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회문화/사회 , 경제

요즘 논란이 되는 역삼투압 정수기에 대해서...

화이트보스 2010. 9. 25. 22:08

요즘 논란이 되는 역삼투압 정수기에 대해서...


rosewing
2007/12/10, 06:21 pm
아래의 내용은 조선일보, 한겨레신문, 매일경제신문, 보건복지부. KBS뉴스, MBC뉴스, SBS에서
보도된 내용과 실험에 의해 확인된 내용을 정리한 것을 퍼온 글입니다
저희집도 웅*코웨이를 수년간 사용하고 있고 울 애기가 아침마다 일어나면 정수물을 마시게 하는데
이글을 보니깐 정수기물도 안심하고 먹을 수가 없네요
물론 어항을 시작하면서 어항 보충수용으로 별도 정수기를 쓰고 있고
웅*코웨이로는 열흘에 한번 물갈이 할때 웅*코웨이 정수물로 쓰고 있는데 앞으로 물갈이할때 번거롭겠지만
보충수용에서 분기를해서 쓰고 웅* 정수기를 없앨까 합니다
그리고 시중에서 시판되는 물, 제주 ***을 사서 먹을까 하는데...
혹시 회원님들 중에 자세한 내용을 아시는 분의 의견을 듣고 싶네요^^
궁금해서 웅*코웨이 사업소에 전화를 했더니 하는말...
"그래도 수도물보다 좋잖아요" 그냥 드세요라고 하네요 -.-;;

그냥 먹어도 괜찮은지 아니면 번거롭지만 없애고 사서 먹는게 좋을지...
(물론 사 먹는 물도 믿을수는 없겠지만...)
더 좋은 방법은 없을까요^^



1. 역삼투압 정수기 물은 산성 물입니다.

수소이온 농도(PH)는 물이 산성이냐 알칼리성 인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음용수 수질 기준에 중요하게 취급되는 부분이다. PH농도는 PH 7(중성)을 기준으로 그보다 낮으면 산성 그보다 높으면 알칼리성이다.

역삼투압 정수기 물은 PH5.6~6.0으로 산성 물이다.
산성 성분이 강한 물을 오래 마시면 뇌졸증. 암. 심장질환 등을 앓게 될 가능성이 보다 높다고 하며 낮은 경도는 심장 혈관 계통의 질환은 보통의 사람보다 15~40%정도가 높아 진다고 한다. 의학 적으로 우리 인체는 PH 7.0에서 7.5사이의 약 알칼리 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이온계측기(TDS)수치는 0으로 미네랄이 완전이 제거되어 증류수와 같은 물이다

역삼투압 정수기 판매원 들은 미네랄은 물이 아니라도 다른 음식물에서 얼마든지 섭취 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참으로 어처구니 없는 소비자를 완전히 무시하는 괴변입니다. 우리가 증류수를 음용수로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물속에 미네랄이 없으면 물은 분자 활동을 정지한 죽은 물이 됩니다.

따라서 진정한 물로서의 기능을 일부 상실한 상태가 되는 것입니다. 물속에 함유 되어 있어야 할 적당량의 미네랄은 안정된 수질분자 구조를 위해 필수 적이며 마실 물로써의 신선한 맛을 내는 중요한 요인이다.

3. 역삼투압 정수기는 정수하는 시간이 길고 저장탱크의 용량이 충분치 못하다

좋은 물을 사용한다는 것은 단순히 먹는 물만 좋은 물을 사용해서는 아무런 의미도 없습니다.
마시는 물, 쌀을 씻는 물, 밥을 짓는 물, 국을 끓이는 물, 찌개를 끓이는 물, 야채, 생선, 과일을 씻는 물 등 주방에서 사용되는 모든 물이 좋은 물로 사용되어야 합니다.
역삼투압 정수기 물은 결코 좋은 물도 아니지만 이렇게 사용하기에는 터무니 없이 부족 합니다.

4. 역삼투압 정수기는 물의 낭비가 엄청 납니다

우리 나라는 유엔이 정한 물 부족 국가이고, 많은 전문가들 역시 물 부족의 심각성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역삼투압 정수기가 1ℓ의 정수한 물을 얻으려면 4ℓ의 물을 버려야 합니다. 한마디로 말해서 60~70%의 물이 폐수가 아니면서 폐수로 버려지고 있습니다. 역삼투압 정수기 사용 가정의 물을 다 합친다면 어마어마한 량이 될 것입니다.

5. 역삼투압 정수기 물은 세균에 쉽게 오염됩니다.

식수의 원수(原水)는 댐이나 하천으로부터 끌어옵니다. 이 원수에는 여러 가지 유기물이나 유해물질 대장균이나 기타 잡균 등이 상당히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대량의 염소로 소독을 합니다.
역삼투압 정수기는 정수를 하는 과정에 이 염소성분을 완전히 제거해 버립니다. 그리고 정수한 물을 바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저장 탱크에 보관하고 사용하기 때문에 공기 속에 있는 세균에 쉽게 감염되어 세균배양이 아주 잘 됩니다. 오래 사용한 탱크 안이 어쩔지 상상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박명기
2007/12/11, 09:56 pm
연구원들이 적절히 실험해서
믿을만한 데이터가 나오면 좋으련만
다년에 걸처서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했단 얘기는
들리지 않네요.
언론에 보도된 실험이 객관적이고
진실됐다면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어야 될 사안입니다.

물론, 사실일 수도 있고
과장됐을 수도 있는데 이제 아무도 진실을 밝히려고하지
않지때문인지 이런 얘기도 그런가 보다하고
무감각해 집니다.

뭐하나 똑부러지게 진실을 밝히는게
없는 그런 세상인것 같습니다.
아니면 너무 속다보니 보이는 진실도
불신하는 세상인지....??

lambking
2007/12/12, 11:09 am
역삼투압 정수기 물이 증류수라는 것을 오래전에 본적이 있습니다.
이 방식이 증류수를 만들기 위한 방식이었고 그렇기에 순수한 물 분자외에
모든 것을 거르는 나머지 유리한 원소도 제거한다고 들었습니다.
그래서 사실 저는 일반중공사막 정수기를 쓰고 있습니다.
어항물도 마찬가지고요.
그리고 아시겠지만 웅* 이나 청* 제품 너무 비싸잖아요.
필터값은 얼마안하는데 케이스 좀 멋있게 하고 몇백씩 받고..
얘기가 이상하게 흘렀네요.

물고기나 산호에게도 미네랄이 필요하고
자연상태의 물에 미네랄이 존재한다면
당근 우리 어항에 사용하는 물도 이런 물을 사용해야 하지 않을까합니다.

단장행님
2007/12/12, 03:18 pm
rosewing 님의 글을 보니 머리속에 팍팍 들어오는군요 !
아파트에 살다보니 물을 욕조에 가득 받아보니 시커먼 가루가 바닥에
엄청 나오더군요 ! 거의 소주잔에 담으면1/5 정도 나올양입니다.
이런물로 양치질하고 세수를 한다고 생각을 하니... 놀랏습니다.

물론 정수기로 버려지는 페수는 많습니다
전 이 페수되는 물을 다시 들통에 연결해 유용하게 사용합니다
일반 설거지용으로 말입니다

물만 많이 마셔도 건강에 참 좋습니다
그런데 일반물은 많이 마실수가없습니다
근데 정수기물은 야자수열매로 탄을 만들어 넣어 물맛을 맛있게 합니다.
고로 일반 수돗물을 끓여 마시는것보다 더 많이 마시고싶은 충동을 느낍니다.
그래서 좋은것 같습니다

저희 사무실에 일반들통(20리터) 정수기 물통을 바꾸려고 오시는 분에게
살짤 물엇습니다

" 이거이거 TV 보니깐 쌔리 수돗물 받아넣고 대충 소독한다드만 맞소 ?
맞지요 ? 정말 암반수 1500미터에서 끌어댕깁니까 ?
전기세만해도 엄청날낀데.. 이돈 받아서 남는거 있겠소 ? 라고 물으니 "

그냥 웃습니다. 워낙 대한민국에 나쁜 사람들이 판을 치는 세상이다보니..
자기도 모르겠다고 합니다. 다시한번 놀랄일입니다

전 이렇게 생각을 합니다.
우리가 많은 돈을 들여 정수기에 투자를 하는것은
물속에 있는 중금속을 섭취하지 않기위해서이지
물속에 잇는 미네랄을 섭취하기 위해서가 아니라고 전 생각을 합니다
중금속은 오줌이나 떵으로도 배출하지 못합니다.
우리몸속에 영원히 계속 축척되는겁니다

아무리 좋은 양질의물을 만든다고 하여도 운반과정인
우리가정의 수도파이프를 통과하면서
벌써 배관속에서 더러운물로 바뀌어져 온다는 겁니다.



:멋적:

단장행님
2007/12/12, 03:31 pm
참 한가지 추가로...

TDS 측정기 저도 있습니다. 심심하면 측정을 해보는데...
전에도 한번 글을 올렸습니다.

정수기물 ; 0 입니다
수돗물 ; 60 정도
지하수 ; 120정도
생수 ; 25정도
대충 기록입니다
그 나마 생수가 좀 낫습니다

고로 이 수치는 물속에 있는 중금속의 양이라고 보시면 된다고 합니다
우리가 섭취해야할 철분이 하나도 없으니 죽은 물이 아니냐 반문을 하니
하루중 성인이 마시는 2~3리터의 물속의 철분 함유량은
멸치 1~2마리 양밖에 안된다고합니다 . :멋적: :멋적:

물장수
2007/12/12, 04:54 pm
뭘 그렇게 걱정하셔요
핀포인트로 실측 하믄되지^^

저희집은
핀포인트 진즉에 팔아묵고^^
담수용 P/H시약으로 재보았는데

수도물(원수) 7.0
중공사막식(음용수)6.7
역삼투압(수조보충수)6.7 나옵니다^^
물론 측정방법및 비색에 관련한 오차 있겠죠^^

전에 생수하면서 용인에 살때도
원수,역삼투압,중공사막식등등 여러가지 체크해보았는데
정수처리 이후의 P/H 변화는 폭이 크지않았던걸루 기억해요

찜찜하면 실측^^


그리고
아래 링크는
TDS에 대한 글입니다
http://www.koreareefclub.com/forums/showthread.php?threadid=66327

만일
매일 먹는물이 일정분량의 미네랄(염류,이온)이 소실되는 구조이고
그 소실된 특정한 요인(발란스)때문에 건강상의 문제가 생긴다고 가정한다면
그요인은 대부분 칼슘이 아닐껍니다
칼슘은 이미 여러가지 형태의 보충제가 보편화되어 있으니까요

건강을 위해 역삼투압정수를 선택했고 장기간 음용하는 사람이라면
미네랄타브렛(보충제)을 규칙적으로 드시는게
위의 건강이라는 키워드하고 맞지않나 싶습니다

그럼

lambking
2007/12/12, 05:38 pm
세상에서 제일 좋은 물은 증류수가 되겠네요? :)

근데
에비앙 생수가 인정받는 것은
그 생수가 증류수라서 그런건 아니지 않을까요?

중금속도 양이 많을때 문제이지 "0"이 좋은상태는 아니라고 생각해요.
자연상태 그 어디에도 소위 중금속은 존재합니다.
(방사선도 자연상태에 존재한다잖아요)
항상 너무 많을때가 문제가 되는거 아닐까요?
중금속이 무서워서 증류수를 먹어야 한다면,
세상에서 제일 좋은 물은 정말 증류수가 되겠죠.

저는 역삼투압 방식으로 인해 미네랄의 결핍을 염려하는 것은 아니고요,
다만 별거없고 어쩌면 좋지 않을 수도 있는,
단지 여러 정수방식 중의 하나로서 장단점이 분명한 방식을,
일부 기업체의 상술에 넘어가서
불필요하게 선호하는게 아닌가 싶어서 그럴 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