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세계 2위 경제력 바탕 주변으로 영향력 확대
이웃 국가들과 마찰 빚어 日도 명분대신 실리 택해
중·일 양국이 자존심을 내걸고 보름 이상 벼랑 끝 외교전을 펼쳤던 댜오위다오(일본명 센카쿠열도) 부근 중국어선 나포사건이 일본의 백기 투항으로 끝났다.일본 검찰이 사건 발생 17일 만인 24일 나포한 중국 어선 선장 잔치슝(詹其雄·41)을 '처분보류' 형태로 석방하기로 결정하자 중국 외교부 장위(姜瑜) 대변인은 "전세기를 보내 잔씨를 귀국시키겠다. 일본 측이 잔씨에 대해 진행한 어떤 형식의 사법절차도 불법이며 무효"라고 기세를 올렸다.
- ▲ 일본 종합건설사인 후지타의 임원 스치야 다스로씨가 24일 도쿄 본사에서 기자회견을 하면서 고개 숙여 절하고 있다. 전날 후지타의 일본인 직원 4명과 중국인 현지 직원 1명이 중국 허베이(河北)성 스자좡(石家莊)에서 중국 당국에 구금됐다. 중국정부는 이들이 허락 없이 군사지역에 들어갔다고 발표했다. /AFP 연합뉴스
당초 벌금형이라도 내릴 것이라는 외교 전문가들의 관측과 달리 일본은 중국 측 요구대로 아무 조건 없이 돌려보내는 쪽을 택했다. "순시선에 고의로 충돌한 선장의 공무집행 방해 혐의에 대해 엄정하게 법을 집행하겠다"고 다짐했던 호기는 찾아볼 수 없었다.
주중 일본대사 초치, 희소금속 대일(對日) 수출 중단, 자국인 일본여행 축소 등 일련의 조치 끝에 중국은 지난 21일 일본 건설업체 직원 4명을 체포해 억류했다. 옛 일본군이 2차대전 전에 중국 내에 남겨둔 화학무기를 제거하는 시설을 세우기 위해 허베이(河北)성에서 현장 조사를 나선 그들이 군사지역을 무단 촬영했다는 이유였다. 소식통들은 이 조치가 일본을 무릎 꿇게 하는 데 결정적 요인이 됐을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 8월에는 중국·인도 간 국경분쟁 지역인 카슈미르(인도)의 육군 북부사령관 B. S 자스왈 중장이 정례 군사교류차 중국에 오려고 비자를 신청했다가 거절당했다. 미국·인도 간 핵협력협정 때문이다. 중국은 곧바로 파키스탄에 원자로를 수출하기도 했다. 올 초 중국은 태평양·인도양을 잇는 중요 교통로인 남중국해를 '핵심 이익이 걸린 지역'으로 양해해 줄 것을 미국 측에 요구했다. 그 때문에 중국은 베트남·필리핀·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국가들과 마찰을 빚고 있다.
베이징 외교가에서는 중국이 이처럼 강력한 힘의 외교를 펼치는 배경으로 글로벌 금융위기를 계기로 달라진 중국의 위상과 부쩍 고조되고 있는 국내의 민족주의 정서를 꼽고 있다. 군부와 관료집단, 각종 정부기관 내 강경파들이 이런 여론을 등에 업고 공개적으로 강한 외교노선을 밀어붙이고 있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오는 2012년 퇴진하는 후진타오(胡錦濤) 주석의 국정 장악력이 떨어진 것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