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회문화/사회 , 경제

지리산댐을 건설한다고?… 용유담계곡 수몰되고 칠선계곡까지 영향

화이트보스 2009. 7. 1. 15:07

지리산댐을 건설한다고?… 용유담계곡 수몰되고 칠선계곡까지 영향
박정원  박정원 님의 블로그 더보기
입력 : 2009.07.01 00:51

 

 우리민족의 영산이자 근현대사의 많은 굴곡의 역사와 유적을 간직하고 있는 국립공원 제1호인 지리산, 매년 수백만 명의 등산객들이 지리산의 정기를 받기 위해 찾는 그 지리산에 댐 건설작업이 구체적으로 추진되고 있어 논란이 거세다.

 사건의 발단은 천사령 함양군수가 지난 1월말 지방신문과 인터뷰에서 지리산 문정댐 건설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발표하면서 비롯됐다. 천 군수가 밝힌 댐건설 예정지역은 함양군 휴천면 문정마을 앞을 지나는 엄천강 일대다. 이 지역에 댐을 건설하면 한국내셔널트러스트가 꼭 지켜야 할 한국의 자연문화유산 9곳 가운데 으뜸으로 꼽은 용유담 계곡이 수몰되고, 칠선계곡 입구까지 영향을 받는다. 자연생태보고와 문화유적이 수몰될 위기에 처한 것이다.

 

 천 군수가 인터뷰에서 밝힌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근본적인 물 대책이 필요하다. 오래 전부터 지리산 자락의 물을 가두어 두는 함양댐 건설을 수차에 걸쳐 주장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물이 충분하면 나눠 먹어야 한다. 부산에 물을 주지 말자는 것 자체가 말이 안 된다. 엊그제 정종환 장관에게 사정하다시피 댐을 건설해 달라고 했다. 내가 군수가 되기 전에는 전 군민들이 댐 건설에 반대했다. 군수가 된 이후 댐 건설의 필요성과 절박성을 설명했다. 그 이후 군민 대다수가 동의했다.'

 

   수몰위기_용유담[3].JPG

   함양군의 지리산댐 건설로 수몰될 위기에 놓인 용유담계곡. 한국에서 자연생태가 가장 잘 보존된 지역으로 꼽힌다.

 중간에 있는 거북바위가 처랑하고 애처롭게 보인다.

 

 이후 3월 중순 함양군은 정부와 경남도에 문정댐 건설을 구체적으로 건의하는 한편, 경남도에서도 홍수대책 차원이라며 댐 건설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해당 지자체와 경남도, 정부가 상당히 구체적으로 연계해서 진행하고 있는 듯하다.

 급기야 지난 6월9일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은 "부산에 안정적이고 맑은 물을 공급하기 위해 지리산 물을 이용한다는 원칙을 정하고 경남도와 테스크포스팀을 만들어 지리산 수량확보를 위한 대책을 만들 예정"이라고 밝혔다.

 

 6월 중순에 천사령 함양군수가 한 방송에 나와 "물장사가 될 것 같아, 제 생각에는 지금은 몰라도 한 10년 후면 비싸게 팔 수 있다고 봅니다. 관광객을 유치할 수도 있고…"라고 말해 문정댐 건설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그러나 천 군수의 발언이 나간 그날 함양군 홈페이지 게시판에 지리산댐건설에 대한 반대 의견이 24개나 올라왔다. 전체 의견 26건 중 찬성 의견은 하나도 없었다. 전혀 다른 내용의 의견 2건이 있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칠선계곡과 용유담의 경제적 효과, 지리산이 가지고 있는 자연문화유산으로서의 경제적 가치, 즉 상상도 못할 경제적 가치를 함양군청 직원 중 아는 사람이 한 사람도 없는지 통탄할 일이다. 순박한 촌노를 언어로 현혹하여 사기 치는 행위는 천벌을 받을 것이다.'

 

    지리산댐(포커스)[3].jpg

    함양군 마천면에 걸려있는 '지리산댐 백지화' 플래카드. 지리산 곳곳에 이런 플래카드가 걸려있다.

 

 지난 4월 말에는 선시영 함양 추성마을 이장이 문정댐 건설에 반대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문정댐 건설, 일제도 하려 했었다. 지리산이 울고 있다. 몇 년을 호강하며 살자고 댐을 건설하려 하는가. 두 번 다시 지리산댐 거론하지 마라. 신이 빚어낸 듯한 칠선계곡과 한신계곡의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보존하겠다고 약속하라. 고향을 잃은 애달픔과 설움을 그 누가 알아줄 것인가. 우리 분신과 같은 고향산천을 댐과 결코 바꿀 순 없다.'

 

 지리산 주변에 사는 주민들도 "실제로 함양군수가 댐건설하려 동분서주 하고 있지만 남원이나 산청에서는 반대 입장이다"며 "도와 정부에서 구체적으로 사업추진 움직임이 있으면 본격 반대투쟁에 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지리산댐에 찬성이나 반대의견이 있으면 댓글로 말해주시라. 특히 항상 말없는 다수로 지목되는 찬성 하시는 분들의 의견을 많이 올려주시면 좋겠습니다. 어떤 의견인지 궁금하지도 하고 타당한지 의문이 가기 때문입니다. 반대의견은 물론 많이 하시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