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회문화/정치, 외교.

재일(在日) 한국인 다섯명 중 네명 "일본 귀화 안한다"

화이트보스 2009. 11. 19. 11:14

재일(在日) 한국인 다섯명 중 네명 "일본 귀화 안한다"

입력 : 2009.11.19 02:48

502명 대상 조사 결과 95년보다 15%p 높아져

재일동포들이 다섯명 중 네명꼴(78.3%)로 일본 귀화를 원치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려대 일본연구센터는 재외동포재단의 지원을 받아 지난 6월부터 10월까지 재일동포 50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한국 국적을 유지하려는 재일동포들의 비율이 과거에 비해 크게 높아진 것으로 드러났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2000년 재일본대한민국민단(민단)이 재일동포 1300여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이후 9년 만에 이뤄진 대규모 조사다. 조사에는 재일한국상공회의소·재일본대한민국청년회·재일한국청년상공회·재일한국인연합회에 소속된 대한민국 국적 동포들이 참여했다.

고려대가 이날 발표한 '재일한국인 의식조사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일본 국적을 얻고 싶다"는 재일동포는 응답자의 21.7%에 그쳤다. 2000년 민단 조사(24.9%), 1995년 주일한국대사관 조사(37%)에 비해 일본 국적을 얻겠다는 사람의 비율이 크게 낮아진 것이다. 응답자들은 국적을 버리지 않는 이유로 '한국인이므로'(42.6%), '(일본 국적을 취득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36.4%) 등을 꼽았다.

외교통상부에 따르면 2009년 7월 현재 영주권을 받아 일본에 정주(定住)한 우리 민족은 ▲북한 국적 6만2000여명 ▲한국 국적 48만6000여명 등이다. 해방 후 남북이 분단됐을 때 어느 한쪽을 택하지 않고 '조선(朝鮮)' 국적으로 남은 이들도 3만여명으로 추정된다.

일본 법무성 통계에 따르면 2003 ~2009년 사이 연간 1만여명의 우리 민족이 일본으로 귀화했다. 이번 조사를 총괄한 고려대 일본연구센터 정찬원(64) 재일코리언·재한일본인연구실장은 "북한·조선 국적 동포들은 일본으로 귀화하는 이들이 점점 많아지는 반면 한국 국적 동포들은 점차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북한이 '곤궁한 독재국가'로 악명을 떨치는 반면 한국은 국제적 위상이 높아진 까닭"이라고 분석했다.

일상생활에서 한국식 본명을 그대로 사용하는 재일동포도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2000년 민단 조사에서는 13.4%만이 '한국 이름(본명)만을 사용한다' 혹은 '대체로 한국 이름만 사용한다'고 대답했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25.4%가 '본명만 사용한다'고 답했다. 고려대 정 실장은 "1988년 여행자유화 이후 일명 '뉴커머'(1988년 이후 일본으로 이주한 한국인)들이 재일동포 사회에 대거 유입된 영향이 있다"고 했다. 일본 전문가인 중앙대 외국어대학 권익호(53) 학장은 "한국 경제가 발전하고, 한류 붐이 일어난 것도 동포들이 자부심을 갖는 계기가 된 것 같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