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3.04.17 02:59
민주 상임위 간사단과 靑 만찬
"개헌 논의는 블랙홀과 같아… 국민신뢰 얻은뒤 논의를
4대江 의혹 없게 조사, 야당 추천 인사도 포함시킬 것"
민주 '尹해양 임명철회' 주장엔 "너그럽게 생각해달라"
박근혜 대통령은 16일, 여야가 개헌 논의기구 구성에 합의한 데 대해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날 국회 상임위원회 민주당 측 간사들과의 만찬에서 "민생이 어렵고 남북 관계도 불안한 상황에서 개헌 논의는 블랙홀과 같다"며 "다른 문제들을 먼저 챙기고 국민 신뢰를 얻은 뒤에 자연스럽게 논의할 기회가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고 복수의 참석자가 전했다.
박 대통령은 또 대북 문제와 관련해 "비선(秘線) 라인을 활용하지 않겠다. 여기저기서 틀을 깨려는 사람들이 있는데 비선에서 나온 정보는 어떤 가치가 있는지 알 수가 없다"며 "국정원 공식 라인을 통해 대북 문제를 풀어나가겠다"고 말했다. 김대중·노무현·이명박 정권 때는 국정원 외에 다양한 비선 채널을 가동했었다. 박 대통령은 또 "남북 관계의 최고 수단은 대화"라는 민주당 의원들의 말에 동의한다는 뜻을 밝힌 뒤 "기회가 있으면 야당의 경험을 참조하겠다"고도 말했다.
박 대통령은 또 대북 문제와 관련해 "비선(秘線) 라인을 활용하지 않겠다. 여기저기서 틀을 깨려는 사람들이 있는데 비선에서 나온 정보는 어떤 가치가 있는지 알 수가 없다"며 "국정원 공식 라인을 통해 대북 문제를 풀어나가겠다"고 말했다. 김대중·노무현·이명박 정권 때는 국정원 외에 다양한 비선 채널을 가동했었다. 박 대통령은 또 "남북 관계의 최고 수단은 대화"라는 민주당 의원들의 말에 동의한다는 뜻을 밝힌 뒤 "기회가 있으면 야당의 경험을 참조하겠다"고도 말했다.
-
박근혜 대통령이 16일 청와대에서 국회 상임위원회의 민주통합당 측 간사들과 만찬을 갖기 앞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박 대통령은 이 외에도 다양한 현안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민주당 의원들은 "윤진숙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 임명 방침을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박 대통령은 "청문회 과정에서 실망을 많이 드렸다. 안타깝다"면서도 "너그럽게 생각해달라"고 했다고 한다. 예정대로 임명하겠다는 취지였다.
진주의료원 폐업 문제에 대해서는 "팩트(사실)가 중요하다. 적자가 나면 얼마나 나는지, 그리고 그 원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거기에 따라 처방을 내려야 한다"고 답했다.
박 대통령은 '경제 민주화' 법안과 관련, "대기업, 원청 기업의 기술 탈취, 납품 단가 후려치기 등에 대해서는 저도 문제의식을 갖고 있다"며 "공약 사항인 만큼 확실히 해내겠다"고 말했다. 이어 "4대강 문제 조사는 투명하고 객관적으로 진행해 의혹이 남지 않도록 하겠다"며 "필요하다면 야당 추천 인사도 그 과정에 참여시키고 싶다"고 말했다. "오늘 정부가 발표한 추경안에 수정이 필요하다"는 민주당 의원들의 지적에 대해서는 "경기가 어려운 만큼 빚을 내서라도 경기 활성화의 불씨를 살려야 한다"며 "추경예산 편성 결정은 타이밍이 중요하다. 경기 활성화를 위해 협조해 달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인사말에서는 "안보와 민생이 어려운 상황에서 국민이 희망을 갖고 나아갈 수 있도록 여야가 상생의 정치로 국민의 신뢰를 받도록 도와 달라"며 "저도 야당을 해본 경험이 있는 만큼 국정 운영의 성공에 야당의 역할이 필요하다는 걸 알고 있다"고 했다.
법사위 간사인 박범계 의원은 "야당 의원들이 하고 싶은 이야기를 다 했고 박근혜 대통령은 주로 경청하고 메모했다"며 "박 대통령이 정색하고 '노'라고 말하지는 않았다"고 했다. 원내대변인인 윤관석 의원은 "경제 민주화, 남북 관계에 대해서는 긍정적 답변을 많이 들었으나 인사 문제에 관해서는 구체적 답변이 없었다"며 "절반의 소통으로 평가한다"고 말했다.
- 朴·오바마 내달 7일 첫 정상회담 최재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