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회문화/사회 , 경제

'박근혜 전 대표 감시' 眞僞 따져 책임 물어라

화이트보스 2010. 2. 25. 16:30

'박근혜 전 대표 감시' 眞僞 따져 책임 물어라

입력 : 2010.02.24 22:27 / 수정 : 2010.02.24 23:04

한나라당 친박(親朴)계 이성헌 의원은 23일 "작년에 박근혜 전 대표에게 중진 스님을 소개했는데 며칠 뒤 그 스님이 '왜 (박 전 대표를) 만난다는 사실을 정부기관에 얘기했느냐'고 항의하더라"고 했다. 이 의원은 "나는 얘기한 적이 없는데 어떻게 그 기관에서 박 전 대표가 스님과 얘기한 것을 알았고 (스님에게) 와서 꼬치꼬치 캐묻게 됐는지…"라고 했다. 친박계 중진 홍사덕 의원은 전날 "(청와대 참모진이 세종시 원안 추진을 주장하는 친박) 의원에 대해 마치 무슨 흠이 있는 듯 여기저기 들쑤시고 다니며 위협하고 있다"고 했다.

이 말들이 사실이라면 나라가 권위주의 군부 독재 시대로 거꾸로 흘러가는 것이 된다. 우리 법률에 의하면 어떤 정부기관도 범죄혐의가 없는 한 정치인들을 감시하거나 뒤를 캘 수 없다. 따라서 두 의원의 주장은 사실 여부를 명명백백하게 가려 사실이라면 관련자들에게 정치적, 법적 책임을 엄중하게 물어야 한다.

그런데 이 의원은 24일 "더 이상 언급하지 않겠다"며 발을 뺐고, "사례 하나는 이미 파악했다"던 홍 의원도 입을 닫아 버렸다. 그러나 이번 사태는 이렇게 유야무야(有耶無耶) 넘길 일이 아니다.

군부 독재 시대엔 기자가 민주화추진단체 간부와 전화로 약속하고 만나기로 한 장소에 가면 정보기관 사람들이 먼저와 진(陣) 치고 있다가 "오늘 무슨 얘길 할 거냐"고 달려드는 일이 예사로 벌어졌다. 정보기관원들이 언론기관과 민주화단체 인사들 전화에 도청장치를 상시(常時) 꼽아놓고 있었던 것이다. 지금 우리가 그런 세상을 다시 살고 있다면 우리는 지난 대통령선거와 국회의원선거에서 사람들을 잘못 뽑은 것이다.

국민은 이번 폭로가 어디까지 사실이고 어디부터가 거짓인지 알 권리가 있다. 두 의원은 누가 언제 어디서 그런 일을 겪었는지 사실관계를 먼저 정확히 털어놓아야 한다. 그 토대 위에서 수사기관이 수사를 하든 국회가 국정조사를 벌이든 반드시 진실을 규명해야 한다. 박 전 대표 정치 사찰이 사실로 밝혀지면 내각 총사퇴라도 요구해야 한다. 그렇지 않고 '아니면 말고'식 구닥다리 폭로전(暴露戰)이라면 두 의원은 의원직을 사퇴하고 정계에서 물러나는 것이 마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