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제주해군기지 건설 범정부 지원”…찬반논란 쐐기
뉴시스 | 김용덕 | 입력 2009.06.02 14:25【제주=뉴시스】
이명박 대통령이 2일 제주 서귀포시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리고 있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서 제주 해군기지 건설 불가피성을 강조, 제주 도민사회에 불고 있는 찬반논란에 쐐기를 박았다.
이 대통령은 이날 2014년 서귀포시 강정마을에 들어설 예정인 '민·군복합형 관광미항'(해군기지)을 거론하면서 "(제주해군기지는) 국가안보에 중요한 사업일 뿐 아니라 제주 발전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복합시설"이라며 "범정부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해군항은 정부 국책 사업으로 제주 관광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므로 제주 도민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관광미항 기능을 갖춘 제주 해군기지는 53만㎡(16만평) 규모로 건설되며 15만t급 크루즈 선박 2척이 접안할 수 있는 해양공원 및 휴양지로 개발될 예정이다.
제주 해군기지 건설 문제는 현재 김태환 지사가 주민소환투표에 붙여질 정도로 도민사회의 가장 첨예한 사안이다.
이와 관련, 이 대통령은 31일 오전 김태환 지사를 만나 이야기하는 과정에서 김 지사의 주민소환 문제를 언급하기도 했다.
이 대통령이 2일 밝힌 제주 해군기지 건설에 따른 범정부적 지원은 주민소환투표 서명운동에 들어간 김태환 지사에게 힘을 실어준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해군기지 건설 당위성을 펴고 있는 제주해군기지건설추진협의회 등 찬성측에도 상당한 명분을 제공한 것으로 분석된다.
제주해군기지 건설 반대측 입장이 크게 부각됐던 도민사회가 이번 이 대통령의 제주해군기지 필요성 언급으로 새국면에 들어설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한편 제주해군기지 건설문제는 수년째 도민 갈등을 초래, 해군기지 건설 예정지인 제주 서귀포시 강정마을 주민과 시민사회단체가 중심이 돼 김태환 지사 주민소환투표를 위한 서명에 들어간 상태다.
김용덕기자 kydjt6309@newsis.com
이명박 대통령이 2일 제주 서귀포시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리고 있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서 제주 해군기지 건설 불가피성을 강조, 제주 도민사회에 불고 있는 찬반논란에 쐐기를 박았다.
이 대통령은 이날 2014년 서귀포시 강정마을에 들어설 예정인 '민·군복합형 관광미항'(해군기지)을 거론하면서 "(제주해군기지는) 국가안보에 중요한 사업일 뿐 아니라 제주 발전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복합시설"이라며 "범정부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해군항은 정부 국책 사업으로 제주 관광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므로 제주 도민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관광미항 기능을 갖춘 제주 해군기지는 53만㎡(16만평) 규모로 건설되며 15만t급 크루즈 선박 2척이 접안할 수 있는 해양공원 및 휴양지로 개발될 예정이다.
제주 해군기지 건설 문제는 현재 김태환 지사가 주민소환투표에 붙여질 정도로 도민사회의 가장 첨예한 사안이다.
이와 관련, 이 대통령은 31일 오전 김태환 지사를 만나 이야기하는 과정에서 김 지사의 주민소환 문제를 언급하기도 했다.
이 대통령이 2일 밝힌 제주 해군기지 건설에 따른 범정부적 지원은 주민소환투표 서명운동에 들어간 김태환 지사에게 힘을 실어준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해군기지 건설 당위성을 펴고 있는 제주해군기지건설추진협의회 등 찬성측에도 상당한 명분을 제공한 것으로 분석된다.
제주해군기지 건설 반대측 입장이 크게 부각됐던 도민사회가 이번 이 대통령의 제주해군기지 필요성 언급으로 새국면에 들어설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한편 제주해군기지 건설문제는 수년째 도민 갈등을 초래, 해군기지 건설 예정지인 제주 서귀포시 강정마을 주민과 시민사회단체가 중심이 돼 김태환 지사 주민소환투표를 위한 서명에 들어간 상태다.
김용덕기자 kydjt6309@newsis.com
'원자력발전이 대안이다 > 자주 국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겨레-경향신문, 盧서거 후엔 “정치적 타살” 자가당착 주장 (0) | 2009.06.03 |
---|---|
10여년전 그날, 부자세습에 분노했던 김일성대 학우들이여… (0) | 2009.06.03 |
트루먼의 한국전 핵공격 거부 여파는? (0) | 2009.06.02 |
北핵.지하시설 파괴용 GBU-28 수십발 도입 (0) | 2009.06.02 |
북한군 공기부양정 (0) | 2009.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