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면 내년 3∼4월 파병 가능성
柳외교 `파르완주가 가장 적합`
정부가 아프가니스탄에 독립적인 지방재건팀(PRT)를 설치하고 이를 보호하기 위한 병력을 파견한다는 방침에 따라 PRT 위치 선정 등을 위한 실사단을 현지에 파견했다.외교통상부는 17일 이용준 차관보를 단장으로 하는 정부합동실사단이 12∼17일 아프간 카불 등을 방문, 란긴 스판타 외교장관과 압둘 와르다크 국방장관, 굴람 포팔 지방행정위원회 위원장 등과 만나 한국 PRT 설치 지역 선정 및 역할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실사단은 또 스탠리 맥크리스탈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국제안보지원군(ISAF) 사령관 및 실무진과 면담하고 우리 PRT의 역할 범위 및 이를 위한 NATO-ISAF 측과 관계설정 문제 등을 협의했다.
실시단은 이어 파르완주와 바미얀주 등 한국 PRT 설치 후보지역 중 일부를 방문, 현지 주지사를 비롯한 지방정부 관계자들과 PRT 부지 확보 및 향후 PRT 운영에 필요한 협조 방안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정부는 이번 실사단의 방문 결과를 토대로 국방부와 한국국제협력단(KOICA) 등 관계부처 간 협의를 거쳐 외교안보조정회의에서 PRT 설치 지역, 민.군.경 요원 파견규모, 활동범위 등을 구체적으로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PRT 보호를 위한 파견 병력의 종류와 규모는 PRT의 위치와 활동범위에 따라 결정되기에 이번 실사단의 현지 조사 결과가 주목된다.
이와관련, 유명환 외교부 장관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아직 검토할 게 많이 남아 대상지역을 발표하기에는 이르다"며 "그러나 후보지역으로 2∼3 군데를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 장관은 대상지역과 관련, "현재로서는 바그람 기지가 위치한 파르완주가 가장 유력하다"고 밝혔다.
현재 파르완주는 미국 PRT가 운용되고 있으며 미군 바그람 기지가 설치돼있다.
유 장관은 또 정부의 파병동의안 국회제출 시기와 관련, "연내에는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정부 고위당국자도 "정부의 제안과 NATO외교장관회를 거쳐 장소가 결정되면 민간과 병력 및 경찰 인력 파견 규모 등이 정해진다"며 "파병 규모가 정해지면 국방부가 파병동의안을 국회에 제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 밖에 NATO-ISAF와 법적 협의, 부지 확보 및 시설 공사 등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며 "파병동의안에 대한 국회 동의 절차 등 모든 과정이 순조롭게 진행되면 다음해 3∼4월, 늦어도 5∼6월에는 PRT 요원 및 보호병력 파견이 이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정부합동실사단은 이 차관보를 비롯해 최종문 외교부 남아시아태평양국장, 정연봉 국방부 국제정책차장 등 외교부와 국방부, 합동참모본부, 경찰청, 국가정보원 등 관계기관 대표 15명으로 구성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