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의 발견은 없었지만…‘지구별의 독선’은 깨졌다
헤럴드경제 | 입력 2010.12.03 11:16 | 누가 봤을까? 30대 남성, 대전
6대 필수원소 상식 파괴
기존' 생명체 개념' 뒤엎어
슈워프 콜럼비아大 교수
"음식대신 고철덩어리 섭취…
인간이 사이보그로 변신"
2년 전 미 항공우주국(NASA)가 비틀스의 노래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Across The Universe) '를 우주로 쏘아보낼 때만 해도 외계생명체 탐색을 향한 과학자들의 낭만적 열정처럼 비쳐졌던 것이 사실이다. 그로부터 2년 후 NASA가 외계생명체 증거 연구에 관한 '중대 발표'를 선언하자 세계는 술렁였다.
3일 새벽(한국시간) NASA가 드디어 입을 열기까지 발표 내용을 두고 "외계인의 침공이냐, 지구인의 습격이냐"에 대한 논의가 인터넷을 뜨겁게 달궜다. ET의 발견은 아니었지만 이날 발표된 벌레 모양의 '비소 박테리아' 발견은 지구만이 생명체가 사는 유일한 별이라는 독선을 깨뜨리고 외계생명체의 존재 가능성을 높인 획기적인 성과로 평가되고 있다.
▶생명, 새롭게 정의되다
="지구상에 이 같은 생명체가 있다는 사실은 외계에도 생명체 존재가 가능함을 암시하는 것이다." 이날 NASA가 독성물질인 비소(As)를 활용해 생존하는 신종 박테리아의 존재를 공식 발표하면서 학계가 술렁이고 있다. 당초 NASA는 이번 발표를 앞두고 이례적으로 '중대 발표' 예고까지 하면서 일각에선 외계생명체, 더 나아가 지능을 갖춘 외계인의 존재가 확인된 것이 아니냐는 추측까지 쏟아져 나왔다. 비록 이번 결과가 세간의 이러한 관심과 기대에는 못 미치는(?) 지구상의 희귀 미생물 발견이지만, 학계에선 "전통적 생명체의 개념을 뒤엎는 획기적인 발견"이라며 향후 외계생명체에 대한 폭넓은 논의가 진행될 것이라고 한껏 기대에 들뜬 모습이다.
NASA 우주생물학 프로그램 소속 펠리사 울프-사이먼 박사는 우리 시간으로 이날 오전 4시 진행된 기자회견에서 흥분된 어조로 '근본적으로' 다른 생명체의 발견을 선포했다. 그는 "기존 지구생명체와 다른 방식으로 살아가는 방법을 보여주는 미생물이 발견됐다"면서 "캘리포니아 모노 호(湖)에서 찾은 박테리아 'GFAJ-1'는 비소의 독성을 처리할 뿐만 아니라 이를 먹이로 삼아 자란다"고 설명했다.
지금까지는 모든 생명체가 탄소(C) 수소(H) 질소(N) 산소(O) 인(P) 황(S) 등 이른바 '생명체 필수 6대 원소'로 구성돼 있다고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이번에 인 대신 비소를 기반으로 생존할 수 있는 GFAJ-1이 확인됨에 따라 인류가 생각해 오던 생명체와 판이한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외계생명체 존재 가능성 높다
=생명체의 개념을 아예 다른 차원으로 끌어올리는 이번 결과에 학계는 비상한 관심을 나타내며 일제히 주목하고 있다. 하버드-스미소니언 센터의 디미타르 사셀로프 박사는 "자연은 수많은 물질 중 오직 한정된 부분만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면서 "이번 연구는 다른 선택이 있다는 사실을 알려준 첫 번째 연구결과"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컬럼비아 대학 칼렙 슈워프 교수는 이번 연구에 대해 "마치 인간이 음식 대신 고철 덩어리가 가득한 방에 가둬진 후 완전히 제 기능을 하는 사이보그(인조인간)으로 변신한 것"에 비유했다. 미 스크립스연구소(TSRI)의 제럴드 조이스 박사는 "이번 연구결과는 다른 형태의 생명체가 존재한다는 원칙을 보여준다"면서 "다른 세계에서도 생명체가 존재함을 암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가 발표되면서 최근 우주물리학자 스티븐 호킹이 외계인의 존재를 주장한 인터뷰 내용도 다시금 화제가 되고 있다. 호킹은 디스커버리 채널과의 인터뷰에서 "외계생명체 대다수는 미생물의 형태일 것이나 일부 발달한 생명체들은 우주를 떠돌아다니며 정복과 식민화를 꾀하고 있을 수 있다"고 경고해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유지현 기자/prodigy@heraldm.com
▶ 다시 달아오른 21세기 외계인說…시작은 BC 3세기부터
▶ "비소로 생존하는 박테리아…외계생명체 찾는 일 새 전기"
☞[소셜커머스] "열선도 전자파도 없다 " … 전기장판계의 '종결자' 나왔다
기존' 생명체 개념' 뒤엎어
슈워프 콜럼비아大 교수
"음식대신 고철덩어리 섭취…
인간이 사이보그로 변신"
2년 전 미 항공우주국(NASA)가 비틀스의 노래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Across The Universe) '를 우주로 쏘아보낼 때만 해도 외계생명체 탐색을 향한 과학자들의 낭만적 열정처럼 비쳐졌던 것이 사실이다. 그로부터 2년 후 NASA가 외계생명체 증거 연구에 관한 '중대 발표'를 선언하자 세계는 술렁였다.
3일 새벽(한국시간) NASA가 드디어 입을 열기까지 발표 내용을 두고 "외계인의 침공이냐, 지구인의 습격이냐"에 대한 논의가 인터넷을 뜨겁게 달궜다. ET의 발견은 아니었지만 이날 발표된 벌레 모양의 '비소 박테리아' 발견은 지구만이 생명체가 사는 유일한 별이라는 독선을 깨뜨리고 외계생명체의 존재 가능성을 높인 획기적인 성과로 평가되고 있다.
▶생명, 새롭게 정의되다
="지구상에 이 같은 생명체가 있다는 사실은 외계에도 생명체 존재가 가능함을 암시하는 것이다." 이날 NASA가 독성물질인 비소(As)를 활용해 생존하는 신종 박테리아의 존재를 공식 발표하면서 학계가 술렁이고 있다. 당초 NASA는 이번 발표를 앞두고 이례적으로 '중대 발표' 예고까지 하면서 일각에선 외계생명체, 더 나아가 지능을 갖춘 외계인의 존재가 확인된 것이 아니냐는 추측까지 쏟아져 나왔다. 비록 이번 결과가 세간의 이러한 관심과 기대에는 못 미치는(?) 지구상의 희귀 미생물 발견이지만, 학계에선 "전통적 생명체의 개념을 뒤엎는 획기적인 발견"이라며 향후 외계생명체에 대한 폭넓은 논의가 진행될 것이라고 한껏 기대에 들뜬 모습이다.
NASA 우주생물학 프로그램 소속 펠리사 울프-사이먼 박사는 우리 시간으로 이날 오전 4시 진행된 기자회견에서 흥분된 어조로 '근본적으로' 다른 생명체의 발견을 선포했다. 그는 "기존 지구생명체와 다른 방식으로 살아가는 방법을 보여주는 미생물이 발견됐다"면서 "캘리포니아 모노 호(湖)에서 찾은 박테리아 'GFAJ-1'는 비소의 독성을 처리할 뿐만 아니라 이를 먹이로 삼아 자란다"고 설명했다.
지금까지는 모든 생명체가 탄소(C) 수소(H) 질소(N) 산소(O) 인(P) 황(S) 등 이른바 '생명체 필수 6대 원소'로 구성돼 있다고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이번에 인 대신 비소를 기반으로 생존할 수 있는 GFAJ-1이 확인됨에 따라 인류가 생각해 오던 생명체와 판이한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외계생명체 존재 가능성 높다
=생명체의 개념을 아예 다른 차원으로 끌어올리는 이번 결과에 학계는 비상한 관심을 나타내며 일제히 주목하고 있다. 하버드-스미소니언 센터의 디미타르 사셀로프 박사는 "자연은 수많은 물질 중 오직 한정된 부분만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면서 "이번 연구는 다른 선택이 있다는 사실을 알려준 첫 번째 연구결과"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컬럼비아 대학 칼렙 슈워프 교수는 이번 연구에 대해 "마치 인간이 음식 대신 고철 덩어리가 가득한 방에 가둬진 후 완전히 제 기능을 하는 사이보그(인조인간)으로 변신한 것"에 비유했다. 미 스크립스연구소(TSRI)의 제럴드 조이스 박사는 "이번 연구결과는 다른 형태의 생명체가 존재한다는 원칙을 보여준다"면서 "다른 세계에서도 생명체가 존재함을 암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가 발표되면서 최근 우주물리학자 스티븐 호킹이 외계인의 존재를 주장한 인터뷰 내용도 다시금 화제가 되고 있다. 호킹은 디스커버리 채널과의 인터뷰에서 "외계생명체 대다수는 미생물의 형태일 것이나 일부 발달한 생명체들은 우주를 떠돌아다니며 정복과 식민화를 꾀하고 있을 수 있다"고 경고해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유지현 기자/prodigy@heraldm.com
▶ 다시 달아오른 21세기 외계인說…시작은 BC 3세기부터
▶ "비소로 생존하는 박테리아…외계생명체 찾는 일 새 전기"
☞[소셜커머스] "열선도 전자파도 없다 " … 전기장판계의 '종결자' 나왔다
'경제,사회문화 > 사회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관진 "北, 추가 도발시 항공기 통해 폭격" (0) | 2010.12.03 |
---|---|
전선,전자파가 없다 ” … 온열매트 ‘종결자’ 드디어 등장했다 (0) | 2010.12.03 |
NASA "독성물질인 비소기반 미생물 발견...생명체 개념 확장" (0) | 2010.12.03 |
한국 물산업 어디까지 왔나 (0) | 2010.12.03 |
국토부 2020년 까지 신도시 개발 않기로 (0) | 2010.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