를 지나 인도로 향하던 길이었다.
해적선이 멀리 도주하고 나서도 문무대왕함은 쫓기느라 항로를 이탈했던 다박솔호와 3차례에 걸친 교신으로 항로를 제대로 찾도록 안내하면서 보호하는 등 끝까지 임무를 다했다. 북한 상선도 통신망으로 "감사하다"는 뜻을 표시해왔다.
북한 상선은 특히 "감사합니다"라는 말을 몇차례 거듭했으며 "우리를 더 보호하겠습니까" "좀 잘 지켜주십시오"라고 한국군에 의지하기도 했다.
유엔해양법에 따르면 피랍위기에 처한 선박은 국적을 불문하고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지원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날 우리 군의 작전은 한국이 북한상선을 해적으로부터 보호해준 첫 사례로 기록됐다.
링스헬기는 해적선이 북한선박으로부터 완전히 멀어질 때까지 계속해서 위협비행을 했으며 해적선이 멀리 도망가자 항로를 변경해 현장을 이탈했다.
이때 북한 선박에서 선원 3명이 우리 헬기를 향해 고맙다는 뜻으로 손을 흔들기도 했다. 링스헬기는 오후 1시30분께 문무대왕함으로 복귀했다.
헬기가 복귀하는 과정에서 북한 선박은 낮 12시30분부터 1분45초가량 문무대왕함과 교신, 모두 4차례나 “감사합니다”를 연발하며 구조해준 것에 대해 고마움을 표시했다.
다음은 해적선이 물러가기 시작한 12시30분부터 1분45초간 문무대왕함과 북한 선박이 주고받은 교신내용.
▲청해부대(문무대왕함) = 여기는 대한민국 해군입니다. 현재 거리 5마일로 점점 멀어지고 있습니다. 귀 선에서 안심이 되시면 귀 선에서 희망하는 침로를 변침하셔도 되겠습니다.
▲북한선박 = 네 감사합니다. 우리 70도로 변침하겠습니다. 항로기간 중 계속 좀 유지합시다.
▲청해부대 = 현재 11번에서 귀선 안전할 때까지 계속 대기하고 있습니다. 귀 선에서 필요한 사항이 있으면 대한민국 해군을 찾아주시면 되겠습니다.
▲북한선박 = 네 알겠습니다.
▲청해부대 = 다박솔은 120도, 120도 침로로 IRTC(국제권고통항로)로 안전하게 진입하시기 바랍니다. 대한민국 해군에서 귀 선의 안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북한선박 = 네 감사합니다. 이쪽으로 120도인데, 120도로 그냥 올라갑니까?
▲청해부대 = 네 120도로 권고합니다. 대한민국 해군입니다.
▲북한선박 = 아 우리 침로는 지금 82도란 말입니다.
▲청해부대 = 대한민국 해군입니다. 귀 선의 안전을 위해서 130도를 권고합니다.
▲북한선박 = 네 알았습니다. 130도로 몇 마일 출발하면 되겠습니까?
▲청해부대 = 네 한 시간만 더 항해하면 되겠습니다.
▲북한선박 = 네 감사합니다. 그냥 우리 더 보호하겠습니까?
▲청해부대 = 네 여기는 대한민국 해군입니다. 귀 선의 안전을 보호하도록 하겠습니다. 130도 권고합니다.
▲북한선박 = 네 알았습니다. 120도
▲청해부대 = 130도입니다.
▲북한선박 = 130도 한 시간 동안 항해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좀 잘 지켜주십시오.
threek@yna.co.kr
honeybee@yna.co.kr
(끝)
< 긴급속보 SMS 신청 >
'원자력발전이 대안이다 > 자주 국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군, 북 대남 공중침투용 AN-2 20여 대 비밀 운용 (0) | 2009.05.09 |
---|---|
제주해군기지의 중요성 (0) | 2009.05.05 |
괌 vs 하이난 미·중 태평양 전략 거점 '물 밑 전쟁' (0) | 2009.05.03 |
중국 언론이 바라본 한국 해군 (0) | 2009.04.30 |
제주 해군기지 확정..기동전단 모항역할 (0) | 2009.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