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2.03.08 03:02
"李대통령 표적지에 사격 등 최근 도 넘은 대남 비방은 무력도발 전조" 판단 따라
김 장관은 "북한의 도발시 원점(原點)과 지원 부대까지 완전히 굴복할 때까지 강력히 응징하라"면서 김 장관은 "천안함 폭침(爆沈)과 연평도 포격 도발에 대한 복수 차원에서 단호하고 강력하게 응징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적 도발시 사격량의 10배까지도 대응사격하라"는 말까지 했다.
김관진 국방부 장관이 7일 연평도 해병부대를 방문해 장병들을 격려하고 있다. 김 장관은 “북한이 도발하면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에 대한 복수 차원에서 강력하게 응징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방부 제공

김 장관이 공개 석상에서 북한에 대해 '복수' '굴복' '10배 대응사격' 등의 강한 표현을 사용한 것은 처음이다. 지금까지 우리 군 수뇌부는 북 도발시 3배 정도의 대응사격을 언급해왔다. 이는 작년 3월 "쏠까요 말까요 묻지 말고 선조치 후보고 원칙에 따라 대응하라"고 지시한 것보다 한 차원 더 높은 차원의 대응조치를 주문한 것이다.
김 장관의 이같은 발언은 이명박 대통령이 6일 긴급 안보정책장관회의를 소집한 다음날 나온 것이다. 이 대통령은 최근 북한의 동태가 심상치 않다고 판단, 긴급회의를 소집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최근 인천의 한 부대에 걸린 김정일·김정은 부자에 대한 대적관(對敵觀) 구호를 문제 삼아 연일 이 대통령과 김 국방장관, 정승조 합참의장을 입에 담기 험한 욕설로 비방했다. 이 대통령과 김 장관이 그려진 사격 표적지를 대상으로 사격훈련까지 했다.
이 회의에서는 최근 북한의 도를 넘는 비방이 무력도발로 이어지는 전조(前兆)가 될 수 있다는 판단이 내려졌다고 한다. 정부의 고위 관계자는 "북한이 위험한 도발을 할 수 있다는 판단하에 김관진 장관이 전방을 방문, 북한에 대한 강한 경고 메시지를 언급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날 공군 무장헬기를 타고 연평도를 찾은 김 장관은 전방관측소에서 브리핑을 한 장교에게 "지금 평양에서 10만명이 모여 군중대회를 하고 있는데 그 이유가 무엇이라고 보느냐"고 묻기도 했다. 김 장관은 "내부 결속을 다지고 남한을 비방하는 결의 차원"이라는 답변이 나오자 "그것은 북한의 권력 승계가 완전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이날 단호한 표정으로 "피 한 방울 흘리지 않고 평화를 지킬 수 없다. 국민이 편하려면 군대가 희생해야 한다"고도 했다.
- 아시아기자협회 "中, 탈북자들 난민 인정해야" 이송원 기자
- 박선영 "북송 위기 탈북자 중 1개월 된 아기도" 조백건 기자
- "北 주민, 총살 위협에도 탈북하는 이유는…" 이용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