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회문화/사회 , 경제

정치권을 간첩 아지트 만드는 자들이 누군가

화이트보스 2011. 8. 1. 06:18

정치권을 간첩 아지트 만드는 자들이 누군가

인쇄메일스크랩
북한은 남한의 반(反)정부세력과 손잡고 대한민국 체제 전복을 기도해 왔으나 1970년대 이후 방향을 전환했다. 남한 국민의 안보의식 등 경계 태세가 강화되자 북한은 ‘하층 통일전선’ 전략에 ‘상층 통일전선’ 전략을 추가했다. 그때까지 제휴 대상이 아니라고 여겼던 남한 정부와 정부 관련기관 등의 ‘상층부 인사’들에게 손을 뻗친 것이다.

북한 ‘상층 통일전선’ 전략 경계해야

좌익운동 이론가로 활동했다가 전향한 안병직 서울대 명예교수는 박정희 정권 당시 수사기관이 발표한 좌익사건 대부분이 “기본적으로 사실”이라고 증언했다. 인혁당은 공산혁명을 위해 남한에서 자발적으로 생겨난 조직이고, 통혁당은 북한의 지령에 따라 결성된 혁명조직이었다는 것이다. 이동복 북한민주화포럼 상임대표는 “김대중 노무현 정권 때는 정부 스스로가 넓은 의미에서 지하당 역할을 한 측면이 있어 북한의 지하당 공작도 뜸해졌다. 그러다 이명박 정부 들어 여건이 달라지자 북한은 다시 지하당 공작에 열을 올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1973년 5월 서독 당국은 한스디트리히 겐셔 내무장관에게 빌리 브란트 총리의 수행비서 귄터 기욤이 동독 비밀경찰 슈타지의 요원이라고 보고했다. 기욤이 체포된 것은 1년 뒤였고 브란트 총리는 사퇴했다. 슈타지는 통일 전까지 서독에 3만여 명의 고정 간첩을 암약시키며 국회의원과 각료, 정보기관원은 물론 미래의 인재가 될 의원보좌관과 대학생까지 포섭했다.

북한의 김일성도 1973년 4월 남파 간첩들에게 “남조선에는 고등고시만 합격하면 행정부 사법부에 얼마든지 잠입할 수 있다. 머리 좋은 자식들은 데모에 내보내지 말고 고시 준비를 시키라”는 지령을 내렸다. 통일이 되고 나면 북한과 내통한 세력의 실체가 드러날 터이지만 그때까지 손놓고 기다릴 수는 없다. 정부는 내통 세력의 전모를 조속히 밝혀내고 정치권 정부기관 주요단체 등이 간첩의 아지트가 되지 않도록 철저하게 차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