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사의 재발견/민족사의 재발견

정부도 인정한 안동립의 독도 지도전쟁

화이트보스 2009. 6. 28. 20:44

정부도 인정한 안동립의 독도 지도전쟁
독도 바위섬 수 최초 확인 … 10여 차례 방문 후 명명, 이젠 보급에 앞장
이정훈 동아일보 출판국 전문기자 hoon@donga.com
 
 

서울을 중심으로 세상을 보고자 거꾸로 된 전국지도를 제작한 안동립 씨. 이런 관점에서 세상을 보면 대마도는 우리 땅이다.

평생 지도를 만들어온 동아지도 안동립(51) 대표는 ‘독도는 국민이 지킨다’는 사실을 여실히 증명해 보인 사람이다. 2005년 일본 시마네(島根)현 의회가 독도의 자국 영토 편입 100주년을 맞아 ‘다케시마의 날’을 선포하자 우리 국민은 분노했지만 정부는 마땅한 대응책을 내놓지 못했다. 당시 독도 영유권을 공고히 할 수 있는 명쾌한 대책을 내놓은 이가 바로 안 대표다.

그런데 지도 장인인 그도 그때서야 독도가 동도(東島)와 서도(西島) 2개 섬 외에 89개의 바위섬으로 이뤄졌다는 사실을 알았다고 한다. 그러나 이 숫자는 틀렸다. 훗날 독도를 정밀 조사한 그는 독도의 총 바위섬 수는 102개, 암초 수는 78개라는 것을 밝혀냈다. 독도가 우리 땅이라면 마땅히 이 바위섬들은 그 나름의 이름을 갖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태반이 무명(無名)의 섬이고, 나머지는 섬 이름이 자료마다 다르게 표기돼 있었다.

대표적인 것이 ‘촛대바위’다. 이 바위는 ‘촛대바위’ 외에도 ‘엄지바위’ ‘기도바위’ ‘보살바위’ ‘성모마리아상’ ‘장군바위’ 등으로 자료마다 다르게 적혀 있었다. 자료를 만든 사람이 어떤 종교를 가졌느냐에 따라 이름이 달라졌던 것. 안 대표는 울릉문화원장을 비롯한 독도 전문가와 독도에 오래 출입한 울릉도 어부들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이 바위의 본래 이름이 촛대바위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보찰바위’ ‘지네바위’ ‘춧발바위’

독도에는 또 하나의 보살바위가 있었다. 이름 추적에 나선 안 대표는 이 바위의 본래 이름이 ‘보찰바위’란 사실도 밝혀냈다. 보찰은 ‘거북손’이라고도 하는 따개비의 일종. 독도에 자주 출입하던 울릉도 어부들은 보찰이 잔뜩 붙은 이 바위를 보찰바위라고 불렀는데 이것이 와전되면서 보살바위로 바뀌었다.

‘지네바위’도 비슷한 경우다. 독도에는 지네가 없다. 그런데도 지네바위가 있어 그 사연을 알아보니, 1960년대 ‘이진해’라는 울릉도 주민이 이 바위에 미역을 따 말렸다고 해서 ‘진해바위’로 불리던 게 와전돼 ‘지네바위’가 됐다. 또 독도에 당나귀는 없지만 ‘동키(donkey·당나귀)바위’는 있다. 동도 정상에 주둔한 경찰이 생필품을 위로 올리려고 배가 닿는 곳 바위에 도르래를 설치했는데 이 도르래를 뱃사람들이 ‘동키’라고 부르면서 바위 이름이 ‘동키바위’가 됐다.

동도 남쪽에 있는 ‘춧발바위’도 궁금증을 자아낸다. 현지인은 ‘기준’을 뜻하는 말로 ‘춧’이란 낱말을 썼다. 춧발바위를 넘어 동쪽으로 가면 창망한 동해가 펼쳐지면서 큰 파도가 몰려온다. 이 때문에 무동력선을 몰고 동쪽으로 항해하는 것은 매우 힘들다. 독도에서는 오전에는 동풍, 오후에는 서풍이 불어온다. 날씨가 좋아도 춧발바위를 넘어 동쪽으로 가려면 오후에만 항해를 시도해야 한다. 그는 춧발바위의 어원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울릉도 주민이 오래전부터 이 섬을 경영해온 사실을 확인했다.

 

안동립 대표의 노력으로 이름을 갖게 된 독도의 섬과 봉우리를 그린 지도.

독도에는 이름 없는 바위섬이 더 많았다. 동도 동쪽 끝에는 해발 4.1m에 204㎡(62평) 정도 넓이를 가진 바위섬이 하나 있다. 독도는 물론 대한민국에서도 가장 동쪽에 있는 섬이다.

그런데 그 북서쪽 바로 곁에 있는 바위는 ‘물오리바위’란 이름을 갖고 있으나, 대한민국 최동단에 있는 이 바위는 이름이 없었다. 고심을 거듭하던 안 대표는 이 섬에 ‘첫섬’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안 대표의 독도 바위 이름 조사와 명명(命名)은 2005년에 한꺼번에 이뤄진 게 아니다. 지난해까지 10차례 이상 독도에 찾아가 이곳저곳을 탐험한 노력의 결과물이다.

첫섬은 2008년 EBS 방송팀과 독도 다큐멘터리를 찍다가 지은 이름이다. 독도 탐험을 하려면 독도에서 여러 날을 살아야 한다. 이때 가장 중요한 일이 식수 확보. 서도 북서쪽에는 ‘물골’이라는 큰 굴이 있는데, 이 굴 천장에서 마실 수 있는 물이 ‘뚝뚝’ 떨어진다.

‘여성동아’ 별책부록으로 지도 발간

물골 근처에 또 하나의 굴이 있는데, 이 굴 주변에서 1960년대 ‘배석진’이라는 울릉도 주민이 해녀 10여 명을 데리고 미역을 땄다. 그런데 이 굴에서 울릉도 주민이 ‘가제’라고 부르는 물개의 뼈가 발견됐다. 그래서 현지인들은 이 굴을 ‘가제굴’ 또는 ‘배석진굴’이라 불렀다. 지네바위와 배석진굴 명명으로 그는 독도 속의 민중사를 발굴해냈다.

서도에서는 ‘어업인 숙소’로 명명된 곳이 유일하게 사람이 살 수 있는 평지다. 그곳에서 물을 마시려면 서도 정상을 타고 넘어 물골까지 가야 한다. 그러고는 물을 받은 통을 지고 다시 정상을 넘어와야 한다. 그는 물통을 진 채 서도 정상을 타고 넘으면서 해발 168.5m인 독도의 최정상 서도 봉우리에 아직 이름이 없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무슨 이름을 붙여줄까.

대한민국의 영유권을 상징하기 위해 ‘대한봉’, 대한독립을 상징하기 위해 ‘독립봉’, 그리고 ‘서도봉’ 등을 놓고 고심했다. 어업인 숙소에 함께 머물며 독도를 찍던 사진작가 최차열 씨, 김종권 씨와 상의하니 그의 생각대로 대한봉이 가장 좋다는 답이 돌아왔다. 대한봉을 명명한 그는 동도 최정상(해발 98.6m)도 이름이 없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한민족 역사지도와 거꾸로 본 전국 지도.

그런데 어업인 숙소에서 바라보면 태양은 대개 동도 정상으로 떠오른다. 여기에 주목한 그는 동도 정상을 ‘일출봉’으로 짓자고 마음먹었다. 그는 혼자 명명하지 않았다. 울릉문화원장, 독도관리소장, 독도박물관 학예사 등 독도를 잘 아는 관계자들에게 자신이 조사한 결과와 명명한 것을 밝혀 의견을 들은 뒤 최종적으로 결정했다. 그리고 이러한 이름을 모아 독도 지도를 편찬했다.

지도를 발매할 때는 사전에 국토지리정보원의 심사를 받아야 한다. 2005년 6월 그는 자신이 고증했거나 새로 지은 지명을 붙인 독도 지도를 제작해 국토지리정보원의 심사를 받은 뒤 발매했다. 그런데 얼마 후 국토지리정보원으로부터 “지명을 붙이는 것은 정부 고시로 하는 것인데 왜 개인이 했느냐”며 “발매한 지도 전량을 수거해 폐기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그는 “심사를 해 통과시켜줄 때는 언제고 이제 와서 왜 폐기하라고 하느냐”고 맞섰으나 관(官)을 이길 수는 없었다. 그 무렵 바캉스용 지도 제작건으로 만난 ‘여성동아’ 계수미 당시 편집장과 의기가 투합해 그는 여성동아 2005년 8월호 별책부록으로 독도 지명을 붙인 지도를 발간했다. 그 덕에 정부 지시로 사라질 뻔한 지도는 보급될 수 있었다.

이 부록은 큰 인기를 끌었다. 정부는 여성동아 부록으로 인쇄된 독도 지명 지도에 대해선 시비를 걸지 않았다. 그리고 해가 바뀐 2006년 12월 정부는 독도 지명고시를 하면서 안 대표가 명명한 이름들을 토씨 하나 바꾸지 않고 썼다. 안 대표의 행위를 불법으로 몰았던 정부가 안 대표의 노력을 정식으로 인정한 셈이다. 이에 그는 용기를 얻었다.

일본과의 독도 영유권 다툼이 첨예하던 1954년 ‘동아일보’ 김준하 기자는 그해 7월29일자 동아일보에 ‘어장 독도에 등대 설치 긴요’라는 부제를 붙인 ‘절해의 섬 독도를 찾아서’란 르포를 실었다. 이 기사를 계기로 ‘독도에 등대를 설치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져 그해 말 정부는 독도에 등대를 세웠다. 그러나 이 등대는 풍파에 사라져버렸고, 현재는 동도 정상에 새로 지은 등대가 밤을 밝히고 있다.

독도의 옛 등대 이야기를 독도 연구가 한송본 씨에게 들은 안 대표는 동도 일출봉 북쪽 능선 끝에서 옛 등대 터를 찾아냈다. 그러고는 독도 주민으로 유명한 김성도 씨에게서 “옛날엔 저녁마다 구 등대에 올라가 칸델라 불을 켜놓았다”는 증언도 들었다. 독도 지명 찾기로 시작된 그의 독도 사랑이 독도에 숨은 근대 문화재 찾기로 확장된 것이다. 이후 그의 관심은 대마도와 역사 문제로 확장된다.

평생 지도만 제작해온 그는 대마도 남쪽에 있는 섬을 상도(上島), 북쪽 섬을 하도(下島)로 표기해놓은 일본 지도(1997년 무양당 펴냄)를 찾아냈다. 현재 모든 지도는 북쪽을 위에 놓고 그리기에 북쪽에 있는 섬이 상도, 남쪽에 있는 섬이 하도가 된다. 그런데 그가 찾아낸 일본지도는 거꾸로 적어놓은 것. 그는 조선시대에는 남쪽에서든 북쪽에서든 한양에 가는 행위를 모두 ‘올라간다’고 표현한 사실에 주목했다. 당시엔 조선의 한양이 세상을 보는 중심축이었다.

 

한송본 씨의 제보로 동도에서 찾아낸 구 등대터.

대마도는 우리 땅?

이러한 관점이 잘 투영된 사례가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활약한 전라 좌수영이다. 북쪽을 위에 놓는 현대 지도 제작법 측면에서 본다면 전라 좌수영은 전라도 서쪽에, 우수영은 동쪽에 있어야 한다.

그러나 좌수영은 우측인 여수, 우수영은 좌측인 진도에 있었다. 경상도도 마찬가지로 좌측인 통영에 경상 우수영, 우측인 동래에 좌수영이 있었다. 이러한 배치는 한양을 중심축에 두면 금방 이해된다.

북쪽에 있는 한양에서 보면 진도와 통영은 오른쪽에 있으니 전라 우수영과 경상 우수영이 들어서고, 여수와 동래는 왼쪽에 있으니 전라 좌수영과 경상 좌수영을 만드는 것이다. 이 관점으로 대마도를 바라보면 남쪽에 있는 섬이 상도, 북쪽에 있는 섬이 하도가 된다.

이런 식으로 명명한 일본 지도가 있다는 것은 조선인이 대마도를 우리 영토로 생각했고, 일본도 이 시각을 받아들였다는 뜻이다. 그러나 근세에 들어 일본은 이를 뒤바꿔 북쪽 지역을 상현(上縣·가미아가타)군, 남쪽 지역을 하현(下縣·시모아가타)군이라고 불렀다.

그는 부산과 대마도에 있는 봉수대에서도 대마도가 우리 땅이라는 논거의 실마리를 발견했다. 일본에서 오는 세력을 가장 먼저 접하는 곳은 부산인데, 부산 영도의 태종대와 해운대에는 대마도에서 올린 봉화를 받아 한양으로 전달하는 봉수대가 있다. 그는 대마도가 조선의 문화권이 아니라면 조선만의 정보전달 시스템인 봉수대를 대마도 주민이 만들 이유가 없다는 사실을 찾아낸 것이다.

이제 안 대표의 관심은 만주 벌판에 산재한 고조선의 문화를 지도로 옮기는 쪽으로 확장되고 있다. 중국의 ‘동북공정’에 위기를 느낀 그는 한민족 문화가 시작돼 확장된 과정(중국 요서 지역에서 만주, 한반도까지)을 역사 지도로 담아내고 있다. 독도에서 대마도를 거쳐 반(反)동북공정으로 확장되는 안 대표의 지도전쟁은 계속될 전망이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