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회문화/사회 , 경제

이제 제자리로 돌아가 民生과 安保다지자

화이트보스 2009. 5. 30. 11:02

이제 제자리로 돌아가 다지자


민주노총은 오늘 서울광장에서 ‘노동탄압분쇄·민중생존권·민주주의 쟁취를 위한 공동행동’ 발족식을 갖고 범국민대회를 열 계획이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국민장으로 미뤄졌던 대회를 갖는 것이라지만 추모 분위기를 이용해 이명박 정부를 압박하겠다는 의도가 엿보인다. 민주당은 오늘 긴급 지도부 회의를 갖는다. 노 전 대통령의 죽음에 대한 정부 책임론 공세를 본격화할 모양이다.

전직 대통령의 죽음을 특정 집단의 이익을 위해 정치적 정략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무책임하고 야비하다. 도대체 누가 누구를 죽였단 말인가. 비리 혐의로 수사를 받다 스스로 목숨을 끊은 전직 대통령의 죽음이 안타깝기는 하지만 그것을 ‘누구의 탓’으로 돌리자는 것인가. 야권 일각에서 ‘고문치사’니, ‘정권에 의한 살인’이니 하며 국민을 자극하고 있는 것은 구태 중의 구태다. 민주당 사람들은 남상국 전 대우건설 사장이 노무현 당시 대통령의 인격모독적 발언 때문에 자살했을 때도 ‘정권에 의한 살인’이라고 규정했던가.

정세균 민주당 대표는 “확실히 책임질 사람은 책임져야 한다”면서 “거기에는 도의적 책임도 있고 법적 책임도 있다”고 했다. 심지어 김대중 전 대통령은 “노 전 대통령이 느낀 치욕과 좌절감, 슬픔을 생각하면 나라도 그런 결단을 했을 것 같다”고 했다. 국민통합에 앞장서야 할 사람들이 오히려 갈등과 분열을 조장하고 부추기고 있다.

국민장을 마친 지금은 각계각층이 일상의 제자리로 돌아가 각자의 할 일에 힘써야 한다. 무엇보다 경제 침체의 파고를 넘고 민생을 개선하는 일이 급하다. 정부가 잘해야겠지만 이를 방해하는 세력이 커지면 경제 살리기가 헝클어질 수 있다. 안보 불안도 고조되고 있다. 북한이 당장 군사적 도발을 할지도 모르는 상황이다. 우리 정치 사회의 갈등과 반목이 심해지면 경제와 안보가 동시에 흔들릴 우려가 있다.

우리는 지난 50여 년간 권력과 돈이 야합하고, 지역과 이념과 세대에 따라 분열하고 대립하는 시대를 살았다. 노 전 대통령의 죽음은 어쩌면 이런 구시대적 정치문화가 초래한 불행인지도 모른다. 지금이라도 구시대의 악습을 청산하는 일에 모두 함께 나서야 한다. 그러면서 찢기고 응어리진 국민의 마음을 치유해야만 국가적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할 수 있다.

정치권의 책임이 더없이 막중하다. 모든 갈등과 불화를 정치의 장()으로 끌어들여 녹이고 하나로 만드는 작업이 정치인들에게 부여된 과제다. 정부도 추모의 열기에 담긴 민의를 겸허히 받들어 국가 발전의 동력으로 승화시킬 길을 찾아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