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기/산행 정보 모음

사랑도 지리망산 ! 이충절에 바다 !! 지나는 이 고개 숙이소서!!!!!!

화이트보스 2010. 12. 25. 18:44

 

사량도에 지리망산을 다녀왔습니다.

 

바다와 산이 한데 어우러진 환상의 비경과 이순신장군에 호국충절어린 그바다을 바라봅니다.

통영시(옛 충무시)에서 새벽길을 재촉하여 가오치선착장을 떠나 새벽바다를 가르는  사량호선상에서  환상적인 일출을 접하는 행운을 얻었습니다. 아름다운 한려수도에서 힘차게 솟아오르는 태양을 바라보는 감회는 정말 또 다른 희망과 용기를 속삭여주는 것 같은 감미로움과 함께 희소한 느낌속에서도 벅찬 감동이였습니다.

저는 언제나 남해 노량앞바다 관음포만을 지나면 이순신 장군에 생각으로 숙연해진니다. 오늘도 한산대첩에 현장을 바라보는 자리에서 많은 생각을 했습니다.

어느 시인에 절규를 다시 한번 생각해봅니다.

 

엎드려 비는 마음 !!이겨례 잘 살게 하옵소서 !!

 

 

 충절의 바다에 솟는 태양이여!!  장군에 혼을담아 이겨례 !! 어떠한 시련에도 굴하지않게 하소서 !!

 

 사량도에 유래는 두가지입니다.상도와 하도를 가르는 물길이 마치 뱀이 지나는듯한 형세여서 이해협을 사량이라고 하였다는 설과 옥녀의 설화에서 유래되어 사랑이 사량으로 발음되어 사량도라 불리우게 되었다는 설이 있답니다.

어떠한 연유로 이배가 여기에 전시되어 있는지 모르겠습니다만 1971년 고교1학년때 이배를 부산에서 충무까지 승선한 경험이 있는 당시의 대한민국 최초 최고의 수중익선 입니다. 이배를 타고 추우까지오는 도중

이미자님에 "삼백리 한려수도 그림같구나"하는 음악이 나왔던 기억이 난니다 .엔젤호! 정말 유명한 배입니다.

하산길에 연유를 알아오려 했는데 배출항시간이 없어 다음기회에...

 

 

 임진왜란중 처음 출전한 옥포해전은 우측 거제 앞바다 ,멀리 보이는 남해 좌측바다는 장군께서 마지막 해전을 치룬 노량 앞바다입니다. 노량해전에서 " 내죽음을 알리지 말라"는 마지막 유시를 남기시고  1598년 11월19일 새벽 전사하신 노량 앞바다 관음포가 바라보인니다.

 

옥녀봉 정상입니다. 봉곳한 산봉우리에 형상이 여인의 가슴을 닮았을  뿐 아니라 산세가 여인이 거문고를 타는듯한 옥녀탄금형을 이루었다는 풍수지리설에서 유래했답니다. 

대항 해수욕장입니다 모래의 질이 곱고 수심이 완만하다고 합니다. 

 

 

대항 해수욕장입니다. 

 

 

사량도에 산은 정말 옥녀봉에서  지리망산 돈지 하산 끝까지 기다란 용에 등비닐을 밟고가는 느낌의 암벽산이였습니다. 3시간 30분의 산행시간중  발바닥에 전해오는 느낌이 꼭, 설악산에 공룡능선, 화채봉을 타는것 같았습니다. 너무나도 아름다운 풍광, 시원한 오존을 가뜩품은 한려수도에 갯내음 가득한 해풍,그리고 품격있는 산세등 모든게  휼륭한 명산이였 습니다.

 사량도을 가실땐 통영을 경유 하시지 말고 순천 ~ 하동~ 곤양IC에서 바로 삼천포 유람선 선착장으로 가시면 아주 가깝습니다. 순천에서 삼천포 사천대교까지는 65km에 불과합니다. 올때 우리가 그길을 이용했습니다.

 누구에 간절한 염원을 담아 쌓은 탑일까요?  맨위 2개는 제가 쌓았습니다.

 쾌속으로 질주하는 모습이 거침이없이 좋아보여 카메라 내장 줌으로 잡았습니다

 

 

 사량도 산행은 험난한 코스가 많습니다. 심신장애나 고소공포증,연로하신 분은 우회로를 이용하여야 합니다

 

 

 저 친구가 눈에 보이는 선착장에 수를 헤아리고 있습니다. 고향생각이 났겠지요.사회간접자본(soc)투자 비율에 너무나도 안타깝기만 했습니다.. 언제나 느끼는 상대적 빈곤이였지만....

 실루엣으로 잡은 한려수도에 평온과 아늑함입니다.

 사량도에 지리망산은 해발 398m산으로서 "2002년 세계 산의 해" 을 맞아 산림청이 선정한 한국100대 명산에 속하는 비경에 산입니다.  이곳에서 바라보는 내륙에 지리산이 한려수도의 풍광과 어울려져 탄성을 자아낸다고 합니다. 오늘은 약간의 운무로 인하여 지리산을 관망하지 못했습니다.

 사량도 선착장입니다.  깨끗이 정비가 된 아름다운 섬입니다.

사량도 등대입니다. 멀리보이는 곳은 경남통영(옛날 충무시) 도산면 입니다. 이순신장군에 한산섬제승당,한산대첩,23전23승에 대첩,당신에 생명을 내던진 노량앞바다을

부둠켜안고있는 이바다는 호국충절에 바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