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픈역사에서 배운다/임진왜란

임진왜란 주요 연표(양력)

화이트보스 2013. 10. 27. 20:53

임진왜란 주요 연표(양력)    2004/09/17 17:54 추천 0    스크랩  0
http://blog.chosun.com/boblee1229/74732 주소복사 트위터로 글 내보내기 페이스북으로 글 내보내기

임진왜란 주요 연표 (양력)

 

<1592년>

 

5월 23일 일본군 제1군 고니시 유키나가 선봉 부산 절영도 도착,
         임진왜란 발발

5월 24일 일본군 제1군 상륙, 부산진성 함락, 부산진첨사 정발 전사

5월 25일 동래성 함락, 동래부사 송상현 전사, 이순신 전쟁 발발 공문 접수

5월 27일 양산성 함락, 조선 조정 전쟁발발 보고 접수

5월 28일 일본군 제2군 가토 기요마사 부산 상륙, 조선 조정 유성룡을
         도체찰사, 신립을 도순변사, 이일을 순변사로 임명 조령·죽령·추풍령에 방어선 편성

5월 29일 일본군 제3군 구로다 나가마사 다대포 상륙, 언양성 함락

5월 30일 김해성 함락

5월 31일 경주성, 창원성 함락

※ 1592년 5월-6월 중 일본군 제4-제9군 후속부대 상륙, 총 20여만 침략

6월 1일  영천성 함락

6월 3일  곽재우 의병부대 기병

6월 4일  순변사 이일, 상주에서 일본군 제1군과 전투 패전

6월 6일  일본군 제1·2군 조령 돌파, 성주성 함락, 경상도 육군 붕괴

6월 7일  신립, 충주 탄금대에서 배수진으로 결사항전했으나 궤멸

6월 9일  선조, 평양을 향하여 피난길 출발

6월 11일 도원수 김명원의 한강 방어선 함락

6월 12일 일본군 서울 입성

6월 16일 조선 조정 평양으로 이동, 이순신 함대 옥포해전·합포해전 승리

6월 17일 이순신 함대 적진포해전 승리

6월 25일 조선 육군 부원수 신각, 유해령전투에서 소규모 승리

6월 27일 김천일 의병부대 기병, 도원수 김명원의 임진강 방어선 붕괴

7월 8일  이순신 함대 사천해전 승리

7월 10일 이순신 함대 당포해전 승리

7월 13일 조선 육군 용인전투서 일본군에 대패,
         이순신 함대 당항포해전 승리

7월 15일 이순신 함대 율포해전 승리

7월 16일 곽재우 의병군 정암진전투 승리,
        일본군 제1군 및 제3군 대동강 도착

7월 19일 조선조정 평양 포기, 의주로 향발

7월 22일 선조는 명나라 망명 결심, 광해군 분조 발족

7월 23일 평양성 함락

7월 30일 선조 의주 도착, 일본군 제 6군 금산 점령

8월 초순 고경명·조헌 의병군 금산 진격

8월 14일  이순신 함대 한산도해전에서 대승,
          조선 육군 노령산맥의 웅치·이치에서 격전

8월 15일  고경명 의병군 금산 공격, 고경명 전사

8월 16일  이순신 함대 안골포해전 승리

8월 23일  명나라 원군 선발대 요양부총병 조승훈 참전,
          조명연합군 평양성 공격 실패

8월 30일  일본군 제2군 함경도 회령 입성,
          곽재우 의병군 경상도 의령·창녕·영산성 수복

9월 2일   권응수 의병군 경상도 영천성 수복

9월 6일   김명원 조선군 평양성 공격, 조헌 의병군 청주성 수복

9월 8일   김면 의병군 거창전투 승리

9월 23일  조헌·영규 결사대 금산성 공격 전원 전사

10월 5일  이순신 함대 부산포해전 승리

10월 6일  이정암 의병군 황해도 연안성 사수

10월 12일 박진 경상도 육군 경주성 탈환

10월 20일 정문부 의병군 함경도 경성 탈환

10월 31일 유숭인 경상도 육군 창원성 공방전

11월 13일 진주성 전투 중 김시민 전사, 진주성 방어

11월 28일 정문부 의병군 함경도 명천성 수복

 

<1593년>

 

1월 13일  명나라 원군 본대 4만 3천명 압록강 본격 도강
          권율 육군 수원 독성산성에서 일본 토벌군 격퇴

2월 6일   조명연합군 평양성 공격 개시

2월 9일   조명 연합군 평양성 탈환, 일본군 1군 3군 전면 퇴각

2월 15일  경상도 의병군 성주성 탈환

2월 27일  조명연합군 벽제관전투에서 패퇴

2월 28일  정문부 의병군 함경도 길주성 수복

3월 12일  이순신 함대 일본수군의 소굴 웅포 1차 공격

3월 14일  권율 육군 행주산성전투 일본군 격퇴, 이순신 함대 2차 웅포 공격

3월 20일  이순신 함대 3차 웅포 공격, 명 원군 이여송 평양으로 후퇴

3월 24일  이순신 함대 4차 웅포 공격

4월 7일   이순신 함대 5차 웅포 공격

4월 24일  조선 조정 평양으로 이동, 이여송 개성으로 복귀

5월 9일   명나라 심유경과 일본 고니시 유키나가 강화회담 타결

5월 19일  일본군 전면 퇴각 시작

5월 20일  권율 육군, 명나라 이여송 서울 입성

6월 1일   조명연합군 남진시작, 일본군 선발대 부산도착

6월 8일   명나라 강화사절 부산에서 일본으로 출발

6월 23일  도요토미 히데요시, 나고야서 명나라 사신 접견

7월 4일   권율을 조선군 도원수로 임명

7월 20일  일본 대군투입 진주성 공격 개시

7월 27일  진주성 함락, 최경희 등 수비군 옥쇄

8월 10일  이순신 여수에서 한산도 두을포로 진을 옮김

8월 11일  명나라 강화사절 부산으로 귀환

9월 2일   이여송 등 명군 3만 철군

9월 24일  이순신, 삼도수군통제사로 임명

10월 24일 조선 조정 서울로 환도


<1594년>

 

3월 11일  명나라 심유경과 일본 고니시 유키나가
          웅천에서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가짜 항복문서 작성

4월 23일  이순신, 제2차 당항포해전 승리

9월 16일  명나라 군대 철수 완료, 일본군 3만 8천명 잔류

11월 11일  이순신 함대 거제도 장문포 공격


<1595년>

 

2월 8일   명나라 조정 일본으로 책봉사 파견 결정

3월 10일  명나라 책봉사 북경 출발

12월 22일 명나라 책봉사 서울, 남원 경유 부산 도착

 

<1596년>

 

6월 5일   일본군 제2군 주력 본국 철수

7월 10일  일본군 제1군 주력 본국 철수, 명 책봉사 부산에서 출발

10월 23일 도요토미 히데요시, 명 책봉사 접견하였으나 강화회담 결렬로
          책봉사를 추방하고 재침 준비령 내림

 

<1597년>

 

2월 21일  명 책봉사 서울 도착

2월 30일  일본군 선발대 1만 1,500명 조선 재침

3월 14일  이순신 파직, 원균을 통제사로 임명

4월 2일   명 책봉사 북경 귀환

4월 8일   도요토미 히데요시, 전면 재침령

※ 일본군 14만 5,000명 동원 전면 재침
4월 12일  이순신 체포 서울로 압송

5월 16일  이순신 석방, 백의종군

6월 22일  명나라 원군 재투입군 5만 5천명 서울 도착

8월 28일  원균의 조선수군 칠천량해전에서 몰락

9월 13일  이순신 삼도수군통제사로 복귀

9월 26일  남원 함락, 황석산성 함락

10월 5일  전주성 함락

10월 8일  일본군 좌군 주력 순천으로 진군

10월 10일 일본군 우군 주력 서울로 진군

10월 16일 조선의 권율, 명나라 해생의 조명연합군 직산전투에서 대승

10월 26일 이순신 함대 명량해전 승리, 일본군 전면 퇴각 시작

11월 17일  일본군 남해안 왜성으로 퇴각

 

<1598년>

 

1월 31일  조명연합군 울산왜성 총공격

2월 8일   조명연합군 울산왜성 공격 실패, 퇴각

9월 19일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망

10월 20일 조명연합군 울산성 총공격

10월 27일 조명연합군 사천성 총공격

10월 31일 조명연합군 순천 예교성 총공격

11월 13일 일본군 전면 퇴각령

12월 16일 조명연합함대 노량해전에서 최후의 승리, 이순신 전사

12월 21일 조명연합군 순천 예교성 입성

12월 23일 전일본군 퇴각 완료


<1599년>

 

1월 7일  조명연합군 사천성 입성, 종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