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 3가지 스트레스에 시달리다
우리나라의 역대 임금 중에서 가장 오래 살았던 왕은 고구려 ‘장수왕’입니다. 광개토대왕의 아들인 장수왕은 이름 그대로 정말로 장수하였으니 무려 97년을 살았습니다. 장수왕은 지금의 만주지방 대부분을 차지하여 우리나라 역사상 최대의 영토를 가졌던 임금인데, 지금으로부터 1500년 전이었으니 요즘으로 보면 적어도 120세 정도에 해당되지요. 장수왕 다음으로 오래 살았던 임금은 조선의 영조대왕입니다.
조선의 임금 중에서 가장 장수했던 영조대왕은 지금으로부터 250~300년 전에 83세까지 장수했으니 요즘으로 치면 100세를 넘긴 정도로 엄청나게 오래 살았습니다. 조선 왕들의 평균수명은 47세이고, 60세를 넘긴 경우가 6명뿐이죠. 사실 왕들은 장수하기가 쉽지 않은데, 막중한 국정의 중요 사항에 대하여 최종 결정을 내려야 하고 신하들의 왕권에 대한 도전과 역모에 늘 노심초사할 뿐 아니라 왕비와 후궁 및 왕자들의 문제로 시달리는 등 스트레스가 엄청났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영조가 장수할 수 있었던 것은 그러한 스트레스가 별로 없었기 때문이 아니냐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실텐데, 전혀 그렇지 않았습니다.
우리나라의 역대 임금 중에서 가장 오래 살았던 왕은 고구려 ‘장수왕’입니다. 광개토대왕의 아들인 장수왕은 이름 그대로 정말로 장수하였으니 무려 97년을 살았습니다. 장수왕은 지금의 만주지방 대부분을 차지하여 우리나라 역사상 최대의 영토를 가졌던 임금인데, 지금으로부터 1500년 전이었으니 요즘으로 보면 적어도 120세 정도에 해당되지요. 장수왕 다음으로 오래 살았던 임금은 조선의 영조대왕입니다.
조선의 임금 중에서 가장 장수했던 영조대왕은 지금으로부터 250~300년 전에 83세까지 장수했으니 요즘으로 치면 100세를 넘긴 정도로 엄청나게 오래 살았습니다. 조선 왕들의 평균수명은 47세이고, 60세를 넘긴 경우가 6명뿐이죠. 사실 왕들은 장수하기가 쉽지 않은데, 막중한 국정의 중요 사항에 대하여 최종 결정을 내려야 하고 신하들의 왕권에 대한 도전과 역모에 늘 노심초사할 뿐 아니라 왕비와 후궁 및 왕자들의 문제로 시달리는 등 스트레스가 엄청났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영조가 장수할 수 있었던 것은 그러한 스트레스가 별로 없었기 때문이 아니냐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실텐데, 전혀 그렇지 않았습니다.
- 영조대왕의 초상화
첫째, 신장의 정기를 강하게 타고나다
영조는 부모로부터 건강 장수 유전자를 물려받았습니다. 어머니였던 숙빈 최씨가 무척 건강했고, 부친이었던 숙종도 당시로서는 비교적 장수인 60세까지 살았으니 건강한 체질을 물려받았다고 볼 수 있지요. 이러한 경우를 선천 품부가 강하다고 합니다. 선천 품부는 태어날 때 부모로부터 물려받는 것으로 건강·장수의 기본적인 조건이 되는데, 근본 기운이 바로 ‘신장(腎臟)의 정기’입니다.
한의학에서 신장은 콩팥 뿐만 아니라 비뇨생식기 전부와 성 호르몬을 비롯한 각종 호르몬을 모두 합한 개념으로 방광·생식기·뇌·허리·뼈·치아·귀·머리카락 등까지 신장의 정기를 받아야만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는 ‘신장 계통’에 속하는 것으로 인식합니다. 두뇌가 총명한 것도, 뼈대가 튼튼한 것도 실은 신장의 정기가 충만하기 때문이죠. 신장의 기가 왕성하면 생장, 발육이 왕성하고 신체가 건장해지고 성기능도 좋습니다. 반면, 신장 기운이 쇠퇴하면 기력이 쇠약해지고 정력이 감퇴하며 뇌졸중, 치매, 당뇨병, 골다공증 등의 성인병에 걸리게 됩니다. 또한 노화의 주된 원인이 신장의 정기 허약이므로 신장의 정기가 강해야 장수할 수 있는 것이죠.
둘째, 음식 양생법을 충실하게 실천하다
우선 소식하였고, 특히 기름진 음식을 적게 먹었습니다. 전통적으로 조선의 왕과 왕비들은 대부분 나라가 흉하거나 천재지변이 있을 때 백성과 아픔을 같이 하려고 합니다. 흉년에는 반찬을 줄이거나 낡은 옷을 입는 것이 미덕으로 전승되어 왔습니다. 영조도 가뭄이 들면 하루 다섯 번 먹던 수라를 세 번으로 줄이고 반찬 수도 반으로 줄였으며, 심지어 간장만으로 수라를 받기도 했다고 합니다. 기름진 음식을 적게 먹고 소식을 한 것이 장수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또한 현미, 잡곡 같은 거친 음식을 즐겼습니다. 조선시대에는 쌀이 귀했는데, 왕이라면 당연히 쌀밥을 먹지만 영조는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그들과 같은 잡곡밥을 먹었던 것이죠. 그것이 결과적으로 당뇨병, 고혈압 등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되었던 것입니다.
반면에 세종대왕은 영조와 달랐습니다. 세종은 대식가인데다 육식을 즐겨 운동도 적게 한데다 스트레스도 많이 받는 바람에 당뇨병에 걸리고 합병증으로 고생하다가 54세로 승하했습니다.
- 세종대왕의 초상화
조선시대에는 술의 원료가 되는 쌀이 부족했기 때문에 ‘금주령’이 자주 내려졌는데, 역대 임금 중에서 가장 강력히 시행했던 왕이 바로 영조였습니다. 어느 정도였나 하면 금주령을 어기고 술을 만들어 팔거나 마시는 사람을 잡아오지 못하는 신하는 벼슬에서 쫓아내거나 귀양을 보냈다고 합니다. 심지어 집안 잔치에 술을 만들었던 종2품, 요즘의 차관급 신하를 잡아 목을 베어 성문에 내걸었다는 기록도 있지요.
영조는 술을 어느 정도 마시기는 했지만 금주령 때는 술 대신 생강차를 마셨고, 심지어 종묘에 술을 올릴 때도 감주로 대신했다고 합니다. 술을 적게 마신 것도 건강을 지킨 비결의 하나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한편, 금주령 기간에 ‘송절차(松節茶)’를 즐겨 마셨는데, 실은 ‘송절주(松節酒)’였다고 합니다. 왜냐하면 영조는 하반신 관절이 약했기에 송절주가 효과적이었기 때문이죠. ‘송절(松節)’은 소나무의 가지가 갈라지는 마디로서 사람의 가지에 해당되는 팔과 다리의 병에 효과적입니다. 팔다리가 저리고 아프며 시큰거리거나 관절을 굽히고 펴기 어려운 병증에 효과가 있는데, 뼈마디에 있는 풍기와 습기를 물리치고 근육을 풀어주는 효능이 있기 때문이죠.
넷째, 건강관리에 철저하게 신경 쓰다
평소 늦게까지 회의를 하다가도 식사시간이 되면 중단하고 제 때 끼니를 챙겨 먹었다고 합니다. 규칙적인 식사를 하는 것은 건강을 지키는데 기본이죠. 또한 사형을 판결하고 나면 꼭 손을 씻어서 찜찜한 마음을 털어버리려 했다고 하는데, 나름대로 스트레스를 해소하면서 생활한 것으로 보입니다. 아울러 백성들의 삶을 직접 보고 들으려고 부지런히 궁궐 밖으로 미행(微行)을 다녔습니다. 그것이 500회가 넘는데요, 당연히 걸어 다녔기에 저절로 운동이 되었던 것이죠.
<나머지 3가지 비결은 하편에서 이어집니다.>
☞ 영조대왕이 신장이 강하다는 명백한 증거
영조의 신장이 강하다는 증거는 수염을 보면 알 수 있는데, 역대 임금 가운데 가장 풍성한 수염을 자랑했습니다. 수염과 머리카락은 신장의 정기를 받는 곳이죠. 역시 신장의 정기를 공급받는 두뇌가 매우 총명했기에 독서와 창작 활동을 통해 글씨나 시, 산문 등을 수천 권 넘게 남길 정도로 학문의 경지가 높았고 특히 기억력이 뛰어났습니다.
- 해구신
<다음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