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中진출기업 89% "저임금 매력,5년내 사라질것" 대한상의, 중국의 임금수준 및 인상속도 설문 (서울=연합뉴스) 김남권 기자 = 중국시장 진출 기업 10곳 중 9곳은 현지 진출의 최대 매력으로 꼽혀온 '저임금 경쟁력'이 5년 안에 사라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 222곳을 대상으로 '중국의 임금수준 및 인상속도'에 관해 설문조사한 결과, '3~5년 내 중국의 저임금 투자매력이 사라질 것'이라고 답한 기업이 전체의 45.6%였다고 6일 밝혔다. '1~2년 내'는 29.2%, '이미 소멸했다'는 14.2%로 '저임금 매력이 이미 사라졌거나 늦어도 5년 새 사라질 것'이라는 전망이 89%에 달했다. 중국의 임금 상승 속도와 관련해서는 응답기업의 대다수인 99.1%가 빠르다(매우 빠르다 72.7%, 빠르다 26.4%)고 느끼는 것으로 파악됐다. 실제로 중국 근로자의 연평균 임금은 2000년 이후 매년 평균 12.6%씩 가파르게 올라 1999년 9천875위안(170만원, 현재 환율 기준)에서 2009년 3만2천244위안(554만원)으로 10년 만에 3배 이상으로 올랐다고 대한상의는 전했다. 그러나 가파른 임금 오름세에도 중국시장은 국내 기업들에 여전히 매력적인 투자처인 것으로 조사됐다. 향후 중국 내 투자 계획과 관련한 물음에 '현재 수준으로 유지하겠다'(58.0%)가 가장 많았고, '확대할 것'이란 답도 28.3%나 됐다. 축소하거나 제3국으로 기업을 이전하는 등 중국에서 철수하겠다는 응답은 각각 8.2%와 5.5%에 불과했다. 많은 기업들이 중국의 임금인상에 따른 대응방안으로 '자동화 등 생산성 제고'(36.6%)를 꼽았고, 수출에서 중국 내수 중심으로 사업모델 전환(19.2%), 중국 내륙도시로 생산라인 이전(7.5%) 등도 고려하고 있었다. 중국진출 기업의 경영애로사항(복수응답)으로는 노동규제 강화(46.4%)가 가장 많았고, 생산인력 부족(44.1%), 잦은 법규 및 제도 변경(25.5%), 관리자 및 전문인력 부족(20.9%) 등이 뒤를 이었다. 이동근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지난해 10월 중국 정부가 12차 5개년(2011~2015년) 계획을 통해 임금상승을 공식화한 것에서 보듯 중국의 저임금 시대는 조만간 저물 것"이라며 "저임금에 의존하는 가공무역에서 벗어나 중국 내수시장과 고부가가치 시장을 직접 공략하는 전략을 펴야 한다"고 조언했다. |
'아픈역사에서 배운다 > 중국 사업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 ‘8% 성장 원칙’철회]“민생없이 안정없다”… (0) | 2011.03.07 |
---|---|
‘인도 경제를 중국 경제와 달리 봐야 할 8가지 이유’ (0) | 2011.03.07 |
중국에 기댄 韓경제, 대중국 전략 다시짜야" (0) | 2011.03.07 |
中 ‘8%성장포기’ 환율에 미칠 영향은 (0) | 2011.03.07 |
'선부론(先富論)' 버린 대륙, 분배로 방향 틀다 (0) | 2011.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