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회문화/정치, 외교.

李대통령-오바마, 미래동맹 청사진 제시

화이트보스 2009. 6. 17. 13:00

李대통령-오바마, 미래동맹 청사진 제시

  • 연합뉴스

 

입력 : 2009.06.16 23:16 / 수정 : 2009.06.17 01:20

미국을 방문 중인 이명박 대통령(왼쪽)이 16일(현지시간)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의 회담을 마치고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오바마 대통령과 공동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 AP/뉴시스
이명박 대통령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16일(현지시간) 정상회담은 한미동맹의 미래 청사진을 구체화하고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공조체제를 재확인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특히 최근 북한이 2차 핵실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위협에 이어 우라늄 농축과 플루토늄 무기화 선언으로 핵보유국 지위를 주장하고 있는 가운데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한 견고한 한미 연합방위 기조를 재확인하는 역사적 계기가 됐다는 평가다.

또 오바마 대통령이 이 대통령에 대해 최고 수준의 예우로 보여준 돈독한 신뢰와 우의는 ‘혈맹’으로 상징되는 한미관계가 변함없는 협력동반자임을 국제사회에 과시한 것이라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두 정상은 이날 낮 워싱턴 백악관내 오벌오피스에서 잇따라 열린 단독 및 확대 정상회담을 통해 ‘한미동맹을 위한 공동비전(동맹미래비전.Joint vision for the Alliance of ROK-USA)’을 채택했다.

이는 지난해 4월 이 대통령과 조지 부시 전 대통령이 캠프데이비드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21세기 전략적 동맹관계’를 한차원 더 높게 구체화한 것으로, 양국이 기존 군사.안보 분야는 물론 정치, 경제, 사회,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 범세계적이고 포괄적인 관계를 구축하자는 취지가 담겨 있다.

실제 두 정상은 지난 4월초 영국 런던 G20 금융정상회의에 이어 두번째인 이날 만남에서 단독회담, 확대회담, 공동기자회견, 오찬간담회에 이르기까지 이례적으로 긴 시간 같은 자리에서 머리를 맞대고 양국간 현안에 대해 긴밀한 협력을 약속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최근 국제사회에서 핫이슈로 떠오른 북핵문제와 관련, 이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은 한치의 빈틈없는 공조체제를 재확인했다.

두 정상은 이와 관련, 북핵 보유를 용인할 수 없다는 기본 인식을 바탕으로 양국간 긴밀한 공조를 통해 북한을 제외한 6자회담 참가국이 협력해 북핵을 폐기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자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

또 한반도 유사시 미국이 핵우산 및 재래식 전략을 제공함으로써 위협을 제거한다는 내용의 ‘확장 억지(Extended Deterrence)’ 개념을 정상간 합의문인 공동비전에 명문화함으로써 북한의 군사적 위협에 대한 실제적 견제장치를 마련했다.

더욱이 미국은 핵우산을 포함한 확장억지의 이행과 관련, 한반도 뿐만 아니라 역내 및 그 외 지역의 군사력을 통한 지원도 확약함으로써 대한(對韓) 방위공약 의지를 천명했다.

우리 입장에선 미국과의 철저한 공조를 바탕으로 북한의 핵 위협에 당당하고 의연하게 대처하는 동시에 북한의 이른바 ‘통미봉남(通美封南)’ 전략을 차제에 무력화하는 의미있는 조치로 받아들여진다.

아울러 북한 인권문제와 관련, “북한 주민들의 기본적인 인권존중과 증진을 위해 협력해 나간다”는 원칙에 합의했으며,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원칙에 입각한 한반도 평화통일 의지도 밝혔다.

이와 함께 전시작전통제권 이전 문제에 대해 두 정상은 이행상황과 안보상황을 점검, 평가한 뒤 긴밀한 협의하에 검토, 보완한다는 기존의 입장을 다시한번 확인했다.

한미 FTA(자유무역협정)에 대한 모멘텀이 되살아나면서 양국 의회에서 비준 가능성이 높아진 것도 큰 성과다.

두 정상은 공동비전에서 “한미 FTA가 경제, 무역, 투자 관계를 더욱 강화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진전을 위해 함께 노력해 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원론적 언급이지만 최근 정체국면에 빠져있는 한미 FTA의 ‘불씨’를 살렸다는 의미가 있다.

한미 FTA는 한미 전략동맹 강화와 궤를 같이 하는 의제로, 두가지 의제는 어느 것이 먼저라고 할 수 없을 정도로 양국이 중시하는 사안이다.

이 대통령이 이번 방미를 앞두고 한미 FTA 조기 비준 필요성을 역설한 것이나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 론 커크 무역대표부(USTR) 대표 등이 이 대통령과의 전날 접견에서 한미 FTA 조기 비준 필요성에 공감한 것도 이같은 연유에서다.

테러리즘, 대량살상무기(WMD) 확산, 해적, 조직 범죄와 마약, 기후변화, 빈곤, 인권 침해, 에너지 안보와 전염병 등 범글로벌 이슈에 대해서도 두 정상은 견해를 같이 했다.

이는 양국간 ‘평화구축 동맹’ 및 이명박 정부의 ‘글로벌 코리아’ 구상과도 맞닿아 있는 것으로, 우리나라가 한반도와 동아시아를 벗어나 ‘세계속의 한국’을 거듭나기 위해 세계 10위의 경제규모에 걸맞은 ‘기여 외교’를 펼쳐야 한다는 의지를 천명한 것으로 여겨진다.

다만 이번 회담을 계기로 양국이 차세대 지능형 전력망인 ‘스마트 그리드’의 개발과 확산을 위한 협력에 합의하는 등 일부 성과도 있었으나 짧은 일정에다 북핵문제에 관심이 집중되면서 구체적인 협력.교류 사업 결실이 과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었다는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청와대 관계자는 “미국 새 정부 출범 이후 양국간 정상방문을 통한 첫 공식 만남인 이번 한미정상회담은 내용과 의전면에서 모두 의미있는 회담이었다”면서 “안보협의회의(SCM), 전략대화(SCAP) 등 기존의 양자 협력체제를 유지하는 한편 모든 수준에서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공동의 동맹 목표를 달성하자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