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회문화/정치, 외교.

대구 간 박근혜, 경상도 사투리 유머로 폭소

화이트보스 2011. 1. 5. 17:15

대구 간 박근혜, 경상도 사투리 유머로 폭소

입력 : 2011.01.05 16:30


지난 3일부터 사흘째 ‘정치적 고향’ 대구를 방문중인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가 특유의 ‘사투리 유머’를 선보였다.

박 전 대표는 5일 오전 노인회관 4곳을 방문했다. 박 전 대표는 노인들에게 “저를 따뜻한 마음으로 사랑해 주셔서 바르고 좋은 정치를 할 수 있었다”고 감사를 표하면서 일일이 손을 잡고 악수를 하는 등 적극적인 스킨십을 과시했다.

박 전 대표는 화원읍 노인회관에 들렀을 때 마이크를 들고 “웃으실 수 있는 이야기를 해드리겠다”며 ‘사투리 유머’를 구사했다.

그는 “지하철에서 한쪽에는 서울 학생들이 있고, 다른 쪽에는 경상도 학생들이 앉아 있었다. 경상도 사투리는 언뜻 들으면 싸우는 것 같지 않냐. 경상도 학생들이 사투리로 얘기해 시끄러우니까 서울 학생들이 ‘거기 좀 조용히 해주세요’라고 말했고, 경상도 학생들이 ‘이칸이 마 다 니칸이가’(이 지하철 칸이 다 너희들 것이냐)라고 말했다고 한다”면서 “그러자 서울 학생들이 자기들끼리 ‘거봐, 한국 사람이 아니라고 했잖아’라고 했다더라”고 농담을 던져 좌중을 웃음바다로 만들었다.

박 전 대표는 “하나 더 해드리겠다”며 유머를 이어갔다. 박 전 대표는 “서울 출신 선생님이 경상도 학교에서 시험 도중 커닝을 한 학생에게 ‘경상도 학생은 이렇게 커닝을 많이 하니’라고 야단치자 학생이 ‘천지 삐까리’(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한다)예요’라고 답했대요”라며 “이 선생님이 무슨 말인지 몰라 동료에게 물어보니 ‘쎄삐렀다’(많다)는 뜻이라고 했대요”라고 말해 폭소를 자아냈다.

박 전 대표는 지난해 9월 한나라당 여성의원들과 오찬에서도 사투리 유머를 구사해 화제가 된 바 있다. 당시 박 전 대표는 “경상도 할머니와 외국인이 버스정류장에서 만났어요. 버스가 도착하자 할머니가 '왔데이('왔다'의 경상도 사투리)'라고 했고, 'What day'로 알아들은 외국인은 'Monday(월요일)'라고 답했죠. 할머니는 이를 '뭔데'라고 이해하고 '버스데이'라고 했어요. 외국인은 할머니의 생일이라는 줄 알고 '해피 버스데이'라며 축하했는데, 할머니는 '시내버스데이'라고 대꾸했대요”라고 해 웃음을 자아냈다.

한편 박 전 대표는 설화리 노인회관에서 팔순의 한 노인을 환한 미소로 맞아 눈길을 끌었다. 이 노인은 “박정희 전 대통령의 교사 시절 경북 문경의 하숙집에 있던 살구나무가 선친 서거 직후 꽃 두송이를 피우고 죽었는데 최근 약 30년만에 다시 꽃이 피었다고 들었다”며 “못다한 꿈이 남아 있다가 그걸 이루려고 다시 핀 것 같다”고 말했다. 이에 박 전 대표는 감회어린 표정으로 “중요한 일로 생각해 기억하셨군요”라고 화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