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회문화/사회 , 경제

광주시, 특급호텔 특혜 ‘의혹’ 풀어야

화이트보스 2010. 10. 8. 20:30

광주시, 특급호텔 특혜 ‘의혹’ 풀어야
입력: 2010.10.08 00:00
광주광역시가 서구 치평동 A특급호텔과 김대중컨벤션센터간 지상 연결통로 추진과정에서 특혜의혹에 휘말리고 있다. 상무지구 A특급호텔과 맞은편 김대중컨벤션센터를 지상으로 연결하는 130m 통로건설비를 일부 지원해 주기로 했기 때문이다.
시는 이 연결통로 건설비 40억원 가운데 무려 70%(28억원)를 지원해 주기로 했다. 나머지 30%(12억 원)만 호텔 측에서 부담한다는 것이다. 김대중컨벤션센터 활성화를 명분으로 내세우고 있으나 특정 업체에 공사비의 70%를 지원해 주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 가뜩이나 어려운 서민들에겐 28억원은 천문학적인 액수다. 게다가 지난 2006년 호텔을 유치하는 과정에서 호텔 옆 부지를 준주거지역으로 용도 변경하는 인센티브를 줘 업체가 361가구 규모의 아파트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해 준데 이어 나온 것이어서 시민들은 어리둥절할 따름이다.
광주시의 지원 방침은 지난해 12월 김대중컨벤션센터 이사회 때 센터 활성화 방안을 찾는 과정에서 공론화 돼 지난 4월 말 결정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 광주시는 제2차 추가경정예산안에 설계비 1억6천여만원을 우선 반영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임 박광태 시장때 정해진 방침을 이행하는 절차를 밟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전임 시장때의 결정을 그대로 따르라는 법은 어디에도 없다. 특히 특정 업체에게 특혜를 주고 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사안의 경우 더욱 더 철저한 검증을 통해 의혹을 풀어줘야 할 것이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특혜를 주기 위한 것이 절대 아니다”면서도 “행정의 신뢰도 측면에서 당초 약속을 이행해야 한다는 것이 시의 기본적인 입장”이라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시는 특혜시비가 일자 내년도 예산안에 사업비를 한 푼도 요구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오히려 의혹만 증폭시키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제 공은 강운태 시장에게 넘어갔다. 관계 공무원에게 지원 방침 결정 과정의 진실을 정확히 파악하게 한 뒤 현명한 판단을 내려야 할 책임이 주어진 것이다. 그리고 시민들에게도 낱낱이 알려 특혜 의혹 논란에서 벗어나야 한다.
이 호텔은 지하 2층 지상 10층, 200실 규모로 이달 말 개장될 예정이다. 이 모든 행정적인 결정이 호텔 오픈 이전에 마무리돼야 광주시나 호텔측도 홀가분하지 않겠는가. 그래야만 ‘창조도시 광주 건설’이 탄력을 받고 광주시가 시민들로부터 신뢰를 받을 것이다.
 의 다른 기사보기
집중호우 광주·전남도 비상
금강산관광 재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