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2.10.10 03:02
올 대선 안보 핵심이슈 NLL… 노무현·軍의 갈등史
盧, 2006년 계룡대 강연서 "NLL, 北과 협상의 대상"
2007년 남북정상회담 후 청와대와 軍, 본격 신경전
김장수 당시 국방 반박 "NLL, 끝까지 지켜야 할 선"
올해 대선의 안보 이슈 중 하나로 떠오른 NLL(서해 북방한계선) 문제와 관련해 노무현 전 대통령과 국방부 간 갈등이 본격화한 것은 2006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노 전 대통령은 NLL 문제에 대해 군이 '북한과 논의와 타협의 대상이 아니다'는 입장을 고수하자 그해 6월 16일 충남 계룡대에서 NLL 문제와 한미 관계 등을 주제로 군 수뇌부와 육해공군 장성들을 대상으로 특강을 했다.
이 자리에서 노 전 대통령은 "평화는 신뢰가 중요하고 전략적 유연성이 있어야 하며 이런 차원에서 NLL을 (북한과) 협상의 대상으로 할 수 있다"며 "국방장관은 남북회담에서 (NLL 협상이) 안 됩니다라고 했는데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금기는 없다"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예비역 장성은 "당시 군 통수권자가 군이나 국민의 정서와는 동떨어진 얘기를 해 많은 장성이 놀랐었다"고 전했다.
이 자리에서 노 전 대통령은 "평화는 신뢰가 중요하고 전략적 유연성이 있어야 하며 이런 차원에서 NLL을 (북한과) 협상의 대상으로 할 수 있다"며 "국방장관은 남북회담에서 (NLL 협상이) 안 됩니다라고 했는데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금기는 없다"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예비역 장성은 "당시 군 통수권자가 군이나 국민의 정서와는 동떨어진 얘기를 해 많은 장성이 놀랐었다"고 전했다.
2007년 10월 장성 진급 및 보직신고를 마친 뒤 노무현 대통령이 김장수(앞줄 오른쪽) 장관 등 군 수뇌부와 환담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노 대통령은 임기 동안 NLL 문제를 둘러싸고 군과 여러 차례 갈등을 빚었다. /전기병 기자 gibong@chosun.com

노무현 전 대통령은 2007년 10월 김정일과 남북 정상회담을 한 지 1주일쯤 뒤인 10월 11일, 청와대에서 열린 여야 정당 대표 초청 오찬 간담회 및 출입 기자 간담회에서 "그 선(NLL)이 처음에는 우리 군대의 작전 금지선이었다. 이것을 오늘에 와서 '영토선'이라고 얘기하는 사람도 있는데 이렇게 되면 국민을 오도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노 전 대통령은 "휴전선은 쌍방이 합의한 선인데, 이것(NLL)은 쌍방이 합의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그은 선"이라고도 했다. 대한민국 군 통수권자가 처음으로 NLL이 정식 영토선이 아니라고 언급한 것이다.

남북 국방장관 회담을 앞두고 김 전 장관은 노 전 대통령을 만나 "NLL 문제는 저에게 일임해 달라"고 했고 노 전 대통령이 이를 받아들였다. 이어 11월 27일부터 사흘간 열린 남북 국방장관 회담에선 NLL 및 공동어로수역을 둘러싼 남북 입장이 맞서면서 합의를 보지 못했다.
- 새누리 '盧·김정일 비밀대화록' 의혹 국정조사 요구 선정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