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회문화/사회 , 경제

상대적 빈곤·부채율 증가 서울 경제적 안전성 낮아져

화이트보스 2009. 11. 11. 09:16

상대적 빈곤·부채율 증가 서울 경제적 안전성 낮아져

서울신문 | 입력 2009.11.11 05:47

 [서울신문]서울의 상대적 빈곤율과 부채율이 수년간 증가해 경제적 안전성이 낮아졌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반면 공공보육이나 대중교통 등 동등한 기회제공을 위한 정책은 긍정적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이 펴낸 '2009 서울 도시 사회의 질'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2007년 기준 서울의 가구부채율은 전체 가구의 절반을 넘는 52.1%를 기록했다. 또 상대적 빈곤율은 2007년 10.7%에서 2008년 12.5%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은 10.6%로 서울시 평균보다 1.9%가량 낮다.

가구부채율은 서울 전체 가구 중 부채가 있는 가구의 비율을 뜻하며, 상대적 빈곤율은 전체 인구 중 소득이 '중위소득(소득 순으로 인구를 나열했을 때 가운데 있는 사람의 소득)'의 50%에 미치지 못하는 계층비율을 말한다. 부채 원인은 주택임차 및 구입이 64.1%로 가장 높고 이어 교육비(11.2%), 기타생활비(8.7%), 재테크 투자(7.8%), 기타(8.2%)의 순이었다. 아울러 소득분배와 밀접한 상대적 빈곤율이 점차 높아져 소득 불평등이 심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경제적 안전성이 낮아진 이유는 보건의료나 교육 등에서 지출이 늘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