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정상회의 … 천안함 치열한 외교전
관련핫이슈
29~30일 제주에서 열린 한·일·중 정상회의의 톱이슈는 천안함 침몰사건이었다. 아직 입장을 정하지 못한 중국의 원자바오 총리를 이명박 대통령이 설득하고, 하토야마 일본 총리가 지원사격을 하는 모습이 계속 연출됐다.
◆움직일 듯 말 듯한 원자바오=청와대는 천안함 관련 내용이 합의문에 포함된 것 자체를 원 총리의 ‘긍정적 신호’로 해석했다. 원 총리는 30일엔 “중국은 책임 있는 국가”란 점을 앞세웠다. 천안함 사건과 관련된 입장을 정하는 데 국제적 여론을 고려하겠다는 뜻으로 청와대는 받아들였다.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 국면에서 중국의 협조가 절실한 한국으로선 기대를 걸 수밖에 없는데 외신은 큰 성과가 없었다고 보도했다. AP통신은 “원 총리가 유엔에서 북한을 규탄하려 하는 한국과 일본에 대해 지지를 표명하지 않았다”고 했고, AFP통신은 “한국과 일본은 중국이 북한을 비난하도록 압박했지만 뜻을 이루지 못했다”고 했다.
TV로 생중계된 공동기자회견에서 원 총리가 보인 태도는 정상회의에서의 비공개 발언을 했을 때보다 소극적이었다. “중대한 문제에 대해선 서로 배려를 해주고, 민감한 문제를 타당하게 처리하고, 정치적 신뢰를 강화해야 한다” “동북아 평화와 안정이란 전제조건이 없으면 어렵게 얻은 성과도 사라질 것”이란 말이 그 예다. 그의 이 발언은 북·중 관계의 특수성을 이해해 달라는 뜻으로도 들렸다.
◆중국 설득에 총력전 편 MB=이 대통령은 사흘 동안 원 총리를 설득하는 데 심혈을 기울였다. 그는 공동기자회견에서 “천안함 문제는 다뤄야 할 확실한 절차를 밟아야 한다”며 “근본적으로 일본과 중국 정상들께서도 저와 뜻을 같이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두 정상께서 적극 이해와 협력을 약속해 주셔서 매우 고맙다”고 했다. 중국의 협조를 기정사실화하며 압박하는 전략을 구사한 것이다. 이 대통령은 “국제사회에서 ‘책임’ 있는 양국에 ‘지혜로운’ 협력을 기대한다”며 중국을 치켜세우기도 했다. 또 “한국 정부의 목표는 한반도의 평화와 북한의 개방”이라고 강조하면서 중국의 걱정을 덜어 주려 했다.
제주=서승욱·남궁욱 기자
'경제,사회문화 > 사회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인 눈에 비친 "분노를 모르는 한국의 대학생들" (0) | 2010.05.31 |
---|---|
中國(人)은 實利 뿐 아니라 義理도 중시한다 (0) | 2010.05.31 |
교육감후보들 권한 넘는 공약 남발 (0) | 2010.05.31 |
전교조 교육’에 내 아이를 맡길 건가 (0) | 2010.05.31 |
]‘북한’ 한마디도 명시 안한 한중일 정상회의 (0) | 2010.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