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회문화/사회 , 경제

동.서.남해안 초광역개발 기본구상 윤곽(종합)

화이트보스 2009. 12. 2. 17:27

동.서.남해안 초광역개발 기본구상 윤곽(종합)

연합뉴스 | 입력 2009.12.02 14:36 | 수정 2009.12.02 14:53

 국토부 3차 지역발전委 보고..남해안권 `산업.관광 허브'로
동해안 `에너지.관광', 서해안 `신산업' 벨트로 개발
(서울=연합뉴스) 권수현 기자 = 남해안이 글로벌 경제ㆍ물류와 휴양 산업을 중심으로 개발되고, 동해안에는 에너지ㆍ관광벨트, 서해안에는 지식ㆍ첨단산업 등 신산업 벨트가 각각 구축된다.

국토해양부는 2일 열린 `2009 제3차 지역발전위원회' 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동ㆍ서ㆍ남해안권 초광역개발 기본구상'을 보고하고 권역별로 특화된 발전 전략을 제시했다.

국토부 보고 내용에 따르면 남해안권은 경제ㆍ물류와 해양관광 등 두 가지 핵심사업을 중심으로 하는 개발계획이 수립됐다.

글로벌 경제ㆍ물류 거점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조선 특화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한편 항공우주ㆍ로봇ㆍ핵과학 등 첨단 산업도 남해안권에 유치하기로 했다.

부산ㆍ광양 일대는 항만시설 확충과 배후 복합물류단지 조성 등을 통해 글로벌 물류 거점으로 육성된다.

또 한려수도권과 다도해권, 남도문화권 등 지역별로 휴양 단지와 요트 등 해양 레포츠 기반시설을 갖춰 남해안 일대를 세계적인 해양관광 지역으로 개발해 나갈 계획이다.

동해안권은 `에너지ㆍ관광벨트'로 개발된다.
울진ㆍ월성ㆍ고리의 원전과 울산의 석유화학단지, 삼척의 LNG 생산기지 등을 중심으로 에너지공급 기반시설을 확충하고, 연료전지나 풍력발전 등 차세대 녹색 에너지 산업도 동해안권에서 집중적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지역별 기간산업의 시너지를 극대화하기 위해 포항(철강ㆍ신소재)과 경주(부품), 울산(자동차ㆍ조선)을 연결하는 산업경제권을 조성해 산업간 연계도 강화한다.

아울러 설악~금강권과 경주권을 국제 관광거점으로 발전시키고, 관동팔경이나 백두대간 옛길 등 역사문화와 자연자원을 결합해 관광산업의 부가가치를 끌어올리는 방안도 추진된다.

서해안권은 국제 비즈니스와 지식ㆍ첨단산업 거점으로 거듭난다.
인천공항의 이점을 살려 관광, 컨벤션, 비즈니스, 쇼핑 등이 결합한 복합 업무ㆍ컨벤션단지를 조성해 서해안 일대를 환황해(環黃海) 경제권의 국제 비즈니스 거점으로 삼는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아산만과 파주, 평택을 중심으로 디스플레이 허브를 구축하고 수도권ㆍ충남ㆍ전북을 연계해 자동차ㆍ기계 등 기존 주력산업과 IT 산업 간의 융합을 유도하는 등 `첨단 산업벨트'를 지향한다.

이런 청사진을 뒷받침하기 위해 동ㆍ서ㆍ남해권역별로 고속도로와 철도망, 내륙 연계 교통망을 확충하거나 신설하는 등 교통 인프라도 보완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이날 보고한 기본구상을 토대로 내년 상반기까지 권역별로 구체적인 발전종합계획을 수립하기로 했다.

세부 사업 내역과 규모, 재원 조달 방법 등은 종합계획 수립 단계에서 정해질 전망이다.
다만 SOC 등 파급효과가 큰 지역 연계사업은 정부 재정으로 우선 지원하되 공공과 민간의 공동참여를 위한 특수법인을 운영하거나 민자 및 외자 유치 방안을 마련해 재정부담을 최소화하고 민간과 외국 자본의 참여를 촉진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해안과의 거리, 조망 등을 종합 고려해 친환경적 개발이 이뤄질 수 있도록 내년중 가칭 '해안경관관리 가이드라인'도 마련할 계획이다.

또 해안권 개발의 경우 해상국립공원 등 토지이용 규제가 많고, 개발계획 수립시 심의절차가 복잡한 것을 감안해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과도한 토지이용규제를 개선하고 심의절차를 단순화하는 등 관련 법령을 개선할 방침이다.

강팔문 국토정책국장은 "오늘 보고는 지역별 핵심사업 등 기본구상을 확정하는 단계에서 전체적인 방향을 제시하는 내용"이라며 "사업에 따라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비용을 분담하거나 민자유치를 통해 자금을 조달한다는 원칙만 세워두고 있다"고 말했다.

▲ 동.서.남해안권 초광역개발 기본구상 개념도
inishmor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