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회문화/사회 , 경제

유족 생각과 국민 여론 사이… 野는 우왕좌왕

화이트보스 2014. 8. 21. 10:15

유족 생각과 국민 여론 사이… 野는 우왕좌왕

  • 정우상 기자
  • 입력 : 2014.08.21 03:01

    [거부된 세월호法 재합의案]

    유족 설득 사실상 힘들어지자 "국민 여론 중요한 것 아니냐" 재합의案 처리 불가피론 고개
    유족들 편만 드는 문재인에 野지도부 "상황 어렵게 만들어"

    세월호 유가족들이 20일 여야(與野) 원내대표의 세월호 특별법 재(再)합의안을 거부하고 야당도 일찌감치 포기했던 수사권·기소권을 다시 요구하면서 새정치민주연합이 충격에 빠졌다. 새정치연합은 이날 밤 세월호 가족총회 전까지는 "유족들 설득에 최선을 다한다"고 했지만 가족 총회 이후에는 "더 이상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없어진 것 같다"며 허탈해했다. 이런 가운데 야당 내에서는 "유족만큼 국민 다수 여론도 중요한 것 아니냐"는 재합의안 처리 불가피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野, 유족 설득 벽에 막혀

    새정치연합은 이날 오후까지도 세월호 유족 설득에 총력을 기울였다. 박영선 국민공감혁신위원장도 "유가족 이해를 구하고, 국민의 이해를 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재합의안을 야당 의원총회에서 공식 추인받아 22일로 예상되는 8월 임시국회에서 처리하려면 유족들의 동의가 필수적이라는 이유 때문이었다.

    
	심각한 野黨… 새정치민주연합 우윤근·박지원·전해철(왼쪽부터) 의원 등이 20일 국회에서 세월호특별법 관련 여야 합의안에 대한 논의를 위해 자정 넘게까지 진행된 의원총회를 마친 뒤 심각한 표정으로 걸어나오고 있다
    심각한 野黨… 새정치민주연합 우윤근·박지원·전해철(왼쪽부터) 의원 등이 20일 국회에서 세월호특별법 관련 여야 합의안에 대한 논의를 위해 자정 넘게까지 진행된 의원총회를 마친 뒤 심각한 표정으로 걸어나오고 있다. /이진한 기자
    그러나 세월호 유족 대표들은 이미 여야의 재합의안을 거부하겠다는 의사를 밝혔고 20일 가족 총회에서도 반대 의견이 압도적이었다. 야당 내에서도 유족들이 합의안에 동의해줄 것으로 기대하는 사람은 많지 않았다. 진보·좌파 단체들이 주축이 된 세월호참사국민대책회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야당 관계자는 "유족과 시민단체 쪽에서 어떤 변화를 기대하기는 매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 때문에 야당은 야권(野圈)과 국민 여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야권 원로들과 여론 주도 단체들에 대한 설득에 집중했고 어느 정도 성과도 본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야권 원로는 "협상 자체에는 문제가 없는 것 같다"는 뜻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대한변호사협회도 여야 합의안에 동의 의사를 밝혔다고 야권 관계자들은 전했다.

    ◇"국민 여론도 중요"

    이런 가운데 박 위원장은 유족들의 동의를 얻지 못하는 상황에서 정치적 선택을 통해 원내대표 간 재합의안을 처리해야 하는 국면으로 몰리고 있다. 박 위원장은 이날 유족들의 강한 항의에도 "다시 재협상할 수는 없다"는 점을 분명히 밝혔다. 박 위원장이 의원총회에서 재합의안을 표결에 부쳐 국회 본회의에서 처리하려면 무엇보다 야당 내 다수의 지지와 국민 여론의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

    야당 내에서도 지난 1차 합의 때와는 달리 의원들이 합의의 절차에 대한 문제 제기를 하지 않고 있어, 국민 여론이 합의안 처리로 기울 경우 의원총회를 거쳐 처리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새정치연합 관계자는 "유족들만큼 중요한 것은 국민이 세월호 특별법과 민생 법안 처리를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것"이라고 했다. 야당이 세월호 특별법 처리에 대한 여론조사에 촉각을 세우는 것도 합의안 처리 여부를 염두에 두고 있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문재인 의원 등이 유족들 편만 들고 있다는 점은 부담스러운 요인이다. 문 의원은 이날 밤 트위터에서 "유족들은 지나친 것이 아니다. (유족들은) 특검이라도 괜찮은 분이 임명될 수 있게 하자는 상식적 요구를 하고 있는 것"이라고 했다. 문 의원은 "유족들은 이미 수사권과 기소권을 양보했다"고 했지만 가족 총회에서는 다시 수사·기소권을 요구했다. 지도부 일각에선 "강경파 의원들이 상황을 더 어렵게 만드는 측면이 있다"고 불만을 내비쳤다.