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회문화/정치, 외교.

철도파업 찬성 39% 반대 61%

화이트보스 2013. 12. 30. 19:26

철도파업 찬성 39% 반대 61%

[중앙일보] 입력 2013.12.30 01:07 / 수정 2013.12.30 11:42

세대별로 갈렸다 … 2030세대 66%가 공감, 40대 이상은 77% 공감 안 해
전국 1000명 긴급 여론조사

30일로 파업 22일째를 맞은 철도노조 파업에 대해 ‘공감하지 않는다’는 의견이 60.6%로 나타났다. ‘공감한다’는 답변은 38.8%였다. 중앙일보 조사연구팀이 27~28일 전국의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긴급 여론조사 결과다.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철도파업과 관련해 정부가 내세우고 있는 논리에 대해서도 공감하는 비율이 전반적으로 높았다. “민영화를 않겠다는데 파업하는 건 명백히 불법”이라는 답변이 59.0%, “파업을 즉각 중단하고 업무에 복귀해야 한다”는 의견이 71.8%, “엄정한 대처를 통해 법치주의를 세워야 한다”는 견해가 62.5%였다. 그러나 이번 파업과 관련한 정부의 대응과 해결 노력에 대해선 ‘적절하지 못했다’는 평가가 59.2%로 ‘적절했다’(40.1%)는 답변보다 높았다. 국토교통부가 이미 면허를 발급한 ‘수서발 KTX 자회사 설립’에 대해선 정부 측 주장대로 “민영화가 아니라고 본다”는 의견이 47.4%로 노조 주장처럼 “민영화라고 본다”(41.6%)는 의견보다 다소 높았다.

 국민 여론은 정치적 성향에 따라 극단적으로 나누어지는 양상을 나타냈다.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 지지층에선 10명 중 9명꼴로 파업에 공감하지 않는다고 답한 반면 박 대통령을 지지하지 않는 계층에선 10명 중 7명이 공감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구체적으로 박 대통령 지지자라고 응답한 사람 중 89.6%, 새누리당 지지층 중 93.6%가 파업에 반대 의사를 나타냈다. 반면 박 대통령을 지지하지 않는다고 답한 사람의 72.1%가 파업에 대해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 민주당 지지층 중에선 58.9%가 긍정적인 반면 41.1%가 부정적 반응을 표명했다.

 파업에 대한 공감 여부는 세대별로도 확연히 갈렸다. 50대 연령층 중 80.4%, 60대 이상 연령층 중 90.5%가 공감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40대에서도 공감하지 않는다는 대답이 60.1%로 공감한다는 응답(39.4%)보다 우세했다. 반면 저연령층에선 파업에 공감한다는 의견이 우세했는데 20대의 66.7%, 30대의 64.8%가 공감을 표시했다. 결국 2030세대의 65.7%가 공감한 반면 4060세대의 76.8%가 공감하지 않았다. 직업별로는 대학생(69.5%)과 화이트칼라(52.7%) 계층에선 공감한다는 의견이, 자영업자(72.6%)와 가정주부(70.2%)·블루칼라(65.4%) 계층에선 공감하지 않는다는 견해가 우세했다.

 철도파업에 대해 공감을 표시한 응답자들은 대부분 ‘민영화 반대’라는 노조의 주장을 지지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공감하지 않는다는 응답자들은 ‘국민을 이용하고 있고 피해가 커서’(32.3%), ‘노조의 이익(연봉) 챙기기 때문’(24.3%), ‘파업 자체가 정당치 않고 불법이라서’(7.5%), ‘정부에 대한 불신이 괘씸해서’(7.1%) 등의 순으로 답했다. 고려대 이내영(정치학) 교수는 “민영화 본래의 취지에 대한 대화와 타협이 사라진 대신 정치권의 지지층 동원과 차별화 전략에 빠져드는 상황”이라며 “지지하는 정당의 입장을 곧 자신의 것으로 선택해 정치적 태도를 결정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30일 국회 내 민영화방지 소위 구성을 전제로 철도노조 파업을 철회키로 여야와 철도노조가 합의했다는 내용이 전해졌다. 박기춘 민주당 사무총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의원총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밝혔다.

지난 주말 김무성 새누리당 의원과 박기춘 민주당 사무총장, 국회 국토교통위 간사인 새누리당 강석호·민주당 이윤석 의원은 민주당에 피신해 있는 최은철 철도노조 사무처장과 실무협의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재안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안에 철도민영화 방지 소위원회를 두며 이에 따라 철도노조도 파업을 철회하기로 결정했다.

신창운 여론조사전문기자·온라인 중앙일보

▶조사 개요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