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확보 못 하는 신문사 퇴출돼야”  |
신문위기 토론회, "부수 대비 10~20배 광고단가 요구 부당" |
|
|
|
-->광고시장 정상화를 위해 객관적인 데이터에 따른 광고 집행 관행이 정착돼야하고, 합리적인 시장기능에 따라 광고매출을 확보할 수 없는 신문사는 자연스럽게 퇴출되는 시스템이 자리 잡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언론재단이 연 ‘신문위기 극복을 위해 열린 토론회’에서 신문산업분과를 대표해 발제한 윤석민 서울대 교수는 4일 “전체 신문 산업의 만성적 생존 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매체환경에서의 시장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신문광고시장 개선은 반드시 한 번 거쳐야 하는 진통”이라고 말했다.
광고 의존율이 높은 현 신문 시장에서 광고로 인한 저널리즘 침해 사례가 계속 문제로 제기되고 있는 건 사실이다. 하지만 열독률 등을 통해 광고가 집행 될 경우 일부 신문사 광고 매출액이 급감할 것이라는 점에서 신문사의 상당한 반발이 예상된다.
또한 발행부수가 많은 일부 신문에 유리한 이 같은 전략이 시행될 경우 언론 다양성이 침해될 우려도 제기된다. 광고단가를 정하기 위한 객관적인 자료에 대한 부분도 신문사별로 이견이 있을 수 있다는 점에서 논란이 예상된다.
윤 교수는 “발행부수나 열독률 등 광고 효과와는 상관없이 신문을 발행, 배포한다는 사실만으로 광고 집행이 강요되고 있다”며 “매체력 대비 과도한 광고 요금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다. 심하게는 부수 대비 10∼20배의 요금을 지불하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신문산업분과는 또한 신문판매 시장 정상화를 위해 업계의 공정경쟁규약과 신문고시 준수 책임 강화, 신문판매시장 건전 경쟁 정착을 위한 공동 선언, 신문 판매 윤리 강령 제정 및 시행과 함께 구독료 인상을 추진 등을 제안했다.
이와 함께 ABC제도를 정착하기 위해 ABC 고유 부수공사 기능을 충실할 수 있도록 조직 역량과 전문성을 강화하고 조사 관리 방법론을 개발해야 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