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헬스케어

당뇨병성 심혈관질환 원인 규명

화이트보스 2010. 1. 15. 13:34

당뇨병성 심혈관질환 원인 규명 [연합]

가톨릭의료원 연구팀 `혈관내피세포 손상 때문`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신장내과 박철휘 교수와 성모병원 신장내과 장윤식 교수팀은 당뇨병 환자에게서 심혈관질환 합병증이 왜 발생하는지에 대한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15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를 미국 당뇨학회지(diabetes) 최근호에 보고했다.

당뇨병은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1명이 앓고 있는 대표적인 성인 질환으로, 다양한 합병증 중에서도 가장 주된 사망 원인은 심혈관 질환으로 알려졌다.

특히 성인 당뇨병 환자는 고혈압 등의 동반 질환이 많아 심혈관 질환의 빈도 및 심각성이 매우 높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처럼 당뇨병 환자에게서 심혈관질환의 빈도가 높은 것은 신생혈관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VEGF)와 관련 수용체(Receptor)의 기능이 억제된데 따른 것이다.

즉 혈관내피세포의 손상 및 세포사멸을 통해 심근 내 혈관세포의 결핍과 저산소증이 유발되고, 이에 따른 심장 구조의 변화로 좌심실 비대, 심근 내 섬유화 및 심근 내 염증반응을 일으켜 기능적으로 심장 이완기와 수축기에 기능 장애를 가져온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연구팀은 제2형 당뇨병을 일으킨 생쥐를 대상으로 VEGF와 수용체를 선택적으로 차단해 당뇨병성 심근병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심근 내 혈관의 결핍과 저산소증이 일어나고 심장구조의 변화와 심장기능의 장애가 관찰됐다고 덧붙였다.

박철휘 교수는 "이번 연구는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가 억제되면 당뇨환자에게서 심근병이 심해질 수 있음을 밝힌 데 의미가 있다"면서 "아울러 당뇨병성 심근병에서도 혈관생성 성장인자가 새로운 치료 약물로 사용될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조인스 핫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