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4.04.26 03:06
당비 대납·조직동원 시비 잇따라… 지도부, 개혁공천 어렵다고 판단
이미 예비후보 경쟁… 반발 거셀 듯
◇전략 공천 만지작거리는 새정치聯
당 핵심 관계자는 "전남에서 일어난 당비 대납 건을 비롯해 전북과 광주에서도 새 정치와 부합하지 않는 일들이 발생하고 있어 당 차원의 조사를 벌였다"며 "비공개회의에서는 새로운 인물을 내세우는 방안도 검토했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도로 민주당'이란 소리를 듣지 않기 위해서라도 호남에서 혁신적인 공천을 해야 하는데, 결국 전략 공천밖에는 답이 없는 것 같다"고 했다. 일부 광역단체장 후보 측의 불법 행위에 대한 지역 선거관리위원회의 조사 및 고발 등을 명분으로 지금까지 진행한 경선 과정을 인정하지 않겠다는 얘기다.
당 지도부의 이 같은 방침은 그동안 호남 지역 경선에서 너무 많은 문제가 나왔기 때문이다. 전남도 선관위는 "옛 민주당 출신의 새정치연합 전남지사 예비후보인 이낙연, 주승용 의원이 각각 당원 2만6117명의 당비 약 3178만원, 당원 1310명의 당비 786만원을 대신 납부한 혐의를 받고 있다"며 두 의원의 지역 사무소 직원들을 검찰에 고발하거나 수사를 의뢰했다.
전북에서는 선관위가 착신전환을 이용한 여론조사 왜곡에 대해 조사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착신전환은 유선으로 걸려오는 부재중 전화를 휴대폰으로 자동 연결해 주는 서비스다. 휴면(休眠) 상태의 유선 전화번호를 사들여 지지자의 휴대폰과 착신해 여론조사를 조작하는, 대표적인 '부정 경선' 수법이다. 또 광주광역시에서는 지난 13일 강기정·장병완 의원 등 광주 지역 국회의원 5명이 안철수 공동대표 측으로 분류되는 윤장현 전 새정치연합 공동위원장을 공개 지지한 것과 관련, 최근 이용섭 의원과 강운태 광주시장의 지지자로 보이는 당원 100여명이 강 의원 등과 몸싸움까지 벌이며 충돌하기도 했다.
◇후보들 반발 만만치 않을 듯
하지만 당 관계자들은 "안철수 대표 측 후보로 불리는 경기지사 후보인 김상곤 전 교육감이나 광주의 윤장현 전 위원장 공천과 관련해 안심(安心) 논란이 이미 일었던 상황에서 구 민주계를 배제하기 위한 전략 공천은 오히려 반발에 부딪힐 수 있다"고도 했다. 한 관계자는 "당내 분란이 커질 뿐만 아니라 무소속 출마자도 속출할 것"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지도부 관계자는 "김 전 교육감은 세월호 침몰 사고와 관련해 (도지사 출마를 위해 교육감을 사퇴해 자리를 빈다는) 책임 논란이 제기될 수 있다는 점 등으로 자연스럽게 (무리한 전략 공천은 하지 않는 쪽으로) 정리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지도부가 명분으로 삼겠다는 당비 대납 등의 문제에 대해서도 각 후보가 "나는 모르는 일" "지지자들의 자발적 행동"이라는 해명을 내놓고 있어 사실관계를 규명하기도 쉽지 않다. 여기에다 당 안팎에서 납득할 만한 전략 공천 대상자를 물색하는 것도 시간이 촉박하다는 지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