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표는 평화방송라디오 ‘열린 세상 오늘, 이석우입니다’에 출연, 이같이 밝힌 뒤 “남북대화와 남북관계가 정상화되려면 남북대화가 대한민국의 주도로 이뤄져야 하는 데 현 회장이 평양에서 가져온 내용을 보면 여전히 남북관계의 주도권은 북한에 있고, 북한의 것을 그대로 받아가지고 오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가 있다”며 “이것은 아주 굉장히 걱정스럽게 만드는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현대와 아태평화위는 이날 오전 올해 추석 금강산 이산가족 상봉과 금강산 관광의 조속한 재개 등 5개항의 교류사업에 합의하고 이를 담은 공동보도문을 발표했다.
이 대표는 ‘쌍방은 역사적인 6·15공동선언과 10·4선언에 따라 북남관계를 개선하고 민족공동의 번영을 위한 협력사업을 적극 발전시켜나갈 의지를 표명했다”는 공동보도문 내용에 대해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지금 남북관계가 그 동안에 왜곡되고 굴절되었던 원인이 6·15 성명에 있다”며 “그런데 6·15 선언과 10·4 선언을 계승, 발전시킨다고 하는 차원에서 합의를 해 가지고 돌아온 것인데 이러면 남북관계는 절대로 정상화될 수가 없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그동안 이명박 정부가 대북 정책에 대해서 상당히 정확한 수순을 밟아왔는데 (현대와 아태평화위의) 평양 합의 내용을 보면 그 동안 이명박 정부가 보여줬던 것은 가면이고 실제로는 옛날 노무현·김대중 정부 때의 대북정책을 그대로 답습하려고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를 느끼게 하는 대목”이라며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연안호 선원 송환 문제’에 대해서도 “그런 문제는 당당하고 떳떳하게 (진행)되어야 하는데 무슨 뒷골목 뒷방 거래하듯이 감춰놓고 하는 것은 남북관계가 정상화되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 아니라 여전히 비정상적인 상태를 유지하려고 하는 틀 속에서 진행되고 있는 것이라는 의혹을 감출 수가 없게 만드는 것”이라고 했다.
이 대표는 대북특사 파견론에 대해서도 “특사라는 것은 우리가 뭐 줄 게 있어서 가는 것이지 받아오려 가는 특사를 저쪽에서 청하지도 않았는데 보낼 수는 없다”면서 “개구멍으로 사람 집어넣듯이 특사를 집어넣는 식으로 특사 문제가 논의 돼서는 안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