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입장 바꿔 동참한 속사정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9일(현지시간) 핵무기 개발 의혹을 사고 있는 이란에 대한 추가 제재 결의안을 표결에 부쳐 찬성 12표, 반대 2표로 통과시켰다. 이번 결의안은 해외에 있는 이란 은행들에 대한 제재와 중앙은행을 포함한 모든 이란 은행의 거래 감시, 이란에 대한 유엔 무기금수 조치 연장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이란 혁명수비대와 관련된 은행과 41개 이란 기업이 제재 대상으로 선정돼 국제 거래를 할 수 없게 된다. 또 이란에 대한 전차 등 중무기 판매와 탄도미사일 관련 기술 등의 지원을 금지하고 있으며, 금지 대상 물품을 이란으로 운송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선박을 공해상에서 조사하거나 해당 물품을 압류하도록 하고 있다.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은 결의안과 관련, “이란에 대해 내려진 가장 강력한(significant) 제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표결에서 브라질과 터키가 반대표를 던졌으며 레바논은 기권했다.거부권을 가진 상임이사국인 중국은 당초 추가 제재에 부정적이었으나 이스라엘이 강하게 중국을 압박해 결의안에 동조하도록 한 것으로 드러났다. 뉴욕 타임스 보도에 따르면 이스라엘은 올 2월 중국에 고위급 대표단을 파견했다. 대표단은 중국 측에 이란의 핵무기 개발 의지를 담은 비밀문서를 보여줬다. 그러면서 국제사회가 이란의 핵무기 개발을 막지 못한다면 이스라엘이 나서 이란의 핵 시설을 폭격하겠다고 밝혔다. 그럴 경우 원유의 11%를 이란에 의존하는 중국 경제가 어떤 타격을 받게 될지 자세히 설명했다.
이스라엘 공군은 2007년 9월 북한이 지원한 시리아의 핵 시설을 폭격한 적이 있다. 익명을 요구한 이스라엘 정부 관계자는 “중국 측은 우리가 보여준 비밀문서에는 전혀 놀라지 않았으나 이란 폭격이 중국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지를 설명할 때는 바짝 긴장했다”고 말했다.
정재홍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