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회문화/사회 , 경제

C&그룹 압수수색 왜?…재계에선 “다음 어디냐” 잔뜩 경계

화이트보스 2010. 10. 21. 11:07

C&그룹 압수수색 왜?…재계에선 “다음 어디냐” 잔뜩 경계

헤럴드경제 | 입력 2010.10.21 10:24

검찰이 태광그룹에 이어 C & 그룹 각 계열사에 대한 전격적인 압수수색에 나섬에 따라 재계의 긴장도가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C & 그룹은 이명박정부 들어 사정대상 기업 리스트에 올랐던 기업으로, 대검 중수부의 기업 및 정ㆍ관계를 타깃으로 한 전방위 사정의 신호탄이 울렸다는 분석도 나온다.

특히 대검찰청은 조만간 몇몇 대기업의 비자금 비리와 관련된 수사 역시 착수할 것으로 알려져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이후 사실상 중단된 대검중수부가 '특정목적'을 갖고 재가동된 것 아니냐는 시각도 제기된다. 노 전 대통령 서거 이후 대검이 충분히 시간을 갖고 일부 기업의 비리 혐의 자료를 준비해왔다는 일각의 분석도 향후 대기업 사정의 수위를 가늠케 한다.

이번에 압수수색을 받은 C & 그룹은 주식회사 C & 해운과 C & 상선, 주식회사 C & 우방 등 41개 계열사를 거느리고 있는 기업이다. 전신은 1990년 설립된 칠산해운이다. 최근 10년간의 해운업 활황에 힘입어 자금력을 강화해왔으며 거침없는 인수합병(M & A)을 통해 패션과 건설, 조선 등으로 사업영역을 넓혔다.

특히 2004년 한강유람선 사업을 하는 C & 훼리와 컨테이너 제조업체인 C & 진도를 계열사로 편입시킨 데 이어 건설업에도 뛰어드는 등 참여정부 시절에 사세를 크게 확장시켰다. 이로 인해 현정부에 곱잖은 시선을 받았으며 일찍부터 사정대상이었다는 관측이 제기돼왔고, 실제 2008년 이후 계열사인 C & 중공업과 C & 우방이 워크아웃을 신청하는 등 사세가 크게 흔들렸다.

검찰 수사가 C & 그룹으로 번지면서 재계에선 "다음은 어디냐"는 말도 나돌면서 안테나를 총동원하는 분위기다.

대기업 한 임원은 "검찰 수사 방향과 범위가 심상치 않다"며 "비리가 있으면 처벌이 뒤따라야 하지만, 전체적으로 기업 분위기가 위축될 수 있어 걱정된다"고 말했다. 전경련 관계자는 "이명박정부 임기 중반 이후 공정사회를 강조하면서 비리를 척결하겠다는 의중이 상당히 강해 보인다"며 "본격적으로 신성장동력 창출을 위해 투자를 단행해야 하는 시점에서 자칫 무리한 사정이 가져올 폐단도 고려해야 하는 것 아닌가 한다"고 강조했다.

김영상ㆍ하남현 기자/ysk@herald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