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은 천안함 사건과 관련, “북한의 도발행위이며, 이를 유엔 안보리에 회부한다는 한국 정부의 결정을 지지한다”고 말했다.
클린턴 장관은 26일 서울 도렴동 외교통상부 청사에서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과 공동 기자회견을 갖고 이 같이 말했다. 클린턴 장관은 “한국 정부가 제시한 증거는 압도적이었으며 결과는 부인할 수 없다”며 “이것은 용납할 수 없는 북한의 도발행위이고 국제사회는 이에 대응해야 할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
기자회견에 앞서 이명박 대통령을 예방한 클린턴 장관은 “이 대통령이 강하면서도 인내를 가지고 철저하게 진실을 규명한 것과 그후 대응책을 마련한 방식에 경의를 표한다”며 “이 대통령은 매우 자신 있고 결의에 차 있었다. 한국 정부가 취하는 조치들을 전적으로 지지한다”고 밝혔다.
클린턴 장관은 이어 “북한은 도발을 중단해야 한다”고 못박고, “(국제사회는) 북한의 호전성과 도발행위에 눈감아서는 안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중국 지도부와의 면담 결과에 대해 클린턴 장관은 “중국도 이번 문제의 심각성을 이해하고 있으며 한국과 미국의 우려사항을 경청할 준비가 돼 있다고 본다”면서 “앞으로 중국과 협의하고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의 핵 보유 사실때문에 대북 대응에 한계가 있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 유명환 장관은 “북한의 핵 능력은 아직 검증이 안된 상태”라며 “천안함 사건이 북한 핵 문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계기가 돼야 하며, 이를 통해 한반도 비핵화 필요성이 더욱 강조될 것”이라고 답했다.
유 장관은 이어 “북한에 대한 조치는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한 것”이라고 전제, “(국제사회의) 조치만이 북한을 올바른 길로 인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국 외교장관은 그러나 유엔 안보리 회부 시기와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언급을 피했다. 유명환 장관은 “유엔 안보리 상임·비상임 이사국들과의 긴밀한 접촉을 통해 우리의 의도를 달성할 것”이라면서도 “구체적인 (대북 제재) 조치는 이 자리에서 말하기 적절치 않다”고 밝혔다.
천안함 사건의 후속대책을 논의하기 위해 이날 오전 방한(訪韓)한 클린턴 장관은 이날 기자회견 후 귀국길에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