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건설 여파로 막내린 금호家 형제경영>(종합)
25년만에 전문경영인 체제…박삼구 회장 "아무나 형제경영 안한다"
형제의 난 불붙을 여지 남아…자구 노력도 암초
(서울=연합뉴스) 이광철 기자 = 대우건설 후유증이 너무 큰 탓이었을까.
1984년 창업주 박인천 회장이 세상을 뜨고 나서 첫째 아들인 고 박성용 명예회장과 둘째 고 박정구 회장, 현 박삼구 회장으로 이어진 금호아시아나그룹의 형제경영 전통이 25년 만에 막을 내렸다.
그동안 오너 일가가 주력 계열사인 금호석유화학 지분 인수를 놓고 신경전을 펼쳤던 금호아시아나그룹은 박찬구 회장을 석유화학 대표이사직에서 전격 해임하고, 박삼구 회장도 동반 퇴진하는 강수를 뒀다.
그러나 재계에서는 이번 형제의 동반 퇴진으로 '형제의 난'이 빨리 봉합될 것으로 보는 시각은 적다. 자칫 경영권 분쟁이 본격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박삼구 회장과 동생 박찬구 회장의 경영권 분쟁은 금호아시아나그룹이 지난달 28일 대우건설을 되팔기로 하면서 물 위로 떠올랐다.
박찬구 회장과 박 회장의 아들 박준경 금호타이어 부장은 이달 들어 금호석유화학 지분을 대폭 늘렸다.
박찬구 회장이 집중적으로 지분을 사들이기 전까지 박삼구 회장 부자와 박찬구 회장 부자는 각각 10.01%의 금호석유화학 지분을 갖고 있었다.
박삼구 회장 부자도 금호석유화학 지분이 늘었지만, 현재 박찬구 회장 부자의 지분율은 18.47%이고, 박삼구 회장 부자의 지분율은 11.77%로 무게중심은 동생 박찬구 회장 쪽으로 기울었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은 지분 구조 변동에 대해 금호석유화학을 중심으로 단일 지주회사 체제로 가기 위한 준비라고 밝혔지만, 박삼구 회장과 박찬구 회장의 동반 퇴진이라는 결과를 보면 경영권을 둘러싼 형제간 분쟁의 과정으로 보는 게 설득력이 있다.
박삼구 회장도 퇴진 기자회견에서 "(박찬구 회장이) 본인의 이해관계를 따지고 경영에 반하는 행위를 여러가지 해 그룹 경영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했다"며 동생에 대한 불편한 심기를 감추지 않았다.
박삼구 회장 측은 고 박성용, 박정구 회장 자녀의 지분까지 합해 총 28.18%에 이르는 지분으로 박찬구 회장의 대표직 해임을 의결한 것으로 전해졌다.
가족 내에서는 박삼구, 박찬구 형제의 동반 퇴진을 승인한 셈이지만, 박찬구 회장 측이 해임 의결에 대해 반발할 경우 경영권 분쟁이 본격화하는 등 여지가 남아 있다고 볼 수 있다.
재계에서는 박찬구 회장의 금호석유화학 지분 확대에 대해 대우건설 재매각 사태에서 불거진 박삼구 회장의 경영 능력에 대한 불신에서 비롯됐다는 시각도 없지 않았다.
그룹 지배구조 변화를 시도하면서 박찬구 회장이 형 대신 경영 전면에 나서는 것 아니냐는 전망도 나왔다.
그러나 이날 동반 퇴진 결정으로 박삼구 회장은 형제간 경영권 분쟁으로 밀려나는 '불명예' 퇴진은 있을 수 없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그는 또 "내가 유고 상황이 되면 내부 전문경영인이나 외부에 덕망있는 인사 중에서 그룹 회장으로 영입을 해서 그룹을 이끌기로 (선대회장과) 합의가 있었다"며 경영권 승계도 자신이 마지막임을 분명히 했다.
한편, 금호아시아나그룹이 전문 경영인 체제로 운영되면서 대우건설, 금호생명 매각 등 주요 계열사 매각 문제도 갑작스럽게 암초를 만나게 됐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은 대우건설 인수 당시 풋백옵션에 따라 연말까지 대우건설 주가가 3만2천원대가 되지 않으면 약정 가격으로 주식을 모두 되사야 하는 상황이다.
minor@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경제,사회문화 > 사회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 아파트 ‘품귀’ 전세난 기름붓나 (0) | 2009.07.28 |
---|---|
감사원, 해남 화원관광단지 부실.졸속추진 적발 (0) | 2009.07.28 |
복잡한 공항 탑승수속 빨리 끝내려면… (0) | 2009.07.28 |
부동산 다운계약서, 함부로 쓰다간 큰 코 다친다 (0) | 2009.07.28 |
100세 넘은 할머니의 부지런함에 놀랐어요” [조인스] 기사 (0) | 2009.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