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은 제69주년 광복절이다. 해마다 이맘때면 진정한 극일에 대해 많은 이야기가 오간다. 대한민국이 일제의 압제로부터 벗어난 지 69년이 되지만 아직도 일본과 관련된 과거사는 정리되지 않고 있다. 가해자인 일본은 조선강점과 인력강제동원, 물자착취, 독립지사 처형 등과 관련해 진정한 사과를 하지 않고 있다. 오히려 일제지배가 한국의 발전에 도움이 됐다는 식의 적반하장 식 입장을 더욱 공고히 하고 있다. 우리 내부적으로도 광복절은 현재 진행형이다. 독립 당시 냉정하고 과감하게 친일파를 청산하지 않은 탓에 현재 우리사회의 구조는 매우 왜곡돼 있으며 계층 간의 갈등이 끊이지 않고 있다. 광복절은 보수·우익 화되고 있는 일본의 도발을 이겨내기위한 국민적 합의와 각오를 되새기는 날이다. 또 한편으로는 친일과 항일에서 비롯된 우리 내부의 갈등을 어떻게 슬기롭게 극복하느냐를 고민해보는 날이기도 하다. 친일청산과 관련해 벌어지고 있는 여러 논쟁 중 우리가 명확한 개념으로 접근해야할 것은 건국절 제정 논쟁이다. 보수우익 인사들이 대거참여하고 있는 ‘건국절 제정 추진연합회’는 1948년 8월 15일 정부수립 일을 대한민국 건국절로 제정하자는 주장을 펴고 있다. 법치민주국가로서의 구비 조건을 갖추고 출범한 이승만 대통령 중심의 정부수립일이 진정한 의미에서 대한민국이 출범한 날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친일의 굴레를 벗어버리고 싶은 기득권자, 보수층 인사들의 그릇된 주장이다. 대한민국 정부의 출범은 우리 헌법이 명시하고 있듯 3·1운동과 상해임시정부에서 그 법통을 찾는 것이 마땅하다. 선인들은 1919년 3월 1일 독립선언을 통해 ‘조선이 독립국’임을 선언했으며 같은 해 4월 11일 중국 상하이에서 국호를 대한민국으로 삼아 임시정부를 수립했다. 당연히 상해임시정부 수립 시점이 대한민국 건국 시기다. 더 나아가 미주 지역의 여러 한인단체를 통합해 출범한 1910년 대한인국민회를 한인 최초 임시정부수립으로 보는 역사적 논의도 필요하다. 1911년 총회장에 선출된 문양목 선생은 박용만 선생을 네브라스카에서 초대해 대한인국민회를 임시정부로 만들기 위해 여러 가지 작업을 했다. 박용만 선생의 ‘무형국가론’ 주장에 따라 대한국민회는 1911년 6월부터 해외 모든 한인들에게 국민의무금 제도를 시행했으며 무형국가의 틀에 맞는 헌장을 기초했다. 광복절은 극일의 의지를 다지는 날이지만 내부적으로는 민족의 정기와 역사를 곧추세우는 날이기도 하다.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확실히 규명하는 그런 광복절이 됐으면 싶다. <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