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발전이 대안이다/자주 국방

조선시대 연도별 인구현황

화이트보스 2013. 6. 27. 10:07

조선시대 연도별 인구현황

 

 

1. 삼국유사, 삼국사기 등

고구려 멸망시 69만호, 백제 멸망시 76만호, 전성기때 경주인구 178,936호

 

2. 고려도경

고려인구 210만명

 

3. 조선시대 연도별 인구현황

 

연 대

호 수

인구

비 고

태종4

1404

153,404

322,786(丁)

태종6

1406

177,170

370,365(丁)

丁 : 16~60세까지 장정

세종10

1428

180,246

세종22

1440

692,475

조선왕조실록

세종때

807,847

문헌비고

중종14

1519

754,146

3,745,481

인조17

1639

441,827

1,521,165

임진왜란, 병자호란 후

인조23

1645

505,911

1,738,888

인조26

1648

441,321

1,531,365

효종5

1654

628,603

2,047,261

효종8

1657

658,771

2,290,083

현종4

1663

809,365

2,851,192

현종7

1666

1,108,351

4,107,156

현종10

1669

1,313,453

5,018.644

현종13

1672

1,176,917

4,695,611

숙종4

1678

1,343,428

5,246,972

숙종43

1717

1,547,709

6,829,771

경종1

1721

1,563,800

6,800,808

경종3

1723

1,576,138

6,846,639

영조5

1729

1,630,873

6,945,248

영조8

1732

1,678,081

7,065,173

영조23

1747

1,752,538

7,340,318

영조32

1756

1,733,242

7,120,907

정조4

1780

1,714,550

7,228,076

정조7

1783

1,733,757

7,316,924

순조7

1807

1,764,504

7,561,403

헌종1

1835

1,526,804

6,411,506

헌종3

1837

1,591,963

6,708,529

철종

1852

1,588,875

6,810,206

고종1

1864

1,209,604

6,828,817

고종4

1867

1,590,573

6,720,294

고종7

1870

1,591,839

6,677,001

고종12

1875

1,634,908

6,698,418

고종16

1879

1,932,528

6,560,027

고종20

1883

1,575,530

6,522,687

고종24

1887

1,575,387

6,522,687

고종28

1891

1,576,622

6,633,166

광무6

1902

1,405,116

5,782,584

융희3

1909

2,633,028

12,363,404

                                                                   ※ 한국통계발전사(통계청 1992년)

 

1592년 일어났던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병자호란, 정묘호란 등 계속되는 전쟁으로 인해 정치적으로 매우 불안한 시기로 정부와 수도 한성의 기능에 많은 변화가 요구되었다. 특히 변방의 방어·관리, 수도방어,중앙-주변 연락체제 등의 강화가 필요하였다.

세종대의 지리지 통계 이후 인조 17년(1639)까지 200년간의 인구통계는 소실되었으나 남은 기록에 의하여 호구를 보면 선조 26년(1593) 서울 수복후 서울의 인구가 38,931명으로 세종시대에 비하여 3분의 1정도밖에 되지 않았고, 남자 14,062명에 대하여 여자가 배에 가까운 24,869명에 달해서 대부분 부녀자·노약자만이 서울 또는 근방에 남아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인조 14~15년에 '병자호란'을 치른 후 서울의 호구는 다시 크게 감소되어 인조 26년(1648)에 서울의 인구는 95,569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